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별 일기

최현숙
38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3(22명)
0.5
4.5
5
평가하기
4.3
평균 별점
(22명)
코멘트
더보기

요양보호사이자 사회복지사로서 쪽방촌 독거 노인들을 돌보던 저자가 삶의 끝자락에 선 자신의 치매 노모 곁에서 하루하루 써내려간 천일 간의 일기를 모았다. 저자는 '독한' 관찰자를 자처한 딸의 시선으로 한국 사회에서 한 여성이 늙고 병들고 죽음으로 들어가는 기나긴 과정을 세세히 그려낸다. 자신과 상반된 삶을 선택했다고 생각했던 엄마에게서 이제는 늙은 자신의 모습을 보기도 하고, 어린 시절 불화했던 아버지와 천천히 거리를 좁혀 가며 조금씩 스스로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저자의 솔직한 자기 고백들은 우리 모두의 부모와 나 자신의 늙어감을 돌아보게 한다. 또 실버산업 속에서 돈의 있고없음이 죽음 과정에 미치는 영향, 돌봄 노동자들의 애환 등에 대한 단단한 성찰들도 담았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4.3(22명)
0.5
4.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3

목차

들어가며 011 2016년 일기 / 엄마의 습 015 2017년 일기 / 가차 없이 다가오는 것들 131 2018년 일기 / 삶의 가장자리에서 213 나오며 367 [부록] 부모 돌봄 일지 376

출판사 제공 책 소개

○ 가장 사적이고 내밀한 고백이 가장 사회적이고 공적인 기록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 탁월한 사례_노명우 ○ 그녀의 글을 읽고 나는 죽음이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강력한 질문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_김일란 ○ 똥오줌을 받아내느라 애쓰는, 또 많은 병원비를 대느라 고통스러운 많은 이들을 위해 지금 우리 모두가 곰곰이 읽어 봐야 할 책_천정환 쪽방촌 독거노인들을 돌보던 요양보호사이자 『할매의 탄생』, 『할배의 탄생』을 통해 가난한 노인들의 목소리를 기록해 온 저자가 삶의 끝자락에 다다른 여든여섯 치매 노모 곁에서 매일매일 써내려간 천 일간의 일기를 모았다. 저자는 돌봄노동자이자 페미니스트의 시선으로 한국 사회에서 한 여성이 늙고 병들어 죽음으로 들어가는 기나긴 과정을 똑바로 바라보고 낱낱이 기록하면서, 그녀를 둘러싼 가족과 실버산업, 그리고 인간의 존엄까지도 냉정하게 되묻고 쪼개봄으로써 이 독특한 애도 일기를 완성해 냈다. 한 여성이 자신과는 상반된 삶을 살았던 엄마를 이해하고, 오랜 시간 불화했던 아버지와 서서히 거리를 좁혀 가며 상처를 치유해 가는 모습은 한 편의 성장소설을 읽는 것과도 같은 느낌을 준다. 자신이 돌보던 가난한 노인들의 이야기, 엄마가 몸담은 실버타운 노인들의 삶, 그리고 가부장적 자본주의하에서 늙어죽어가는 과정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밀한 상처와 치부를 노련한 필치로 담담히 써내려간 최현숙은 이 책을 통해 구술기록자가 아닌 작가로서 첫걸음을 내딛는다. # 현대 사회에서 ‘늙어 죽어감’을 공평치 않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 쪽방촌 요양보호사의 눈으로 본 실버타운 - 노인 하나가 어디에서 어떻게 죽어 가는가는 지극히 사적이면서 또한 정치적인 문제이다. 그 정치 안에는 계급과 젠더, 가족주의 등의 이데올로기들과, 사회복지, 과학 및 산업, 생명 윤리(그 과잉으로서의 생명 연장), 고령화, 효, 신앙 등 많은 사회문화적 요소들이 뒤엉켜 있다. 그리고 신자유주의는 이런 항목들을 괴물처럼 빨아들여 사회 구성원 모두를 가해와 피해로 뒤엉키게 한다. (370쪽) - 그들은 누추하게 늙어 가고 있었다. 마포구 대흥동 4층 쪽방 건물의 좁고 가파른 계단, 곰팡이가 번지고 있는 벽면, ... 옥탑방 할아버지와 그의 작고 굽은 몸, 누런 눈, 지린내와 똥내가 가시지 않는 방, 그리고 그가 견뎌 낸 지독한 여름과 겨울들. 그에 반해 실버타운 노인들은 예외적 존재였다. (13쪽) - 200만 원도 넘는다는 옥침대 위에, 걸레로도 못 쓸 내복을 입고 좋다고 웃고 있는 할망구라니. 둘이 맞장구를 치며 웃다 말고 내 웃음이 또 미웠다. 이런 옷을 입지 않을 수 없는 가난한 할머니들이 떠올라서다. 빈곤은 구멍 난 내복이 아니라, 구멍 난 내복이 쪽팔리는 거다.(47쪽) - 모든 것을 돈과 효율의 타산에 넘긴 세상에서, ‘생명’이나 ‘효’ 등 지극히 사적이고 ‘천부적’이라고까지 여겨지는 영역에 대해서는 그토록 신봉하는 효율성의 기준조차 폐기한 채 돈을 지불하겠다는 부자 노인들과 자식들이 있고, 그들의 품위와 교양스러움과 연명을 위해 가난한 사람들의 친절 노동을 끌어와 돈을 챙기는 실버산업과 의료 산업이 있다. 그 건너편 ‘다른 세상’에는 돈이 없어 고생하다 죽음으로 떠밀리거나 죽음을 집어 드는 노인과 중장년, 청년과 청소년, 동반 자살 당하는 어린애들이 있다. .... 가난한 노인들의 복지 현장에서 9년간 밥을 벌며 관찰해 온 내게, 그 거리는 너무 까마득해 아예 다른 세상처럼 여겨진다. (288쪽) 애도일기(세간의 규정으로는 간병일기)로서 이 책이 가진 독특한 점은, 자신의 엄마와 자기 가족, 그리고 엄마를 포함한 ‘부자 노인들’에 대한 저자의 거리두기에 있다. 저자는 실버타운의 부자 노인들을 볼 때마다 자신이 돌보던 가난한 노인들의 삶을 떠올리며 고통스러운 질문들을 던진다. 아낌없이 쓸 줄 아는 소비자로서 쓸모를 갖춘 실버타운의 노인들의 삶과 고령화사회에서 존재 자체가 문제시되는 가난한 노인들의 처지는 여러모로 다르다. 누추하고 신속한 가난한 이들의 늙어감, 자식들로부터 고립된 쪽방촌 노인들의 외로움, 부모 돌봄에 대한 과중한 부담으로 죄책감을 느끼고 형제들간에 불화하는 보통의 가족들에 비해, 실버타운의 노인들은 상대적으로 느리고 우아하게 늙어가며, 자식들로부터 버림받을 가능성도 적고, 가족은 ‘돈 덕’으로 가족애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저자는 이러한 불평등한 늙어죽어감 속에서, ‘기껏 움켜쥐었던’ 그들의 돈이 초고령 노후의 삶을 연장하는 비용으로 지불되는 것이 과연 그들이 말하는 효율의 기준에 맞는 것인지, 또 수많은 안타까운 죽음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그것이 과연 공정한 일인지 되묻는다. “그러고 보니 나는 다른 노인들의 똥기저귀를 갈았고, 그녀들은 내 엄마의 똥기저귀를 갈고 있구나!” (372쪽) 한편으로 저자의 시선은 이런 부자 노인들의 별세계를 돌아가게 하는 간병노동자들에게로 향한다. 9년간 가난한 노인들의 똥기저귀를 갈며 “똥걸레나 빠는 여자” 취급을 당하며 살았던 저자는 자신의 이 일기를 간병일기나 시병일기로 부를 수 없음을 강조한다. 실제 자신의 엄마의 똥을 치우고 간병한 것은 바로 자신의 가족이 고용한 간병인과 타운에 고용된 간호사들이기 때문. 저자는 고작 시급 8천원에 자기 가족들을 돌봄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 주고 엄마 방에서 나던 냄새로부터 해방시켜 준 간병 노동자들이 실은 밥 먹을 장소도 시간도 없어 지하철 화장실에서, 길거리에서 주전부리로 허기를 채우고, 노인들을 들고 옮기고 목욕시키느라 자신들의 몸도 무너져 가지만 산재로 인정받지 못하며, 도둑 누명을 쓰거나 성격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문자 한 통에 당일 해고되기도 하고, 연차와 숙련도에 상관없이 늘 최저임금밖에 받지 못하는 현실 속에 있음을 고발한다. #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마지막 모습은 과연 존엄한가 - 나이가 든다는 것은 가정이나 사회에서 자신의 능력과 역할이 점점 줄어드는 것을 느끼고 수긍해 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 죽음 곁에 다다른 노인이라면 빈부를 떠나 같은 심정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디까지 살아야 하는가?’는 개인적이자 사회적인 질문이다. .... 어떻게 죽을 것인가를 작정한다는 것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더 진지해지는 것을 말한다. (88쪽) - “죽고 싶다. 이렇게 살아서 뭐하냐? 약이라도 먹고 죽어야겠다. 약 좀 구해 와.” “그럼 나랑 같이 죽자. 나는 엄마가 있어서 죽을 생각을 안 하는데, 엄마가 죽을 거면 우리 같이 죽으면 되지 뭐.” “니가 왜 죽냐? 아직도 팔팔한데. 나는 이렇게 아무것도 못 하고 여기 갇혀만 있으니 죽겠다는 거지. 나는 아무것도 못해. 그래서 죽고 싶어.” (258쪽) 한편으로 이 책은 부자든 가난하든 오래 살아 죽음에 이르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지난한 과정(“느리게 죽음으로 흘러들어가는” 과정)을 섬뜩하리만치 세세히 묘사한다. 특히 가난한 노인들과 일상을 함께해 온 저자는 실버타운에서 다섯 남매의 돌봄을 받으며 죽어가는 엄마 역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바라보면서 자식으로서 느끼는 슬픔보다는 실버타운이라는 시설에서 갇혀 사는 생활과 그 속에서 느끼는 엄마의 감정을 세세히 쪼개 본다. 마지막으로 갈수록 엄마는 “갇혀 있다, 다시 관짝으로 들어왔다, 예비 납골당이야” 같은 감정을 토로하는데, (거동이 불편한 마지막 단계의 노인들이 머무는) 케어홈으로 자리를 옮기고 휠체어에 갇히면서 이는 더 심해진다. 저자는 이런 엄마를 바라보며 “집도 동네도 사회도 아닌” 시설에서의 생활은 설사 그 시설이 아무리 고급시설이라 할지라도 “안 좋은 것”임을 확인한다. 현대사회는 노인이든 중증 장애인이든 지속적인 돌봄이 필요한 구성원을 가족 안에서 돌보는 것이 불가능한 사회이고, 그 돌봄 부담이 가족에게만 지워지는 것도 맞지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