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분서Ⅰ 이지와 <분서> - 김해경 자서(自序) - 이지 <이씨분서> 초약후 서문(李氏焚書序) - 초횡 이온릉전(李溫陵傳) - 원중도 권1 서답(書答) 주서암에게 답함 주약장에게 답함 초약후에게 등석양에게 답함 다시 석양태수에게 답함 이견라 선생에게 답함 초의원에게 답함 구약태에게 보내는 답신 등석양에게 회답함 주남사에게 회답함 등명부에게 답함 경중승에게 답함 다시 경중승에게 답함 양정견에게 서울의 벗에게 보내는 회답 다시 서울의 벗에게 답함 송태수에게 회답함 경중승이 논한 담백함에 대한 회답 유헌장에게 답함 주우산에게 답함 주유당에게 답함 경사구에게 보내는 고별사 경사구에게 답함 등명부에게 답함 주유당에게 회답함 경대중승에게 보내는 답장 권2 서답(書答) 장순부에게 초약후에게 보내는 답장 다시 초약후에게 등정석에게 보내는 답장 서울에 있는 친구에게 보내는 답장 증중야에게 증계천에게 유방백에게 답하는 편지 장순부에게 답하는 편지 주우산에게 보내는 편지 다시 주우산에게 보내는 편지 초의원에게 유진천에게 보내는 편지 벗에게 보내는 편지 유진천에게 답하는 편지 유초천과 작별하며 친구에게 답하는 편지 여인은 도를 공부해도 별 수 없다는 견해에 대한 답변 경동로에게 답하는 편지 이유청에게 명인에게 초약후에게 약후에게 방백우에게 보내는 서간 양정견에게 양봉리에게 다시 양봉리에게 매형상에게 부록 : 매형상의 답신 또 매형상의 답신 마성 사람에게 회답하는 편지 하남의 오중승에게 보내는 편지 육사산에게 답함 주우산에게 우산에게 서울의 친구에게 부치는 편지 초약후에게 보내는 편지 사룡의 <두 어머니를 슬퍼하는 노래>에 부쳐 진천옹에게 회답하는 편지 진천옹의 장수를 기원하는 글 말미에 덧붙이다 모임 일자에 관한 쪽지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고충암옹에게 회답하는 편지 다시 고충암에게 통주로 보내는 시 말미에 다시 덧붙이다 부록 : 고양겸이 이온릉을 배웅하며 쓴 글 담연대사에게 보내는 답장 황안의 두 스님을 위한 글 세편 첫 번째, 큰 효자 두 번째, 참 스승 세 번째, 말실수 이점로에게 답하는 편지 권3 잡술(雜述) 탁오론 대략 논정편 하심은론 부부론 귀신론 전국론 병식론 잡설 동심설 <심경>의 대강 사물설 허실설 정림암기 고결설 벌레 세 마리 세 배반자 이야기 <충의수호전> 서문 소자유의 <노자해> 서문 고동지를 격려하는 글 대요로 가는 정현령을 전송하며 이중승의 <주의집> 서문 <선행록> 서문 <시문집> 후서 장횡거의 <역설> 서문 <용계선생문록초> 서문 관제께 아뢰는 글 이중계 선생 영전에 바치는 글 왕용계 선생 영전에 바치는 글 나근계 선생 영전에 아뢰는 글 제사 못 받는 귀신들을 위하여 황산비문 이생의 열 가지 사귐 자찬 유해 예찬 방죽도 족자에 적은 글 황안의 두 승려 수책에 쓰다 격률시에 대한 얄팍한 설명 분서(焚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