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가상현실은 미래를 리허설하는 공간이다 로이 애스콧 - 예술과 아포리아, 가상현실에서의 트랜스액션 나비의 열정|자기를 창조하는 다중자아|세 가지 VR의 싱크리티즘 - “기술과 더불어 공(共)진화하라” 의식의 진화|기술과 자연의 공진화|프라이버시의 종언|웜홀링|싱크리티즘|기계와의 소통의 건조함 02 젊은 세대는 영원히 늙지 않는 디지털 부족이다 도널드 마리넬리 - 게이머의 승리 비디오게임의 미래|유비쿼터스 컴퓨팅|영원히 늙지 않는 사람들 - “과학은 신과 같아지려는 시도다” 디지털 세계의 현상학|디지털 선사시대?|디지털 아편? 03 가상현실에서 혼합현실로 히로세 미치타카 - 가상현실 2.0과 디지털 공공예술 가상현실|증강현실|증강가상|디지털 공공예술 - “아바타, 리얼 아바타, 그리고 로봇” 리얼리즘의 균형|가상현실에서 증강가상으로|소음에서 정보로 04 초박막, 가상과 현실 사이의 긴장 제프리 쇼 - 뉴미디어의 은밀한 구현, 제3의 공간과 어둠 신체와 공간의 협상|디지털 공동행동|불신의 유예 - “디지털의 본질은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능력에 있다 ” 디지털의 고유성|디지털 마니에리스모|초박막|시각문화의 미래 05 예술은 세계와 인간의 관계의 불완전함을 극복하려는 시도다 후지하타 마사키 - 체험을 통한 소통적 상호작용 인터랙티브 아트|GPS 프로젝트|식물에게 보행 훈련을 - “기술의 이해를 넘어 기술의 본질을 물어야” 불완전함의 극복|기술과 예술의 관계|미디어아트의 정체성 06 언젠가 컴퓨터게임의 셰익스피어를 갖게 될 것이다 사이먼 페니 - 경험과 추상, 예술과 기계의 논리 문자와 기술의 고전적 분열|기술의 문화적 규정성|예술은 어리석어야 한다 - “재현에서 수행으로 예술의 잔략을 수정해야” 행동의 미학|재현에서 수행의 모델로|자율적 행위자|네트워크 멀티미디어 07 인류의 생존을 위해 인공의 생명을 만들다 가와구치 요이치로 - 로봇 생명체의 예술 자기복제를 하는 인공생명|예술이란 생존이다 - “우주에 예술의 DNA를 뿌린다” 진화 알고리듬|인공생명 예술의 유전형과 발현형|생명인가, 생명의 모조인가|예술의 특수진화 08 도시의 에너지를 먹고 사는 생명기계 최우람 - 아니마 머신과 키네틱 아트 기계는 생명이다|기계 신의 환상 - “하드웨어에서 감성과 정신으로 가고 싶다” 키네틱과 로보틱|기계생명의 진화|무기체와 유기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