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소설문법에서 벗어나 경쾌하고 과감한 어법과 예민한 시선을 통해 고립과 결핍의 심리를 절실하게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2005년 창비신인소설상에 단편 「영이」로 등단한 신인작가 김사과 첫 장편 『미나』가 창비에서 출간되었다. 바로 오늘날 십대들이 내뱉는 수많은 말과 말 사이 충동적인 행동들로 가득한 이 장편은 어느 작가보다 그 세대에 밀착되어 있는 젊은 작가의 작품이라는 점뿐 아니라, 한국문단에서 지금껏 만나본 적 없는 충격적이고 생생한 성장담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직도 쓸 이야기가 많다던 당돌한 신예작가의 첫 책이 전작장편인 것도 이즈음 한국문단에서 보기 드문 경우이다.
『미나』에는 미나와 미나의 오빠인 민호, 그리고 미나의 친구 수정, 이렇게 세 명의 십대 주인공이 등장한다. 복권 당첨금으로 하루아침에 부유해진 미나네는 초호화 빌라에 살고 있고, 수정은 외동딸로 공부든 뭐든 남에게 뒤지지 않는 남부럽지 않은 여고생이다.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규칙과 질서를 보란 듯이 잘 지키거나 뛰어넘는 수정은 같이 논술과외를 받는 친구 미나가 융이나 들뢰즈 같은 엉뚱한 철학자들의 이름을 줄줄 꿰는 것이 못마땅하지만, 미나네 집의 화려한 샹들리에나 넉넉한 형편이 못내 부럽기도 하다. 그러던 중 초등학교 시절 미나의 단짝친구였던 박지예의 자살소식을 듣게 된다. 한동안 연락이 뜸했던 친구의 자살이었지만, 미나는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학교를 자퇴하고 엄마의 등살에 대안학교로 옮겨간다. 친구의 자살소식에 그토록 휘청거리는 미나를 이해하지 못해 답답해하던 수정은 우연히 길에서 주워온 고양이를 벽에 던져 죽이고 창밖으로 버린다. 남자친구와 헤어지고 미나오빠인 민호와 사귀기로 한 수정은 어느날 새벽 마트에서 여러 종류의 칼을 사들고 학교로 간다. 학교에서 조퇴를 하고 미나 집을 찾은 수정은 그동안 자기 마음속에 품었던 이야기를 털어놓고 결국 미나를 칼로 찔러 죽인다.
‘On 세대’의 분리장애와 파괴적 단면
친구의 자살소식에 흔들리는 미나를 이해하지 못했던 수정은 미나를 죽여서라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문학평론가 강유정은 “24시간 ‘접속’상태인 21세기 십대들의 분리장애”로 설명한다. 한시도 접속의 끈을 놓지 못하는 십대들은 메신저로든 문자메시지로든 누군가와의 소통을 꿈꾼다. 소통하지 못하는 ‘Off’ 상태는 단절이며 죽음이다. 성장하면서 한번도 실패를 경험하지 못한 수정에게 이해할 수 없는 미나의 상태란 즉 ‘Off’ 상태이며 ‘악(惡)’인 것이다. 상대를 어떻게 할 수 없는 패배감에도 불구하고 그 상대를 갈구하는 답답함 때문에 수정은 살인을 저지른다. 수정은 미나를 사랑하기에 그녀를 영원히 박제하해 소유하고자 한다.
왜 자신을 죽이려는지 묻는 미나에게 계속 모른다고 대답하는 수정의 상태는 미나를 향한 사랑이 소유욕으로 전도돼 결국 상대를 없애고자 하는 파괴심리로 바뀐 모습이다. 한 여고생의 치기어린, 지극히 충동적이고 이유없는 살인처럼 보이지만 수정의 행동은 미나를 향한 ‘미친 사랑의 방식’인 셈이다.
당돌한 문명비판과 전복의 미학
김사과 장편 『미나』는 주로 스타카토식 대화체와 웅변에 가까운 서술자의 문명비판으로 진행된다. 십대들의 목소리를 고스란히 담고 나열되는 대화는 한국문단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세대적 성격을 절묘하게 담아내고 있다.
무심한 듯 가벼워 보이는, 맥락없고 호흡이 빠른 이런 식의 대화는 육성처럼 생동감있게 읽히며 있는 그대로 십대들의 대화이다. 한편 가볍기만 한 대화의 나열 속에 불쑥불쑥 튀어나오는 사회와 어른들의 대한 거침없는 발언은 예리하고 당돌하다. 학창시절 학생운동과 여성운동을 했지만 지금은 유럽산 가방을 모으는 취미로 허영심을 채우는 미나어머니나, 프랑스에서 철학을 공부했지만 P시의 사교육시장을 살찌우며 과외를 하는 논술선생, 복권에 당첨되어 하루아침에 벼락부자가 된 한심한 지식인 미나아버지 들은 형편없는 어른들을 표상한다. 특히 사교육문제는 그 어떤 문제보다 십대의 일상에 가장 밀접하고 첨예하게 대두된다.
『미나』는 이렇듯 기존 권위에 대한 해체와 부조리한 사회구조에 대한 저항을 기반으로 삐딱한 십대의 일상에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어른들이 세워놓은 기존 질서를 부정하는 대신 철저하게 뛰어넘는 ‘수정’은 영악한 십대의 전형이다. 아무것도 몰라서 순진하게 적응하고 타협하는 것이 아니라, 너무 잘 알기에 역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무것도 모르는 순진함을 미덕으로 여기는 전세대와 달리 수정은 스스로 저지른 잘못은 하나도 없고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기존 질서에 무감하게 대응하는 자신이야말로 순결한 존재라고 생각한다. 수정이 처한 사회-공간적 상황에 대한 거침없는 발언 또한 당돌하고 도전적이다.
‘수정’의 내면과 작가의 발언이 뒤섞여 쏟아내는 직설적인 세태비판은 가히 웅변적이다. 수정이 미나를 죽이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역으로 되짚어보면 우리 사회의 모순된 구조와 병폐가 압축되어 인과관계의 꼬리를 물고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학벌지상주의가 팽배한 사회에서 성적을 비관하여 자살한 박지예, 친구의 자살소식에 충격받아 옮긴 대안학교(사실은 그곳도 사회의 축소판)에서조차 적응하지 못하는 미나, 황금만능주의와 허영심에 가득찬 어른들을 흉내내는 수정의 부러움과 시샘, 생명경시풍조에서 비롯된 수정의 살인. 여고생의 친구 살해,라는 결코 작지는 않지만 단편적인 사건의 이면에는 거대한 사회구조 문제가 겹겹이 인과관계를 구성하는 것이다.
문학평론가 강유정은 미나를 죽이는 수정의 행위는 부패한 세계를 교조하는 것이 아니라 파괴함으로써 재건하고자 하는 급진적 혁명의지라고 읽는다.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기존질서에 대한 반항이라는 주제의식, 전통적인 소설문법을 해체한 문체 등 김사과 소설을 수식하는 여러 표현들을 실감할 수 있는 『미나』는 스물네살 젊은 작가가 한국소설에 던지는 도전장이자, 2007년 벽두 한국소설이 만나는 새로운 가능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