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왜 북한이냐: 위험과 양심문제
어째서 북한에 가는가?|북한을 여행할 수 있나? 허가도 받을 수 있고, 그럴 만한 의미도 있나?|북한여행은 안전한가?|그 밖에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나?
2. 입국: 생각보다 쉽네
여행사 없이는 되는 일이 없다|여정: 미리 준비된 메뉴|이야기 뒤에 숨은 이야기|여행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는?|비자 받기는 어려운가?|경제제재와 자금문제|트렁크에 무엇은 되고 무엇은 안 되나?|모든 길은 중국을 거친다
3. 소통과 미디어: 이 나라의 고유한 특성들
“아름다운 것만 찍어요, 제발”: 까다로운 사진 촬영 기술|전화를 할 수 있나?|인터넷=인트라넷|북한의 태블릿컴퓨터|북한 사람과의 대화|네모 속 음절: 한국어와 한국어 이름|‘북’이라는 말은 분노를 부르니: 이 나라를 무어라 불러야 할까?|표어와 현수막|옷깃의 지도자 배지|북한의 영화와 TV|우정을 위한 작은 선물? |관청과 관료들에 대한 태도
4. 숙소: 사회주의의 매력
무엇을 기대할 수 있나?|잠자리: 한국인들은 단단하고 따뜻한 바닥을 좋아한다|평양의 호텔들: 중요한 차이점 |개성의 민속려관|온천이 있는 룡강온탕원|민박숙소
5. 음식: 김치와 개고기
둘로 나뉜 사회|김치: 가장 한국적인 음식|개고기: 관점의 문제|그 밖에 어떤 음식이 있나?|서양의 영향: 퓨전음식과 요리 앱들|식당: 선택의 고통|음료와 음주 관습
6.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의 이동
버스 타고 북한여행|자전거의 인기|소달구지: 곤궁 아니면 미덕|불타는 화물차|공식적인 교통수단|북한제 자동차들|택시: 경쟁 만세|자동차번호판에 관한 몇 가지 지식|철도와 비행기: 간단한 운행 시간표
7. 노동자천국에서의 쇼핑
환율 미스터리|어떻게 쇼핑하나?|무엇을 살 수 있나?|값싼 음식, 값비싼 예술품: 가격은?|어디서 쇼핑하나?|쇼핑천국: 광복지구상업중심
8. 평양 서부: 권력의 중심부
평양: 닿을 수 있는 천국|3대혁명전시관|개선문: 동서양의 만남|모란봉공원: 특이한 것들을 갖춘 오아시스 |만수대언덕과 지도자동상|페가수스가 아니라 천리마동상|김일성광장과 인민대학습당|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만수대창작사: 선전 공장|매리사격장: 닭과 칼라슈니코브 총|만경대학생소년궁전: 인재양성과 인간동물원
|만경대: 김일성 생가|금수산태양궁전: 지도자들의 영묘|대성산혁명열사릉
9. 평양 동부 : 기념비와 오락
단군릉: 신화적 건국자의 도구화|5·1경기장: 스포츠와 쇼|꽃전시회들: 지도자들의 상징|평양볼링장: 중산층을 위한 오락|당창건기념탑: 돌로 나타낸 주도권 주장|주체사상탑: 도시와 이념의 상징물|러시아정교회: 우정을 위해 무언들 못하랴|과학기술전당: 하이테크를 향한 노력|조국통일3대헌장기념탑
10. 서북부: 예나 지금이나 공물 바치기
평성: 상인들의 도시|묘향산: 오랜 믿음을 간직한 보현사|국제친선전람관: 현대판 공물|신의주: 중국으로 가는 관문
11. 서남부: 오래된 갈등과 새로운 갈등
남포와 서해갑문 댐|사리원: 민속공원과 불교|신천박물관: 미군 전쟁범죄의 기억|개성: 전통과 실용주의|비무장지대와 판문점
12. 동남부: 동해의 관광산업
원산: 숨은 잠재력을 지닌 항구도시|금강산|마식령스키장: 북한에 알프스 분위기|함흥: 독일풍의 도시
13. 동북부: 혁명의 장소들과 경제개방지역
북한-중국 사이 국경 왕래|백두산: 신성한 산|남양, 왕재산, 회령|청진: 산업과 항구|칠보산: 동해안의 보석|라선 경제특구: 많은 것이 가능하고, 많은 것이 허술하고
14. 출국: 그러고 나면?
원정에서 버스 타고 훈춘으로|평양에서 기차로 베이징까지|순안에서 비행기로|다시 집에서: 그러고 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