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내 인생 최고의 스승, 고 김형효 선생님을 추도하며 4 다시 쓰는 서문 14 추천사 17 들어가는 말 19 서론 27 제1부│장자의 해체적 사유 51 1장?장자의 중심 문제 52 1절│문제의 내원(來源)과 문제의 해소: 성심과 허심 52 2절│좌망 이야기: 성심의 해체와 허심 60 1. 해체와 실용: 좌망을 통한 동어대통의 우주적 유대 회복 60 2. <망인의>·<망예악> 61 3. 좌망과 동어대통 69 4. 동어대통의 연속적 유대와 <물고기 이야기> 71 2장?세계에 대한 장자의 해체적 시각 74 1절│세계에 대한 실체적 사유의 해체 77 1. 고정적인 실체성이 없는 세계: 대괴 77 2. 탈중심·무정형·무목적·무인과적인 실체성 없는 세계: 혼돈 82 3. 세계와 마음의 연속성 86 2절│자아의 실체성 해체 89 1. 자아의 역설 89 2. 꿈: <나비의 꿈>과 <장오자의 꿈 이야기> 95 3절│장자의 언어 해체 99 1. 언어의 한계 99 2. 장자 언어관의 이중성 103 3. 언어적 매개를 넘어서: 대안으로서의 지인의 미러링(mirroring) 108 3장?장자의 언어적 수사 112 1절│우언·중언·치언 112 2절│은유 115 3절│초과적 어법에 대한 장자의 변론: <견오와 연숙의 이야기> 117 제2부│『장자』 <내편> : 텍스트 속으로 127 1장?『장자』 사유의 오리엔테이션: 소요유 128 1절│사유 여정의 지도 - 도지경: 대붕의 남행 133 2절│도지경의 허들: 지적 용렬과 지적 교만 136 3절│도지경의 이정표 141 1. 소지에 갇힌 마음: 메추라기 141 2. 대지에 갇힌 마음: 송영자 142 3. ‘변화’에 의지하는(所待) 마음: 열자 144 4. 무기·무공·무명: 지인(신인·성인) 146 4절│해체를 위한 시각의 전환 149 1. 자연 세계(無爲)와 인간 세계(有爲)에 대한 이분법 해체: 요와 허유 이야기 149 2. 고정된 시각(有蓬之心)의 해체에서 얻는 실용성: 손 연고 이야기 154 3. 무용과 무하유지향: <혜시의 무용한 나무 이야기> 158 2장?『장자』의 해체: 제물론 161 1절│제물의 평등: 동일성과 차이, 그리고 상존 164 1. 제물에 관한 논의 164 2. 각 개별자의 시각에서 진리가 현현하는 제물의 세계 166 3. 상존의 구체적 양식: 행위의 해체(無爲)·욕망의 해체(無欲)·앎의 해체(無知) 168 2절│상아에서 현현하는 존재의 실상: <천뢰 이야기> 169 1. 오상아와 천뢰 169 2. 피차와 시비의 해체: 도추와 이명 176 3. 천균과 양행: 지의 한계와 <조삼모사 이야기> 185 3절│제물의 일(一)과 획일의 일(一) 190 1. ‘명지’ 불가능성: 191 2. 제일과 획일: 요와 열 개의 해 이야기 194 4절│진리는 확정할 수 없고, 보편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196 1. 세계의 시원 및 통일성에 대한 거대 담론의 불가능성 196 2. 보편자는 존재하는가: 설결과 왕예의 이야기 199 3. 무한한 창조성의 보고: 천부와 보광 203 5절│상온과 상존, 그리고 천예: <장오자와 구작자의 이야기> 207 1. 얽혀 있는 세계와 개별자간의 상호 존중: 상온과 상존 207 2. 천예와 만연, 그리고 자정 209 3장?해체의 실용: 현해와 양생 215 1절│현해: 해체와 문제의 해소 217 1. 불행과의 조우: 우사의 외발 217 2. 죽음과의 조우: 노담의 죽음 219 2절│양생의 길(방법): 실상과 조우하는 포정의 해우술 225 4장?해체와 인간의 역사 세계: 인간세 231 1절│세상을 구하려는 것은 세상을 어지럽히는 것 233 1. 익다: 세상을 구하려는 <안회 이야기> 233 2. 심재: 허심을 향한 공부 239 3. 인간세의 천균: 부득이와 양중 244 2절│인간 역사 세계의 부득이한 참여 248 1. 피할 수 없는 역사 세계의 임무에 대하여: 섭공 이야기 249 2. 무도한 상황에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 안합의 이야기 256 3절│인간 역사 세계의 유용지무용과 무용지대용 260 1. 무용의 전생: 산목과 대목 이야기 261 2. 육체적 무용: 지리소 이야기 266 3. 덕의 지리: 광인 접여 이야기 268 5장?해체의 덕(무용의 덕): 덕충부 271 1절│불구 무용의 덕 274 1. 미러링(mirroring)의 덕: 왕태 이야기 274 2. 화이불창하는 재전의 덕: 애태타 이야기 278 3. 재전이덕불형의 덕: 인기지리무신과 옹앙대영의 덕 285 2절│유형의 덕이 갖는 부덕 291 1. 예?의 사정권에 있는 유용자의 덕: 정자산과 신도가 이야기 291 2. 인의의 질곡에 갇힌 공자의 덕: 숙산무지와 공자 이야기 296 3절│지인은 정이 없는가: 장자와 혜시의 논변 300 1. 무정이란 익생하지 않는 것 300 2. 익생과 견백의 궤변 304 3. 혜시의 <천지일체>와 장자의 <제물>의 차이 307 6장?존재의 실상에 대한 참된 앎, 진인: 대종사 313 1절│인식(知)의 한계와 참된 앎, 진지 315 1. 인식(知)의 한계 315 2. 진인의 참된 앎, 진지 318 3. 진인의 덕: 천인불상승 321 2절│인력으로 어찌할 수 없는 존재 과정의 실상 328 1. 인력이 개입될 수 없는 자연 과정, 명: 자상 이야기 328 2. 도의 실상과 도를 얻은 자들 332 3절│도는 배울 수 있는 것인가. 337 1. 영녕: 남백자규와 여우 이야기 338 2. 도는 어떻게 전해지는가 342 4절│대종사라 부를 만한 사람들: 진인들 이야기 345 1. 명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진인: 자사와 친구들 이야기 347 2. 물화에 감탄하는 진인: 자래의 병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