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문과라서 죄송해야 하나요? 우리도 성공한 문과가 되자! ‘이과 콤플렉스’를 가진 남자의 ‘문과 응원 프로젝트’ ‘인문계 졸업생 90퍼센트는 논다’의 줄임말 ‘인구론’, ‘문과라서 죄송합니다’를 줄인 ‘문송합니다’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로 문과생들의 현실은 가혹하다. 기업들도 이공계 졸업생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짙어지면서 문과 졸업생들이 설 자리는 점점 더 좁아지고 있다. 실제로 한 취업포털이 918개의 기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자연?이공계 졸업생을 채용하겠다고 밝힌 기업은 34.6퍼센트인 반면, 인문?사회계열 졸업생을 채용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6.8퍼센트에 불과하다. 또한 2016년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대졸자 첫 일자리 특성 현황’ 보고서를 보면, 문과 졸업생 10명 중 4명이 비정규직으로 첫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문과와 이과 출신 간 첫 월급의 격차는 최대 114만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시작됨에 따라 그나마 있던 일자리도 인공지능에게 빼앗기게 생겼다. 그야말로 문과의 수난시대다. 저자는 수학과 물리가 싫어서 문과 대학에 진학했다. 그리고 지금은 영화를 만들고 소설을 쓴다. 영화 <너의 이름은>의 제작을 맡아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고 소설 『세상에서 고양이가 사라진다면』은 120만 부 넘게 팔리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명실공히 ‘성공한 문과 남자’의 대표주자인 저자는 세상을 바꾸는 주인공의 자리는 늘 이과 출신 인사들의 차지인 현실을 깨닫고, ‘이과에게 배우는 일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느꼈다고 한다. 『문과 출신입니다만』은 이렇게 ‘이과 콤플렉스’를 짊어진 문과 남자가 2년 동안 이과 세계의 인사들을 만나 인터뷰하며 깨달은 통찰을 꼼꼼하게 기록한 대담집이다. 상황을 바꾸고 싶다면 꼭 한번 들어야 할 잘나가는 이과의 이야기 문과에게 없고 이과에게 있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저자는 2년에 걸친 인터뷰를 통해 이 물음에 대한 답을 찾으려 했다. 그러나 그는 깨달았다. 문과와 이과는 똑같은 ‘산’을 서로 다른 길로 오르고 있다는 사실을. 문과인이 정치와 경제, 말과 문장을 통해 산을 오른다면, 이과인은 수학과 공학, 의학과 생물학을 이용하여 똑같은 산을 오르고 있다. 그리고 그들이 찾아낸 길은 반짝이는 시사점으로 가득 차 있었다. “우유부단함은 현명함의 상징이다.” “부전승이야말로 최고의 승리법이다.” “조령모개(아침에 명령하고 저녁에 바꾼다. 방침을 자주 바꾸는 것)가 최고다.” “힘들고 어려운 일은 외주에 맡기지 말고 자기 자신이 해야 한다.” 저자가 만난 15명의 인사들은 이과 특유의 승부사 기질과 탐구적 자세, 그리고 남들이 뭐라 하든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는 우직한 성향을 여과 없이 드러낸다. 독자들은 책을 읽는 내내 그들의 개성 넘치는 어록들에 밑줄을 긋고 싶은 욕구를 느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