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의 역사

데이비드 호크니님 외 1명
360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4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서문 서론: 픽처, 미술과 역사 1.픽처와 리얼리티 2.자국 만들기 3.그림자와 속임수 4.시간과 공간의 픽처 5.브루넬레스키의 거울, 알베르티의 창문 6.거울과 거울상 7.르네상스: 자연주의와 이상주의 8.종이와 물감, 그리고 복제 9.무대의 픽처, 픽처의 무대 10.카라바조, 그리고 비밀 카메라 11.페르메이르와 렘브란트: 손과 렌즈, 그리고 마음 12.이성 시대의 진실과 아름다움 13.1839년 전후의 카메라 14.사진과 진실, 그리고 회화 15.사진으로 만든 회화, 사진 없이 만든 회화 16.스냅샷과 무빙 픽처 17.영화와 스틸 18.끝나지 않는 픽처의 역사 주석 참고도서 도판목록 감사의 말 찾아보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그림은 우리가 본 것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데이비드 호크니는 말한다. 하지만 그림을 만드는 사람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의문에 맞닥뜨리게 된다. 3차원의 인간과 사물, 그리고 장소를 어떻게 해서 평평한 표현에 압축시켜 넣을 것인가? 그에 대한 응답이 바로 회화와 사진, 그리고 영화이다. 그것들은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하는 식으로 시기나 스타일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하지만, 호크니에 따르면, 붓으로 그린 것이든 카메라나 디지털 장치를 이용한 것이든 간에, 동굴벽화에 그려진 것이든 컴퓨터 스크린에 표현된 것이든 간에, 그것들은 모두 그림(pictures)이다. 우리가 우리 주변의 세계를 이해하고자 한다면(그리고 그로써 우리 자신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우리에게는 그림의 역사(a history of pictures)가 필요하다. 이 책이 바로 그것이다. 일생 동안 회화와 드로잉, 그리고 카메라 이미지 작업을 해 온 데이비드 호크니는, 미술비평가 마틴 게이퍼드와 함께, 지난 수천 년간 어떻게 그림들이 만들어져 왔는지, 그리고 왜 만들어져 왔는지 탐구한다. 어째서 평평한 표면에 그려진 자국들은 흥미로운가? 어떻게 하면 정지된 그림을 통해 대상의 움직임을 보여 줄 수 있는가? 한편으로, 영화나 텔레비전 방송은 오래된 미술 거장들의 작품과 어떤 면에서 유사한가? 캔버스나 스크린에 표현된 정적인 이미지 속에 시간과 공간을 담아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림이 우리에게 보여 주는 것은 과연 진실인가, 혹은 거짓인가? 사진이 보여 주는 세계는 우리가 바라보는 세계와 동일한가? 디즈니 애니메이션과 히로시게의 일본 목판화를, 에이젠슈타인의 영화와 벨라스케스의 회화를 병치시킴으로써, 호크니와 게이퍼드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 사이의 일반적인 경계를 넘나들고, 서로 다른 시간과 매체 들을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방식으로 연결시킨다. 이런 작업을 통해, 그들은 영화, 사진, 회화, 드로잉이 깊은 상호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우리의 생각을 자극하고 깊은 통찰을 제시해 주는 『그림의 역사』는 인간이 현실을 재현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커다란 도움을 줄 것이다. (도판 310개 수록)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0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