제국의 구조

가라타니 고진
365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2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한국어판 서문 · 5 제1장 헤겔의 전도란 무엇인가 1. 왜 헤겔 비판인가 · 17 2. 마르크스가 행한 헤겔 비판의 맹점 · 23 3. 생산양식론의 한계 · 27 4. 교환양식의 도입 · 33 5. 사회구성체와 교환양식 · 40 6. 전후의 전도 · 42 7. 미래로부터의 회귀 · 46 제2장 세계사에 있어 정주혁명 1. 유동적 수렵채집민 · 55 2. 정주의 곤란 · 62 3. 호수성의 원리 · 65 4. 정주혁명 · 69 5. 호수제의 기원 · 72 6. 유동성의 두 가지 타입 · 76 제3장 전제국가와 제국 1. 국가의 기원 · 87 2. 공포에 의해 강요된 계약 · 92 3. 제국의 원리 · 96 4. 전제국가와 제국 · 100 5. 제국과 제국주의 · 108 6. 페르시아제국과 로마제국 · 115 7. 유럽과 제국 · 124 제4장 동아시아의 제국 1. 진제국 · 135 2. 한제국 · 144 3. 수당제국 · 153 4. 유목민의 제국 · 161 5. 몽골제국 · 164 6. 몽골제국 이후 · 168 제5장 근세의 제국과 몰락 1. 러시아·오스만·무굴제국 · 177 2. 제국의 쇠퇴 · 184 3. 유럽의 세계=경제 · 188 4. 제국의 ‘근대화’ · 197 5. 오스트리아·러시아 · 209 6. 중국 · 217 제6장 제국과 세계공화국 1. 제국과 신국 · 227 2. 헤게모니국가 · 233 3. 역사와 반복 · 240 4. 국가연방 · 244 5. 자연의 간지 · 254 6. 자연과 역사 · 262 제7장 아주변으로서의 일본 1. 주변과 아주변 · 275 2. 야마토와 코리아 · 284 3. 황제와 천황 · 290 4. 관료제와 문자의 문제 · 298 5. 한자와 가나 · 302 6. 일본의 봉건제 · 310 7. 도쿠가와체제란 무엇인가 · 322 8. 메이지유신 이후 · 330 후기 · 335 옮긴이 후기 · 337 인명 찾아보기 · 351 사항 찾아보기 · 359

출판사 제공 책 소개

▶ <트랜스크리틱>, <세계사의 구조>와 함께 3대 주저로 꼽히는 <제국의 구조> 가라타니 고진의 <제국의 구조>(帝國の構造, 2014)가 출간되었다. 가라타니 고진은 <세계사의 구조> 이후 그것을 보충하는 형태의 책을 세 권 펴냈다. <자연과 인간>, <철학의 기원>, 그리고 이번에 출간된 <제국의 구조>이다. 그런 의미에서 <제국의 구조>는 <세계사의 구조>를 완성시키는 책이다. 하지만 이 책은 끊임없이 이동하는 사상가인 가라타니 고진이 <세계사의 구조>를 넘어서 새롭게 전개하는 사상의 시발로서 볼 필요가 있다. <세계사의 구조>가 교환양식의 관점에서 ‘세계사’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면, <제국의 구조> 역시 같은 관점에서 ‘제국’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제국의 관점에서 세계사를 다시 볼 것을 주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많은 논자들이 <제국의 구조>를 <트랜스크리틱>, <세계사의 구조>와 함께 가라타니 고진의 3대 주저(主著)로 평가하고 있다. ▶ ‘제국의 고차원적인 회복’이라는 미래 전망의 제시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세계사의 구조>에서 그저 이념으로서 제시된 ‘세계공화국’이 <제국의 구조>에서는 실제 오랫동안 존재했던 ‘제국의 고차원적인 회복’으로 보다 실제적으로 제시되고 있다는 것이다. 근대와 그것의 지배형태인 제국주의(그리고 신제국주의)의 극복은 아시아적 가치, 제국적 가치의 회복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따라서 <제국의 구조>는 기존의 수많은 제국론과 부딪힐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레닌, 홉슨, 아렌트의 제국(주의)론까지 갈 것 없이 비교적 최근의 국내에서도 널리 읽힌 네그리/하트의 대표작 <제국>과도 큰 대비를 이룬다. 이들 외에도 수많은 학자들이 제국이나 제국주의에 대해 논했다. 하지만 여전히 ‘제국’과 ‘제국주의’를 혼동하고 그것을 토대로 논의를 진행하여 불필요한 혼란을 불러일으켜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바, 이런 현실에서 <제국의 구조>는 ‘세계사적 시야’로 제국과 제국주의를 명확히 구분하고 제국적 가치를 재평가함으로써 신자유주의 하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 ‘유럽중심주의 극복’은 아시아중심주의가 아닌 ‘제국’이라는 정치시스템 이런 의미에서 <제국의 구조>를 읽게 되면 더 이상 이전처럼 제국과 제국주의에 대해 생각하기 힘들게 된다. 아니 비로소 제국과 제국주의에 대해 사유할 수 있게 된다. <제국의 구조>는 우리로 하여금 제국에 대한 저항과 독립을 제국주의에 대한 그것과 혼동하게 만든 유럽적 가치에 근본적인 비판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라타니는 제국에 대한 저항과 독립이란 자발적으로 생겨난 것이라기보다는 제국주의가 조장한 것으로, 결론적으로 제국주의의 지배를 용이하게 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적 가치(제국적 가치)를 부정하고 유럽적(제국주의적) 가치를 내면화시키는 데에 일조했다는 주장이다. 그렇다고 해서 아시아적 가치가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생겨난 아시아중심주의는 아니다. 중요한 것은 아시아라는 지역성이 아니라 ‘제국’이라는 정치시스템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6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