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웰다잉의 삶인가?

건양대학교 웰다잉 융합연구소 · 사회과학
272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_웰다잉 사례 연구집을 내며 제1부 웰다잉 사례 연구를 위하여?웰다잉의 조건 1. 좋은 죽음이란 무엇일까? 2. 한국인들은 죽음을 어떻게 대하는가? 제2부 웰다잉 사례연구 1?웰다잉에 부합하는 삶 1. 87세 가주연 할머니의 사례 ?되돌릴 수 없는 삶 2. 83세 임 장로의 삶을 통해 본 웰다잉 사례-노화이론에 비춰본 웰다잉 3. 일흔 살의 열정에 도전하는 정순엽 씨 사례-꿈을 꾸는 한 나이를 먹어도 늙지 않는다 4. 독거노인 구○○ 할머니의 삶-무엇이 웰다잉에 부합하는 삶인가? 5. 파킨슨 치매 할머니의 행복한 임종-삶의 추억을 함께하는 임종 6. 자서전을 통해 본 철학자 정종 교수의 삶-웰다잉의 조건 제3부 웰다잉 사례연구 2-존엄한 죽음 1. KBS 스페셜 ‘교회오빠’ 사례를 통해 본 웰다잉-암에서 앎으로 2. 이국의 천사들을 통해 본 웰빙과 웰다잉 사례-사회적 삶의 행복과 죽음 3. 92세에 시를 쓰기 시작한 시바타 도요 씨의 사례-창작활동을 통해 돌아보는 삶과 죽음 4. 한국의 슈바이쳐 故 이태석 신부-꽃처럼 아름다운 삶과 죽음 5. 신념, 기부, 봉사로 이끌어낸 아름다운 죽음 사례-가치 있는 삶과 죽음 6. 우리는 죽음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가?-내 죽음을 선택할 권리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당신은 어떤 죽음을 맞이하길 원하십니까? 한국인의 보편적 삶과 죽음을 통해 보는 웰다잉 사례 연구 죽음을 주제로 한 학술 연구와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건양대학교 웰다잉 연구팀이 죽음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고 웰다잉에 대한 관심을 다양한 시각에서 담아내려는 목적으로 발간한 ‘웰다잉 사례집’. 우리는 주변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의 죽음을 목격하게 된다. 우리는 죽음에 대한 부정적 관념 때문에 이런 다양한 죽음의 모습을 관찰하고 기술하고 규정하는 것을 금기시해 왔다. 하지만 ‘웰다잉’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고 있는 지금 우리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삶과 죽음을 관찰하고 기술하여 논의의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에 의학, 보건학, 통계학, 문학, 철학 등의 교수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연구 주제에 맞게 우리 주변 12인의 삶과 죽음을 정밀하게 기록하고 조사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죽음에 대한 공론화는 절망과 두려움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삶의 희망을 이야기하고 남아있는 삶을 보다 충실하게 살려는 희망과 기대를 품기 위함이다. 초고령 사회에 접어든 한국에서 이제 우리는 죽음은 어떤 의미를 지니며 ‘좋은 죽음’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를 고민해야 할 단계에 이르렀다. 우리 주변의 생생한 ‘삶과 죽음’ 이야기를 엮어낸 이 책은 학술적 논의를 넘어 우리 시대 “좋은 죽음이란 무엇인가”의 의미를 밝히고 있다. 또한 이 책을 읽는 일반 독자들에게는 이 책이 자신의 지난 삶을 돌아보고 남아 있는 삶을 소중하게 사는 데에 사례집이 작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