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사학사

R. G. 콜링우드 · 역사
45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위대한 옥스포드 철학자, 역사가 및 고고학자인 R. G. 콜링우드의 유명한 저서인 <서양사학사(Idea of History)>. 원래 1946년에 사후에 출판되었다. 이 중요한 저서는 역사에 대한 생각이 헤로도토스 시대에서 20세기로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검토하고, 역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콜링우드 자신의 견해를 제공한다. 이 책의 구성은 서문과 1부 역사의 역사, 2부 Epilegomena로 되어 있어, 서문에서는 역사 및 역사 철학에 대한 개관을, 1부에서는 시대에 따른 역사의 변천과 이론을, 2부에서는 1부의 이해를 돕는 이론을 각각 서술하고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목차

간행에 즈음하여 3 서 문 9 Ⅰ. 역사철학 10 Ⅱ. 역사의 성격·대상·방법과 가치 18 1 역사의 정의 20 2 역사의 대상 21 3 역사는 어떻게 진행되는가 21 4 역사의 목적은 무엇인가 22 Ⅲ. 제1부(제1장~제4장)의 문제 23 제1부 역사의 역사 제1장 그리스·로마의 역사서술 28 제1절 신정적 역사와 신화 28 제2절 헤로도토스에 의한 과학적 역사의 시작 33 제3절 그리스 사상의 반역사적 경향 36 제4절 역사의 성격·가치에 관한 그리스적 견해 38 제5절 그리스 역사의 방법과 그 한계 42 제6절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 46 제7절 헬레니즘 시대 50 제8절 폴리비우스 54 제9절 리비와 타키투스 57 제10절 그리스·로마 역사서술의 특징 63 (1) 휴머니즘 63 (2) 실체론 65 제2장 그리스도교의 영향 70 제1절 그리스도교적 이념의 점진적 변화 70 제2절 그리스도교적 역사서술의 특징 74 제3절 중세의 역사서술 78 제4절 르네상스의 역사가 84 제5절 데카르트 86 제6절 데카르트파의 역사서술 90 제7절 반反데카르트주의 92 (1) 비코 92 (2) 로크·버클리 및 흄 102 제8절 계몽주의 108 제9절 인간성의 과학 115 제3장 과학적 역사의 시작 120 제1절 로맨티시즘 120 제2절 헤르더 123 제3절 칸트 129 제4절 실러 144 제5절 피히테 145 제6절 셸링 153 제7절 헤겔 155 제8절 헤겔과 마르크스 166 제9절 실증주의 172 제4장 과학적 역사 181 제1절 영국 181 (1) 브래들리 181 (2) 브래들리의 후계자들 191 (3) 19세기 말의 역사서술 194 (4) 베리 198 (5) 오크쇼트 203 (6) 토인비 214 제2절 독일 221 (1) 빈델반트 221 (2) 리케르트 226 (3) 짐멜 228 (4) 딜타이 230 (5) 마이어 236 (6) 슈펭글러 243 제3절 프랑스 246 (1) 라베송의 유심론 246 (2) 라슐리에의 관념론 249 (3) 베르그송의 진화주의 251 (4) 현대 프랑스의 역사서술 253 제4절 이탈리아 255 (1) 1893년의 크로체 논문 255 (2) 크로체의 제2의 입장: 논리학 260 (3) 역사와 철학 263 (4) 역사와 자연 264 (5) 크로체의 최종 견해: 역사의 자율성 269 제2부 EPILEGOMENA: 역사의 이론 제1장 인간성과 인간역사 276 제1절 인간성의 과학 276 제2절 역사적 사고의 분야 282 제3절 정신의 인식으로서의 역사 292 제4절 결론 305 제2장 역사적 상상 311 제3장 역사적 증거 334 서론 334 제1절 추정적인 것으로서의 역사 337 제2절 추정의 여러 종류 339 제3절 증언 342 제4절 가위와 풀 344 제5절 역사적 추정 348 제6절 분류 352 제7절 누가 존 도우를 죽였는가? 355 제8절 질문 358 제9절 진술과 증거 366 제10절 질문과 증거 370 제4장 과거경험의 추체험追體驗으로서의 역사 376 제5장 역사의 주제 403 제6장 역사와 자유 421 제7장 역사적 사고에 의해 창조된 것으로서의 진보 429 역자후기 447 찾아보기 449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모든 역사는 생각의 역사이며 현재의 역사이다. 위대한 옥스포드 철학자, 역사가 및 고고학자인 R. G. 콜링우드의 유명한 저서인 서양사학사(Idea of History)는 원래 1946년에 사후에 출판되었다. 이 중요한 저서는 역사에 대한 생각이 헤로도토스 시대에서 20세기로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검토하고, 역사가 무엇인지에 대한 콜링우드 자신의 견해를 제공한다. 이 책의 구성은 서문과 1부 역사의 역사, 2부 Epilegomena로 되어 있어, 서문에서는 역사 및 역사 철학에 대한 개관을, 1부에서는 시대에 따른 역사의 변천과 이론을, 2부에서는 1부의 이해를 돕는 이론을 각각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은 조금 어려울 수는 있지만, 역사와 그 연구에 관심이 있다면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여전히 중요한 매혹적인 책이다. 이 책은 “역사 철학”에 관한 논고다! 콜링우드의 "서양사학사(Idea of History)"는 20세기 역사와 그 연구에 관한 가장 중요한 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역사 연구"를 언급할 때 그것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여러 가지 시도를 한다. 각 시대의 역사 연구에 있어 결국 그 시대를 지배하는 철학과의 관계는 떼려야 뗄 수 없다. 역사와 철학을 비교하면서 역사만의 독특한 지위를 설명한다. 과거에 대한 기술을 역사로 볼 것인가? 제1부는 앞서 언급한 주제를 간략히 살펴본 후 고대 그리스인에서 동시대(1930 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를 살펴보고 그 견해에 대한 문제점을 보여준다. 그와 함께 끊임없이 역사 연구에 관한 각 시대의 고민과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과거에 대한 단순한 기술에서부터 과학적 역사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시대별 국가별 역사 철학과 주요 역사가 및 철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연구를 소개함으로써 보여주고 있다. 역사는 과거경험의 추체험이다! 제2부에서는 역사란 무엇인지 그리고 역사 연구가 왜 그리도 중요한지에 대한 저자의 매우 설득력 있는 주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역사가는 과거의 사건에 대해 지금, 여기에서 이 사건을 추체험함으로써 역사적 사건으로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역사는 현재의 역사가 되는 것이며, 또한 그렇게 사건을 추체험함으로써 그 사건의 당사자들의 생각을 경험하고 그 생각으로부터 나온 행동으로 사건이 일어나므로 모든 역사는 생각의 역사인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