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 말고 다녀와

김현님 외 1명 · 에세이
22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8(14명)
0.5
3.5
5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14명)
코멘트
더보기

2009년 「작가세계」로 등단하고, 2014년 시집 <글로리홀>을 펴낸 시인 김현의 첫 산문집, <걱정 말고 다녀와>는 김현의 '먹고사는' 삶이 생생하게 상영되는 영화관 같다. 그는 시인이며, 인권활동가이고, 한 편의 영화를 제작한 바 있는 감독인 동시에, 임대주택 주민이자 도시 노동자이다. 책 속에 등장하는 '가족' '친구' '동료' '애인' 등은 낯설지 않다. 평범한 우리의 삶과 닮아 있기 때문이다. 작가 이부록은 김현의 삶과 켄 로치의 영화를 자신만의 색깔로 표현한다. 푸른빛을 띤 그의 작품은 '픽토그램'을 활용하여 보통 사람의 삶을 보여준다. 이 책은 시인 김현, 미술작가 이부록, 영화감독 켄 로치의 사유가 직조된, 그야말로 장르의 경계를 넘는 에세이집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3.8(14명)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들어서며_놀고먹을 수는 없을까? 조영희라고 합니다_레이디버드 레이디버드 그다음에… 라는 말_영화잡지 <키노> 집이란 이렇게 복잡하다_케시 컴 홈 미래는 뽀뽀하듯_다정한 입맞춤 문학은 이길 수 없다_제69회 칸 영화제 밤하늘은 안전한 것처럼 보인다_스위트 식스틴 촛불은 얼마나 단단한 물체인가_나, 다니엘 블레이크 그건 연기할 수 있는 게 아니다_비전문 배우 당신은 성실한 사람입니까?_룩킹 포 에릭 생활이 그대를 속일지라도_가족생활 수습하며 사는 기쁨_자유로운 세계 무무, 모모 그리고 나_폴 래버티 귀엽고 강한 우리_지미스 홀 영화와 나 사이에는_제70회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지금껏 이렇게 살아온 몸이라면_네비게이터 미주는 처음부터 끝까지_그들 각자의 영화관 그나저나 내가 켄로치라면_빵과 장미 디어 마이 수아_레이닝 스톤 고양이 때문에_케스 구름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말_문제적 감독 나오며_영화를 보았다 별책부록_견본세대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시인 김현, 그의 첫 산문집 ‘문제적 감독’ 켄 로치를 통해 보통 사람의 삶을 그리다 “우리는 생활에서 벗어날 수 없다. 적어도 나는 그렇다. 언제나 생활이 앞장선다. 문학―하는 자라고 해서 뭐 특별히 다른 생활을 하는 것도 아니고 특별히 다른 생활을 해야만 문학을 하는 것도 아니다.” 현실은 연약하고 “울음은 웃음보다 성실”하다는 걸 알지만, 김현 시인님, 현아, 삶이 삶을 구한다는 그 문장을 나는 믿는다_조해진 소설가 장르의 경계를 넘는 산문집 2009년 《작가세계》로 등단하고, 2014년 시집 《글로리홀》을 펴낸 시인 김현의 첫 산문집, 《걱정 말고 다녀와》는 김현의 ‘먹고사는’ 삶이 생생하게 상영되는 영화관 같다. 그는 시인이며, 인권활동가이고, 한 편의 영화를 제작한 바 있는 감독인 동시에, 임대주택 주민이자 도시 노동자이다. 책 속에 등장하는 ‘가족’ ‘친구’ ‘동료’ ‘애인’ 등은 낯설지 않다. 평범한 우리의 삶과 닮아 있기 때문이다. 작가 이부록은 김현의 삶과 켄 로치의 영화를 자신만의 색깔로 표현한다. 푸른빛을 띤 그의 작품은 ‘픽토그램’을 활용하여 보통 사람의 삶을 보여준다. 이 책은 시인 김현, 미술작가 이부록, 영화감독 켄 로치의 사유가 직조된, 그야말로 장르의 경계를 넘는 에세이집이다. 먹고사는 문학 시인도 먹고살기 위해 일한다. 적어도 김현은 그렇다. 그의 문학은 ‘생활’에서 비롯된 것이다. 고된 얼굴로 잠든 청년의 삶을 응원하고, 자신의 인생이 실패했다고 생각하는 ‘엄마’를 위로하며,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동료들과 함께 싸우고, 퀴어 퍼레이드에서 사랑하는 얼굴 혁명하는 얼굴 선언하는 얼굴로 행진하고,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폭력을 규탄하며, 촛불 앞에서 진실 앞에서 엄숙해지는 사람이 김현이다. 그는 특별한 사람이 아니라서, 아등바등 산다. 당신은 어떠한가? 당신도 김현 같은가? 꿈꾸는 사람들 켄 로치는 영국의 영화감독이며, 주로 노동자들에 관한 영화들을 연출했다. 그는 영화에서 노동자, 빈민, 노숙자 등을 사실적으로 그린다. 우리 곁에 있으나 외면받거나 외면하는 사람들을 차례로 호명한다. 그리고 관객에게 질문한다. 우리 지금 괜찮냐고. 이 책은 켄 로치의 질문으로부터 시작된다. 그의 영화뿐 아니라 인터뷰와 수상 소감 등을 짧게 소개하며, 지금의 한국 사회를 생생히 보여준다. 그가 사는 서울은 녹록치 않다. 모든 집이 안전하지 않다. 많은 청년은 단칸방에서 내 집 마련의 꿈을 꾸고, 집을 마련한 청년은 억대의 은행 대출금 앞에서 절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밤하늘 보며 다짐하는 사람들, 꿈을 꾸는 사람들, 그들이 이 책의 주인공이다. 수많은 소망 픽토그램은 ‘그림picture’과 ‘전보telegram’의 합성어로, 언어를 초월하여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만든 그림문자다. 그린이 이부록은 픽토그램을 통해 켄 로치의 질문들과 김현의 주인공들을 표현한다. 이를 통해 보통 사람의 삶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그의 작품에는 철조망 앞에 선 사람이 있고, 거대한 우산 바깥에서 비 맞는 사람이 있다. 또한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있고, 노동자를 감시하는 사람이 있다. 어떤 사람은 새처럼 날고 싶어 하고, 어떤 사람은 쓰러져 있다. 위태롭다. 오랜 세월 청소노동자로 일한 큰외삼촌의 허리디스크, 식당 일을 하는 어머니의 손가락 마디에서 툭툭 불거지는 관절, 오래 앉아 일하는 이의 뱃살과 오래 서서 일하는 이의 종아리 알, 아이들을 가르치는 이의 목소리와 감정노동에 지친 이의 정신상태…. 이처럼 우리는 아프지만 수많은 소망이 있다. 새로운 공동체를 꿈꾼다. 걱정 말고 다녀와 시인 김현, 작가 이부록, 영화감독 켄 로치. 세 예술가는 선언한다.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다고, 거짓은 참을 이길 수 없다고,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고, 우리는 포기하지 않을 거라고. 그들의 공동연출작, 《걱정 말고 다녀와》는 온종일 술 취한 사람에게, 건실한 노동자에게, 아이가 있는 미래를 꿈꾸는 신혼부부에게, 폐지를 줍는 일로 생계를 꾸려가는 노인에게, 할머니 할아버지까지 모인 대가족에게, 1인 가구에게, 미혼모에게, 장애인에게, 성소수자에게, 이런저런 포비아에게, 우리에게 손짓한다. 걱정 말고 다녀와! 그들의 영화가 주제곡과 함께 시작된다. 우리의 삶이 착취당하지 않기를 태어날 때부터 숨이 다하기 전까지 가슴도 몸만큼 허기집니다 빵과 장미를 함께주세요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