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1586년 노비소송 “나는 노비로소이다” 법정의 모습―선조 19년 나주 관아|원님재판|결송입안과 문서 생활|1586년 이지도·다물사리 판결문|송관 김성일 |올곧은 법관의 수난|부임과 파직|관할과 상피 言中有言 1 : 명판결의 한 사례 2장 또 다른 노비소송 “나는 양인이로소이다” 허관손의 상언|보충대|유희춘의 자녀들|얼녀 네 명 모두 양인이 되다|임금에게까지 호소하다|황새 결송|심급제도 |삼도득신법의 등장|삼도득신법에 대한 반발 3장 법에 따라 심리한다 소송의 비롯|민사소송과 형사소송|공문서와 이두|아전|향리의 역할|법 적용을 다투다|소송법서|사송유취|실체법과 절차법|수교와 법전 言中有言 2 : 재판과 조정 4장 : 진실을 찾아서 나주 법정에 이르다|원고 “다물사리는 양인입니다!”|피고 “저는 노비이옵니다!”|신분과 성명|증거조사|호적 상고 |압량위천과 암록|조사 결과와 증인신문|투탁|공천과 사천|착명|도장|추정소지 5장 : 재판과 사회 원고와 피고의 변론이 종결되다|판결이 내려지다|사건의 전모|구지의 작전|이지도의 사정|반전|분쟁과 재판 |노비제 사회|소송비용|판결의 증명|소송과 권리 실현|소송과 법제 言中有言 3 : 소송을 꺼리는 문화적 전통? 부록 1517년 노비결송입안―광산 김씨 가문 소장 이지도·다물사리 소송 판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