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

소강석 · 시
164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시인의 말 1부 봄에서 여름으로 봄 1 / 봄 2 / 봄 3 / 봄 4 / 봄 5 / 봄 6 / 봄 7 / 봄 8 / 봄 9 / 여름 1 / 여름 2 / 여름 3 / 여름 4 / 여름 5 / 여름 6 / 여름 7 / 여름 8 2부 가을 지나 겨울 가을 1 / 가을 2 / 가을 3 / 가을 4 / 가을 5 / 가을 6 / 가을 7 / 가을 8 / 가을 9 / 가을 10 / 겨울 1 / 겨울 2 / 겨울 3 / 겨울 4 / 겨울 5 / 겨울 6 / 눈송이 1 / 눈송이 2 / 눈송이 3 / 눈송이 4 / 눈송이 5 3부 소나기 끝에 무지개 소나기 1 / 소나기 2 / 소나기 3 / 소나기 4 / 소나기 5 / 소나기 6 / 소나기 7 / 소나기 8 / 비 1 / 비 2 / 비 3 / 비 4 / 봄비 / 무지개 1 / 무지개 2 / 무지개 3 / 무지개 4 / 무지개 5 / 우중산책 4부 등대와 별 그리고 등대 1 / 등대 2 / 별 1 / 별 2 / 별 3 / 별 4 / 별 5 / 별 6 / 달 1 / 달 2 / 달 3 / 가을 바다 1 / 가을 바다 2 / 코스모스 / 그런 사람 / 철쭉 / 흘러간다 / 야간기차 / 산 / 장미 / 사랑 / 스페로 스페라 / 슬픔과 용서 / 내 마음의 수금 / 빗물 / 너에게 가는 길 / 풍경 / 선물 / 침몰 / 흙 / 공기 / 물 / 불 독자를 위하여 - 춘풍추우(春風秋雨)의 시적 형상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별 하나 뜨지 않은 밤하늘에 별 하나 떠 있다면 그건 아마 내 가슴속에 들어와 잠든 너의 이름이겠지” 대표적 서정 시인 소강석 목사의 13번째 신작 시집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을 통해 사람과 자연을 향한 사랑을 노래한 시 90편 수록 1995년 월간 《문예사조》를 통해 등단하여 다수의 저서와 시집을 출간한 소강석 목사가 13번째 신작 시집으로 《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를 출간한다. 윤동주문학상, 천상병문학대상 등을 수상한 대표적 서정 시인 소강석 목사는 사람과 자연, 하나님을 향한 사랑의 마음을 고백하기 위해 계절을 중심 소재로 삼아 연작시를 썼다. 시를 쓰는 순간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어느 계절이든 사랑의 계절을 걷고 있음을 느낀다고 한다. 그래서 이번 시집의 제목은 ‘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이다. 소강석 목사는 이 시집을 읽는 모든 이들에게 사랑의 계절이 찾아오길 바란다고 덧붙인다. “인생을 살다 보면 꽃이 필 때도 있고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릴 때도 있습니다. 아니, 언젠가는 낙엽이 되어 떨어지고 폭설에 갇혀 길을 잃을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사랑하는 이와 함께한다면 그 모든 날들이 상처의 계절이 아닌 사랑의 계절이 되어 감싸주리라 믿습니다.” - 시인의 말 중에서 1부에서는 봄과 여름을, 2부에서는 가을과 겨울을 노래하였고, 3부에서는 비와 무지개, 4부에서는 등대와 별, 달 등에 대한 깊은 시상을 담아냈다. 자연 친화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따뜻한 정서를 일깨우는 시편들은 우리에게 슬픔과 절망, 상처를 딛고 다시 사랑과 희망을 찾을 수 있게 도와줄 것이다. 우리의 계절이 언제나 찬란한 빛으로 가득할 수 있도록. 봄에서 여름으로, 가을 지나 겨울 계절의 변화에 관한 넓고 깊은 사유 봄에서 여름으로 가을을 지나 겨울로 그리고 또다시 봄으로,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며 계절의 변화를 자연스레 받아들인다. 소강석 목사는 그러한 변화를 보며 자연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예민하게 포착하여 시로 옮겼다. 봄을 소재로 한 시에는 봄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꽃이 등장한다. 하지만 소강석 목사는 봄꽃의 아름다움을 칭송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봄 1〉에서는 “눈앞의 꽃 지고 나면 세상 모든 꽃 다 진 줄 알았더니 일어나 눈을 들어보니 사방 천지가 다 꽃이었다”며 “눈 한 번만 돌리면 세상이 다 봄이다”라고 말한다.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는 세상의 이치를 지는 꽃을 보며 떠올린 것이다. 여름 시에서는 여름밤의 별, 바닷가의 미소, 모래사장의 글씨, 계곡의 물소리, 푸른 대나무 숲, 서늘한 그늘 등이 시원한 여름 분위기를 느끼게 하고, 가을 시에서는 나뭇잎, 달빛, 하얀 구름, 들국화, 단풍과 낙엽 등이 고즈넉한 가을의 정서를 물씬 느끼게 한다. 겨울에 대한 시에는 은빛 가로등, 겨울나무, 눈 쌓인 가로수, 눈송이 행성 등이 등장한다. 시에서는 전형적인 계절의 풍경들이 마치 눈으로 보는 듯 선명하게 그려지는데, 소강석 목사는 그 아름다운 풍경 이상의 넓고 깊은 사유들을 감성적인 언어에 담아 시로 써 내려간다. 어느 겨울 오후 길을 잘못 들어 보게 된 꽃 냇가에서 홀로 고개 숙이고 물소리를 듣고 있던 다시는 볼 수 없는 그리운 꽃 그해 겨울날 차가운 바람 맞으며 서 있었던 이름도 묻지 못하고 헤어졌던 그 꽃. - 〈겨울 3〉 전문 섬세한 관찰과 따뜻한 감성으로 빚은 자연에 대한 헌사 3부의 시는 소나기, 무지개를 소재로 한다. 모두 소리 없이 왔다가 금세 사라지는 것들이다. 무더운 여름날의 시원한 소나기와 그 이후 하늘에 수놓아진 무지개는 우리에게 기쁨과 탄성을 자아내게 하지만 이내 사라져 아쉬움을 남긴다. 하지만 소나기를 맞으며, 무지개를 보며 떠오른 느낌을 시로 옮겨놓으면 시를 읽을 때마다 그 당시 감정과 생각들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소나기 1〉에서는 “차창에 부딪혀 흘러내리는 소나기가 글씨를 쓰며 사라져간다”라며 “우리는 듣지 않아도 될 말들과 보지 않아도 될 눈빛들 속에서 얼마나 할 말을 하지 못하고 보아야 할 것을 보지 못하고 살아가는가”라고 소나기를 보며 느낀 소회를 시로 옮겼다. 4부에서는 등대와 별, 달과 가을 바다, 코스모스 등 사물과 자연에 대한 섬세한 관찰을 통해 따뜻한 감성으로 빚은 시들이 이어진다. 소강석 목사는 우리 주위에 너무나 당연하게 존재하여 무심히 지나쳐 버리는 것들에 대해서도 그냥 지나치지 않는다. 감성적 시어들로 짜인 시들은 편안하게 읽히지만 그 행간에 담긴 메시지는 결코 간단하지 않다. 〈등대 1〉에서는 “누군가를 만나 이야기를 듣는다는 건 새로운 세계를 만나는 것이다”라고 했고, 〈풍경〉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풍경은 지금 두 눈으로 보고 있는 풍경이다”라고 말한다. 깊은 성찰을 바탕으로 쓰인 소강석 목사의 시들은 우리에게 좀 더 깊이 있는 사유를 하게 한다. 한국의 기독교계를 대표하는 새에덴교회(경기 용인 죽전)의 담임목사로서 교계의 방향성을 이끄는 소강석 목사의 시에는 하나님이나 예수님이라는 단어가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어느 시에서도 ‘그분’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정호승 시인은 “소강석 목사님의 시에는 예수님의 온화한 목소리가 들린다”라고 했다. 사람과 자연, 그리고 하나님을 향한 사랑을 맑고 여린 감성으로 써 내려간 《너라는 계절이 내게 왔다》는 우리의 지친 마음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불현듯 은혜처럼 다가온 귀중한 선물이 아닐 수 없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