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나는 그녀를 슬픔으로 이해할 겁니다.” 부영사는 말한다. ‘고통’이라는 이 세계를 가로지르는 3악장의 불협화음!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상실과 파괴, 외침과 눈물의 서사 세 세계, 세 인물, 3악장의 불협화음 작품에는 철책 밖의 걸인 소녀, 철책 안의 부영사와 프랑스 대사 부인 안-마리 스트레테르, 이들 세 인물의 이야기가 무질서하게, 때로는 서로 뒤섞여 전개된다. 광활한 평원의 굶주린 길 위를 걷는 소녀는 어린 나이에 애를 배고 집에서 쫓겨났다. 그녀의 가장 큰 기능은 ‘길을 잃기 위해’ 걷는 것이다. 굶주림에 허덕이며 아이를 백인에게 팔고, 기억도 길도 잃은 채 음식 쓰레기가 풍성한 대사관 철책에 도착한다. 그녀는 마침내 걸인과 문둥병자의 무리에서 구분되지 않는, 익명의 ‘그녀’가 된다. 이들 무리와 단절되어 보호 철책 안에 갇힌 백인 사회에는 무수한 소문을 나르며 정보와 서술을 일부 담당하는 익명의 ‘그들’로 구성된 또 다른 무리가 있다. 그들은 문둥병을 두려워하며 원주민과의 어떤 접촉도 시도하지 않는다. 때로는 호기심으로, 철책 앞까지 가는 백인들도 있으나 혼비백산해 도망쳐 되돌아온다. 그들의 관심은 추상적이고 접촉이 없다. 상호 침투가 불가능한 두 세계에 접촉과 소통을 시도하는 인물들이 있다. 라호르의 샬리마르 정원에 무리 지어 있는 문둥병자들에게 총질을 해 캘커타로 불려와 다음 임지를 기다리는 프랑스 부영사 장-마르크 드 아슈. 그는 익명의 백인 무리가 철책 밖의 세계만큼이나 도외시하며 피하는 인물이다. 끝으로 중년 여인 안-마리 스트레테르. 대사관저의 남은 음식물을 철책 밖 걸인들을 위해 내놓으라고 지시하는 대사 부인이자 두 딸의 엄마이며, 무수한 연인과 친구를 둔 신비한 여인이다. 이 세 인물은 제각기, 그러나 철책을 넘어 타자에게 향한다. 걸인 소녀는 백인 사회의 심장에까지 들려오는 외침으로, 부영사는 총질로, 안-마리 스트레테르는 남은 음식물을 철책 밖으로 내어놓는 행위로 혹은 백인 사회로부터 스스로를 소외시킴으로써. 이 셋을 연결 짓는 표면적 유사성은 거의 없다. 서사적 얼개가 이 셋을 묶는다. 이 무질서에 질서를 부여하고, 상이한 세 인물 사이에 근본적 유사성을 추출해내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이 세 인물은 각기 하나의 악장을 이룬다. 걸인 소녀가 자기 상실로 가는 보행이 만들어내는 단조로운 행진곡, 파괴적 행동을 예고할 듯 내지르는 광시곡에 가까운 부영사의 고함, 그리고 안-마리 스트레테르Stretter의 이름에 이미 내포되어 있는 둔주곡strette. 이 음악들은 독서 내내 번갈아 돌림노래처럼 독자들의 귀에 울린다. 고통이라는 우주, 상실과 파괴와 눈물의 이야기 『부영사』는 뒤라스 전공자이자 프랑스 문학 연구자, 소설가 최윤의 번역으로 1985년 국내에 처음 소개되었다. 소설가 최윤이 우리말로 옮긴 단 하나의 문학작품이기도 한 『부영사』는 요즈음에 맞게 번역을 전면 수정, 새로운 옷을 입고 독자들 앞에 선보이게 되었다. 특히 역자는 이 작품에 대해 작가의 내면과 외면, 과거와 미래의 작품, 개인성과 역사성 등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넘어갈 수 있는, 다른 쪽에서 들여다보아야 이쪽이 보이는, 그러나 통과해야만 양쪽이 다 보이는 창틀”이라고 평하기도 했다. 실제로 뒤라스 글쓰기의 후기적 특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 작품에서부터 서사는 파편화되기 시작한다. 작품 속 그 누구에게 배당되어도 상관없는 동일한 문장들이 끊기거나 조각나 반복되는가 하면, 질문은 던져지나 대답은 돌아오지 않는다. 말없음표, 침묵, 짧은 문장, 띄엄띄엄 이어지는 느린 리듬의 행들. 시각적으로도 점차 비어가는 혹은 정화되어가는 뒤라스의 언어를 독자들은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작품의 언어와 구조가 빚어내는 의도적인 모호성과 혼란은 세 주인공의 교집합이 얼핏 없는 것처럼 보이게도 만들지만, 오랫동안 뒤라스의 작품 세계를 관통해온 주제들을 여러 각도에서 흥미롭게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부영사』 이전 작품들에 나타나는 뒤라스의 인물들이 존재의 고통을 일깨우는 사건들을 통해 새로운 인식에 눈을 뜨며 존재적 변화를 겪었다면, 이 작품의 세 주인공은 모두 나름의 고통스러운 과거를 지니며 삶의 모든 것을 재로 만드는 그 고통이라는 화재 현장에서 빠져나왔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리고 그들은 인도차이나라는 작품의 배경이자, 그 배경으로 상징되는 존재적·세계적 고통과 마주한다. 그렇게 작가는 이 작품이 정치적 소설이자 존재적 가치관의 소설로서 읽히기를 요청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