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제1부 초원의 최강 흉노 제국(기원전 209~216년) 흉노 제국과 돌궐 제국을 읽기 전에.....19 흉노의 기원.....23 최초 거주지 중앙 아시아에서 몽골 대초원으로.....26 유목민족 최초의 국가건설.....28 흉노의 어원.....29 하늘의 아들, 흉노 군주.....30 중국 사료에 기록된 흉노의 모습.....31 흉노의 전술.....33 흉노의 무덤고분.....34 흉노의 정치조직.....35 흉노의 건국자 묵돌의 등장.....37 강대국 동호와 월지를 치다.....40 묵돌의 팽창정책.....42 한 나라의 평성 백등산 전투의 치욕.....43 흉노―한 나라 간 화친(和親).....45 묵돌의 기고만장한 서신 한 통.....46 묵돌의 북방 유라시아 스물여섯 나라 병합.....47 한 나라의 배신자 중항열.....50 흉노와 한 나라 간 새로운 세계질서 정립 .....51 한 무제와 실크로드 무역로 지배권 경쟁.....53 장건의 서역 파견.....55 실크로드 서역을 뺏기다.....58 흉노―한 간 지루한 소모전.....59 기련산과 언지산을 잃다.....62 한 무제 흉노정벌 꿈 못 이루고 죽다.....64 후계자 쟁탈전과 흉노의 분열.....65 흉노 제국의 1차 분열.....67 흉노 제국의 2차 분열.....70 북흉노, 후한 반초에게 서역에 대한 패권 상실.....72 북흉노의 서천과 유럽 훈 제국.....73 아틸라의 동로마 침공.....76 아틸라의 서로마 침공.....78 아틸라의 사망과 훈 제국 패망.....79 후기 ; 우리와의 친연성은 무엇인가.....80 참고문헌.....82 제2부 동.서를 연결한 초원제국, 돌궐 제국(552~744년) 돌궐 등장 시 유라시아 정세.....85 돌궐의 기원.....85 돌궐의 시조 부민 카간.....88 Ⅰ. 제1 돌궐 제국 시대(552~659년) 유라시아 초강국 건설.....90 남북조 시대 북주와 북제 사이에서.....92 돌궐과 페르시아 사산 조와의 동맹.....94 돌궐과 비잔티움 제국과의 협상.....96 타스파르 카간 불교를 받아들이다.....99 돌궐의 카간 계승 문제.....100 수 나라 장손성의 돌궐 해체 음모.....101 돌궐의 대(對) 중국 신민 인정.....103 돌궐의 정신과 문화 바꿀 수 없다.....105 고구려 밀사의 돌궐 카간 방문.....107 쉬피 카간의 수 나라 공략.....108 동돌궐의 마지막 수 나라 침공.....109 동돌궐의 갑작스런 멸망.....110 서돌궐 타르두의 서방으로의 약진.....111 부족들의 반란으로 서돌궐 멸망.....112 Ⅱ. 제2 돌궐 제국 시대(682~744년) 건국자 쿠틀룩 일테리쉬 카간.....114 다시 제국으로 만든 카프간 카간.....115 중국의 이간책과 유목부족의 이탈?반란.....116 혼란기 군주 빌게와 행정전략가 톤유쿠크.....117 돌궐 제국의 종말.....119 민족적 자각을 일깨운 돌궐 비문의 역사.....120 퀼티긴 비문.....123 빌게 카간 비문.....124 톤유쿠크 비문.....124 후기 ; 비극적인 왕권 싸움은 왜 자주 일어났는가.....126 참고문헌.....128 제3부 유목에서 정주 문명국가로 변신한 위구르 제국(745~840년) 위구르 제국을 읽기 전에.....131 위구르 족의 기원.....132 위구르 카간 국가의 탄생.....134 중앙 아시아 일대의 운명을 결정한 탈라스 전투.....136 위구르의 위상을 높인 안록산의 난 진압.....137 비단과 맞바꾼 말, 견마무역.....139 평화와 동맹의 연결사 화번공주.....142 마니교를 받아들인 뵈귀 카간.....142 위구르 사신 토둔 살해사건.....145 위구르의 화친 요구.....147 어린 아 초르 카간의 사망.....148 위구르 지배집단 씨족 간의 갈등과 멸망.....149 위구르 유민들이 세운 왕국들.....151 위구르 문자와 문화.....153 후기 ; 초원의 지능집단 위구르 인들, 한반도에도 오다.....156 참고문헌.....158 제4부 이슬람 전사의 제국, 셀주크 제국(1040~1308년) 셀주크 제국을 읽기 전에.....161 튀르크 인들의 이슬람과의 만남.....162 셀주크 건국 당시 이웃 세력들.....165 이슬람의 기수 카라한 왕조.....165 술탄 칭호를 최초로 사용한 가즈나 왕조.....168 Ⅰ. 대셀주크 제국(1040~1157년) '오구즈 야브구'라는 부족국가.....171 셀주크의 부친 두칵 베이.....172 '오구즈 야브구' 부족국가를 탈출한 셀주크.....173 셀주크의 네 명의 아들과 두 명의 손자.....174 셀주크의 부하라 이주.....175 가즈나 술탄, 아슬란 야브구를 생포하다.....177 셀주크 왕조의 호라산 점령.....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