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 다양한 가치관이 존중받는 사회를 위한 글쓰기 1 비평의 의미 전달하지 않으면 가치는 생기지 않는다 문제를 단순화하는 글은 다양한 가치를 해친다 가치를 전달하는 글=비평 비평의 목적 비평의 효용 해석의 지평을 넓힌다 2 비평을 위한 준비 끓어오르는 감정을 억제한다 대립하는 의견을 상정한다 비평하기에 앞서 모르는 세계를 조사한다 비평 대상의 역사를 조사한다 비평하기에 앞서 지나치게 조사하지 않는다 비평 이후의 미래를 상상한다 독자의 독해력을 높이 상정한다 3 비평을 쓰다 서론, 본론, 결론이라는 구조를 의심하자 독자가 주의를 기울일 문장을 쓴다 불특정 다수의 독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정보는 가능한 한 서두에 정리한다 정보는 글이 되지 않는다 칭찬하는 글의 효용 긍정적인 점을 전달하려면 부정적인 요소를 먼저 강조하자 긍정의 말을 쓰면 부정의 의도가 더 잘 전달된다 일인칭 복수 대명사는 신중하게 쓴다 일인칭 단수 대명사를 주어로 삼는다 삼인칭 대명사를 주어로 삼는다 ‘나’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다 철저하게 관찰한다 ‘나’를 매몰시키지 않도록 쓴다 글에서 글쓴이가 드러나야 한다 당당히 ‘나’의 이름을 올린다 자신을 부정하자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쓴다 방황하면서 쓴다 4 비평을 단련하다 ‘-하는 것’을 쓰지 않는다 ‘재미없다’고 쓰지 않는다 ‘재미있다’고 쓰지 않는다 외국어 의존증에 주의하자 외국어 신드롬 말을 이어 붙이다 말을 지운다 전달하는 ‘은/는’과 나아가는 ‘이/가’ 명사화하지 않은 제목이 강하다 강조할 내용은 짧게 쓴다 불관계성의 미학 숫자를 의심하자 숫자를 무시한다 현재의 문제에 집중하자 5 비평을 꿰뚫다 타인의 글에서 배운다 다 쓴 글을 천천히 읽는다 퇴고는 다 쓰고 나서 글은 정해진 시간 안에 고쳐 쓴다 다른 의견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아직 비평이 존재하지 않는 세계에 대해 써 보자 계속 쓰자 맺음말 | 비평은 대상의 긍정에서 시작된다 역자 후기 | 누구나 비평을 쓸 수 있다. 의지만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