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옮긴이의 글 조르조 아감벤과 “호모 사케르” 기획 왜 아감벤인가? 우리는 모두 잠재적 ‘호모 사케르’이다 두 명의 아감벤? 언어에 관한 물음 재현 가능성 제1장 언어와 존재의 부정성 아감벤과 출발점으로서의 하이데거 《언어활동과 죽음》 읽기 목소리 제2장 유아기와 고고학적 방법 유아기 고고학과 철학적 방법 아감벤과 데리다 제3장 잠재성과 ‘도래하는 철학’의 임무 변증법 발터 벤야민과 아감벤의 방법 아감벤과 역사 무위 잠재성 도래하는 공동체 제4장 정치 벌거벗은 생명과 주권권력 아감벤과 푸코 ‘생명정치’란 무엇인가? 조에, 비오스, 벌거벗은 생명 주권의 논리 ‘호모 사케르’의 산출 수용소, 난민, 죽음정치 현대세계에서 생명정치를 형상화하기 대테러 전쟁과 국가의 폭력 난민이라는 형상 생명정치적 문신 새기기 ‘쇠퇴’하고 있는 정치 제5장 몸짓의 고향 예술과 영화 예술과 근대성 몸짓을 향해 : 아감벤과 바르부르크 몸짓 아감벤의 영화론 제6장 문학이라는 실험실 시, 철학, 비평 아감벤과 카프카 시와 산문 시학을 향해 제7장 증언과 메시아적 시간 윤리 아우슈비츠 저속화 메시아주의 아감벤 이후 아감벤을 읽는 것의 정치 현대인인 아감벤 아감벤의 모든 것 아감벤의 저작 아감벤에 관한 2차 문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