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잘못된’ 패거리 문화는 그만! 이제는 잘못된 집단 이기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는 패거리 문화의 심리 저변을 파헤치다! 인간은 예부터 사회적인 동물이었다. 따라서 기분과 생각, 심지어 현실 인식까지 우리는 주변 사람들과 동조한다. 인류가 탄생한 이후로, 우리는 관심사와 믿음을 공유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우리 자신을 정의해왔다. 이런 집단주의적 속성은 많은 점에서 우리에게 유용하다. 우리를 같은 편에게 연결해주고, 우리에게 뒷마당 너머의 정보를 전해주며, 정신적이고 물리적인 외로움을 이겨내게 해주기 때문이다. 소셜미디어와 스마트폰의 도래로 우리의 집단주의적 성향이 더욱 강화되었고, 세계 전역의 사람들과 연결할 가능성도 더욱 커졌다. 그러나 우리가 비슷한 생각을 지닌 사람들과 어울리며 관심사나 신념이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어떤 결과가 빚어질까? 어떤 집단이 세계관을 확대하지 않고 현상 유지에 매몰되면 어떤 결과가 닥칠까? 심리학자이며 정서 조절 전문가, 세라 로즈 캐버너는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며 인간의 집단주의적이고 사회적인 자아를 파헤친다. 꿀벌의 사회성 패턴으로 시작해 SNS, 폭동 현장, 좀비와 컬트 문화까지 다양한 사례를 추적하며 오늘날 패거리 문화의 현실과 이것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오늘날 양극화된 사회에서 나타나는 진영 논리와 패거리 문화로 인해 우리는 점점 내집단에 매몰되고 있다. 그로 인해 공감 능력이 떨어지고 음모론에 휩쓸려 타인을 이해하는 법을 잊어버리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시계를 뒤로 돌릴 수는 없고 그렇다고 뒤로 돌릴 필요도 없다. 고대로부터 내려온 우리 내면의 집단주의적 심리와 자아를 제대로 이해하고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전략적으로 생각하며 서로 다른 우리를 더 가까이 이을 수 있도록 도와줄 사회적 테크놀로지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면 우리에게 크나큰 사회적 손실을 입히는 패거리 문화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녀사냥, 가짜뉴스, 따돌림 등 패거리 문화의 민낯들 잘못된 패거리 문화는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인간은 타고난 사회성을 지니고 태어난다. 많은 동물들이 사회성을 띄고 태어나지만 인간처럼 문명을 만들어낼 정도로 고도화된 사회성을 지니진 못했다. 이러한 인간의 사회성은 고대부터 생존을 위한 필수요소였다. 인간은 빼어난 사회성을 지닌 덕에 부족 집단을 형성하고 더욱 커다란 규모의 집단으로 성장하는 일도 가능했다. 또한 집단은 육체적 생존에서만이 아니라 정신적, 정서적으로도 매우 중요했다. 혼자라는 고립감을 제거하며 안정감을 주었으며 같은 관심사나 신념, 생각을 공유하며 서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조너선 하이트는 인간의 본성의 90%는 침팬지고 10%는 꿀벌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간은 개인으로 존재하지만 집단에 융화되어 집단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이기에 10%의 꿀벌이라 말했다. 집단주의적 성향은 생존에 큰 강점을 주었지만 내집단과 외집단을 나누어버리는 단점도 주었다. 만약 자신이 속한 집단에 집단과 관련 없는 누군가가 접촉해올 때 배척하는 경향을 보인다면 어떻게 될까? 혹은 그 누군가를 제대로 알지 못하지만 우리 집단에 영향을 줄 것이라 판단한다면? 이러한 베타적인 심리가 우리 집단을 장악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오늘날 사회에서는 이러한 모습이 패거리 문화라는 잘못된 모습으로 나타났다. 집단 안에 있는 인간들은 관심사, 신념, 생각이 서로 집단 자아로 발현되기에 편향되기 매우 쉬운 구조가 된다. 그렇게 나타난 패거리 문화는 매우 배타적일 수밖에 없다. 자신들과 관심, 신념, 생각이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면 곧바로 단체 응징으로 이어지게 된다. 오늘날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더 많이 보이는 대표적인 패거리 문화가 바로 마녀사냥과 가짜뉴스이다. 속칭 ‘카더라’ 소식이 점점 더 많아지고 이로 인해 사회적 혼란과 분열은 더욱 심화된다. 이러한 현상이 계속 이어지면 결국 우리는 ‘저신뢰’라는 늪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은 분명하다. 초연결로 인해 집단화가 쉬워졌지만 우리 사회는 여전히 분열되고 배타적인 사회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다. 이 책은 인간의 본성을 깨닫게 함과 동시에 분열이 아닌 화합을 이야기할 수 있음을 말한다. 그래서 이 책은 점점 편 갈라 싸우는 현 사회에 깊은 깨달음과 해결책을 제시하는 한 편의 사회 보고서이자 인간 본성을 파헤치는 깊은 인문 교양서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