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시문학사의 재정립을 위하여_수정증보판 서문 ___ 3 책머리에 ___ 5 근대 이행기 191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이명찬 17한국 시문학의 특성 1. 시대 규정과 기점의 문제 ___ 17 2. 이행기 한국 시문학의 근대성 ___ 20 3. 근대 이행기 시문학의 전개 과정 ___ 25 4. 남는 말 ___ 42 근대 자유시의 정착과 192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전도현 45이념적 분화 1. ‘문화정치’의 실상과 민족의식의 확립 ___ 45 2. 1920년대의 문단 상황 ___ 51 3. 1920년대 시의 주요 경향과 특징 ___ 57 4. 마무리 ___ 81 확대와 심화, 1930년대, 일제 말 암흑기의 시문학사 김유중 83혼란과 좌절의 양상들 1. 시대적 배경 ___ 83 2. 문단 내외의 상황 ___ 87 3. 1930년대 시단의 경향과 조류 ___ 97 4. 암흑기의 시단 ___ 127 해방 직후 시의 1940년대 후반의 한국 시문학사 유성호 139전개 양상 1. 해방과 갈등, 분단 체제의 완결 ___ 139 2. 민족 주체의식의 강조와 왜곡된 현실 비판 ___ 143-‘조선문학가동맹’ 계열의 시인들 3. 높은 예술적 성취와 자기 성숙의 목소리 ___ 153-민족주의 혹은 전통적 서정주의 계열의 시인들 4. 소결-통일문학사의 직접적 전사前史 ___ 163 한국 전후 시의 195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남기혁 167형성과 전개 1. 1950년대의 시대적 상황과 문학적 상황 ___ 167 2. 전후 시단의 재편과 새로운 발표 매체의 등장 ___ 172 3. 전통주의적 경향의 시와 시인들 ___ 177 4. 모더니즘적 경향의 시와 시인들 ___ 187 5. 현실참여시의 태동 ___ 199 6. 맺음말 ___ 203 4.19혁명 이후 196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문혜원 207우리 시의 유형과 특징 1. 1960년대 문학의 위상 ___ 207 2. 순수.참여 논쟁 ___ 212 3. 1960년대 시의 세 가지 유형 ___ 216 4. 시사적인 의의 ___ 240 산업화시대 시의 197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이승하 243모색과 발전 1. 1970년대의 의미 ___ 243 2. 1970년대의 문단 상황 ___ 245 3. 현실참여의 시 ___ 251 4. 자유정신의 시 ___ 279 5. 서정시의 다양성 ___ 293 6. 문명 비판의 양상 ___ 327 7. 소시민 혹은 온건주의자들의 노래 ___ 338 8. 시 형식의 변화 ___ 345 9. 마무리 ___ 358 광주항쟁 이후 시의 198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맹문재 361양상과 특징 1. 1980년대의 상황과 시단 ___ 361 2. 1980년대 시의 양상과 특징 ___ 365 3. 1980년대 시의 의미 ___ 408 현대시의 풍경, 199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고명철 411그 다원성의 미학 1. 1990년대 시, 그 ‘다원성의 미학’ ___ 411 2. 민중시-후기자본주의 현실에 대한 시적 대응 ___ 417 3. 여성시-남성 중심의 근대적 주체에 대한 모반 ___ 424 4. 생태시-‘온생명’의 가치를 되살리는 생태학적 상상력 ___ 430 5. 신서정시-구태의연한 서정에서 벗어나는 갱신의 욕망 ___ 437 6. 환상시-현실/환상의 경계에 틈입한 ‘환상적 리얼리티’ ___ 442 7. 21세기 시문학 지평을 개척하는 1990년대의 시문학 ___ 448 탈경계 시대 현대시의 2000년대의 한국 시문학사 이경수 451모색과 도전 1. 2000년대 시단의 풍경 ___ 451 2. 신세대의 약진과 새로운 시적 주체의 출현 ___ 457 3. 탈국가적 상상력과 문학의 윤리에 대한 고민 ___ 473 4. 정치의 일상화와 정치적 상상력의 갱신 ___ 486 5. 분출하는 목소리-들, 분화하는 시-들 ___ 502 부록__ __14차산업혁명과 권성훈 507한국 시의 미래는? __2새로운 독자는 21세기의 시와 시인과 독자 이승하 518무엇을 원하고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