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알베르 카뮈 · 에세이
156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9(28명)
평가하기
3.9
평균 별점
(28명)
흄세 에세이 2권. <이방인>과 <페스트>로 세계문학사에 자신의 이름을 분명히 새긴 소설가 알베르 카뮈의 시인으로서의 감성을 엿볼 수 있는 에세이다. 1938년에 출간된 <결혼>과 함께 가장 서정적이고 섬세한 카뮈의 에세이로 손꼽힌다. <결혼>이 죽음의 그림자까지 걷어내는 젊음의 힘을 형상화한 ‘청춘의 에세이’라면, <여름>은 겨울처럼 냉혹한 현실을 ‘불굴의 여름’으로 버텨내는 뜨겁고 눈부신 ‘태양의 에세이’라고 할 수 있다. 대지와 바다에 대한 고요한 사색과 지중해의 매력을 담뿍 담은 도시 산책, 예술과 신화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 한 편의 산문시를 떠올리게 하는 항해일지에 이르기까지 여느 책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아름답고 풍성한 카뮈 언어의 다채로운 향미를 맛볼 수 있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별점 그래프
평균3.9(28명)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저자/역자

코멘트

5

목차

미노타우로스 또는 오랑에서 멈춘 발걸음―피에르 갈랭도에게 _009 아몬드나무들 _051 저승에 간 프로메테우스 _059 과거가 없는 도시들을 간략하게 안내하기 _069 추방된 헬레네 _079 수수께끼 _091 티파사에 돌아오다 _105 가장 가까운 바다―항해일지 _123 해설 | 여름이여, 젊음이여, 사랑이여 _141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순수와 아름다움에 포위된 여름의 도시들, 그곳에 내리쬐는 삶이라는 이름의 뜨거운 매혹 《이방인》과 《페스트》로 세계문학사에 자신의 이름을 분명히 새긴 소설가 알베르 카뮈의 시인으로서의 감성을 엿볼 수 있는 에세이다. 1938년에 출간된 《결혼》과 함께 가장 서정적이고 섬세한 카뮈의 에세이로 손꼽힌다. 《결혼》이 죽음의 그림자까지 걷어내는 젊음의 힘을 형상화한 ‘청춘의 에세이’라면, 《여름》은 겨울처럼 냉혹한 현실을 ‘불굴의 여름’으로 버텨내는 뜨겁고 눈부신 ‘태양의 에세이’라고 할 수 있다. 대지와 바다에 대한 고요한 사색과 지중해의 매력을 담뿍 담은 도시 산책, 예술과 신화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 한 편의 산문시를 떠올리게 하는 항해일지에 이르기까지 여느 책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아름답고 풍성한 카뮈 언어의 다채로운 향미를 맛볼 수 있다. 겨울처럼 냉혹한 현실을 버티게 하는 카뮈 내면의 ‘불굴의 여름’ 카뮈가 20대 초반에 쓴 에세이를 모은 《결혼》과 달리 《여름》은 각기 다른 시기에 쓴 8편의 에세이를 담았다. ‘피에르 갈랭도에게’라는 부제가 붙은 〈미노타우로스 또는 오랑에서 멈춘 발걸음〉은 알제리 북서부의 항구도시 오랑을 다룬 글이다. 피에르 갈랭도는 카뮈가 청년 시절부터 평생을 가까이한 오랑 출신의 친구로, 카뮈는 오랑의 해변에서 아랍인들과 충돌했던 갈랭도의 경험을 듣고 《이방인》의 살인 장면을 구상했다고 한다. 알제리의 소도시 몽도비에서 태어난 카뮈는 생후 8개월부터 청년기를 보낸 알제를 ‘참된 고향’으로 여겼는데, 오랑은 알제와 경쟁 관계의 도시다. 카뮈는 오랑의 기성세대가 내뿜는 촌스럽고 소박한 해학과 할리우드 배우를 추종하는 젊은 세대의 서투른 관능을 희극적으로 묘사하지만, 그의 조롱은 다분히 살갑고 친근하다. 평생을 ‘지중해인’이라는 자의식을 가지고 살아온 카뮈가 지중해 특유의 느긋하고 낙관적인 정서를 잘 이해하고 있을 뿐 아니라 광물질투성이인 자연환경 속에서 억척스레 미래를 만들어나가는 오랑 사람들의 삶의 태도를 소중히 여겼기 때문이다. 카뮈는 그리스 신화를 반추하면서 우리에게 필요한 ‘영혼의 빵’을 얻고자 했다. 그는 “축축하고 어두운 유럽”의 사상보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과 예술을 사랑했는데, 스스로를 지중해인으로 여기며 살아온 것과 그 맥을 같이한다. 〈저승에 간 프로메테우스〉에서는 “이 인색한 시대에, 헐벗은 나무들에, 이 세계의 겨울에 굴복하고” 있는지 자신을 각성케 하고, 〈추방된 헬레네〉에서는 “아름다움을 추방해 유배지로” 보낸 유럽인과 “아름다움을 위하여 무기를” 든 그리스인을 대조하며 지중해 사상의 회복을 호소한다. 〈티파사에 돌아오다〉도 단연 눈길을 끈다. 《결혼》의 첫머리에 실린 〈티파사에서의 결혼〉의 후속 편이기 때문이다. 젊은 날에 찾았던 티파사를 냉전의 시대에 다시 방문하며 “현실은 겨울처럼 냉혹하지만, 그의 내면에 ‘불굴의 여름’이 버티고 있음을 다시 깨”닫는다. “겉만 아름답고 안으로는 씁쓸하고 메마른 과육만 남은 오렌지가 되지 않도록 하려면, 자기 내면에 신선함과 기쁨의 샘터를 고스란히 보존하고, 불의에서 벗어나는 한낮을 사랑하고, 그렇게 성취한 빛을 휘둘러 다시 투쟁해야 한다”는 자명한 진실을 다시금 자각한다. 티파사에서 비로소 그런 영혼의 빈곤을 치유할 “영광스러운 빛”을 되찾는다. 나아가 카뮈의 빛나는 문장은 폐허에 둘러쳐진 철조망을 뛰어넘어 우리를 《결혼》의 아름답던 시절로 데려다준다. 〈가장 가까운 바다〉는 남아메리카를 향한 바닷길의 여정을 기록한 여행 문학의 걸작이다. 한 편의 산문시를 연상케 하는 이 에세이는 바다를 벗하며 자랐기 때문에 가난마저 호사스러웠다는 지중해인으로서의 카뮈를 또 한 번 돌아보게 한다. “나는 언제나 난바다에서 위협에 시달리며 살면서도 으뜸가는 행복의 한복판에 있다는 느낌이 든다”라는 이 책의 마지막 문장 또한 오직 카뮈만이 체화해 써낼 수 있는 것이다. 《결혼》ㆍ《여름》, 카뮈 언어의 가장 풍성한 향연 《여름》은 《결혼》과 함께 카뮈 언어의 가장 풍성한 향연이자 가장 솔직하고 생생한 목소리가 담긴 에세이로 평가받는다. 프랑스에서는 1959년 이후 이 두 책이 하나로 묶여 지금까지 출간되고 있다. 두 책은 부조리와 실존주의 문학이라는 엄숙한 해시태그에 덧씌워진 순수하고 뛰어난 에세이스트로서의 카뮈를 엿보게 하는 것과 동시에 카뮈 문학의 기원과 그 세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준다. 오랜 시간 청년들의 필독서로 자리매김해온 두 에세이를 번역자 박해현이 지금 시대에 적합한 단정하고 유려한 문장으로 새롭게 번역해냈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0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