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학과 건축이론

임기택
172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차례 주요 철학자 소개 PART I 현상학의 주요 관점과 디지털시대의 지각 문제 2001 현상학의 성립 / 12 2002 후설의 사유체계 / 17 2003 하이데거의 철학적 사유체계 / 25 2004 사르트르의 실존철학 / 30 2005 메를로 퐁티의 사유체계 / 33 2006 사이버공간과 지각의 현상학 / 43 PARTⅡ 지역주의 건축의 기억 및 감각의 건축 2007 하이데거의 축조와 거주개념 / 49 2008 루이스 칸의 건축관 / 58 2009 일본의 음예공간 / 82 2010 장소성을 강조하는 지역주의 건축흐름 / 84 2011 알바 알토의 건축관 / 94 2012 비판적 지역주의 / 100 2013 이야기성(시나리오)과 움직임의 공간적 경험을 중시하는 흐름 / 104 2014 스티븐 홀의 건축 / 110 2015 알바로 시자의 건축 / 129 2016 피터 줌터의 건축 / 136 2017 사이버공간과 몸 철학 그리고 건축 / 143 2018 통제적 환경과 유비쿼터스 / 146 2019 몸과 결부된 건축 및 표현양상 및 건축적 실험 / 148 PART Ⅲ 시사점과 건축적용 가능성 생각해보아야 할 점 2020 현상학적 공간구조의 동시대적 표현방안 / 157 2021 지역과 관련된 사고의 적용방안 / 159 2022 메를로 퐁티의 몸 철학의 적용방안 / 160 2023 사이버 시대의 신체와 관련된 부분의 적용가능성 / 162 찾아보기 그림출처 참고문헌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 시리즈의 주제들은 현대철학에서의 사고체계와 건축분야가 어떠한 방식으로 상호관련을 맺으며 현실에서 구체화되는가에 대한 경계면에 주목하고 있다. 책의 구성은 3단계로 나뉘어 있다. PARTⅠ에서는, 매 강좌에서 주제별로 알기 쉽게 현대건축에서 논의되는 철학가들의 주요사상을 각 권별 주제에 맞추어 요약한다. 그 후, PARTⅡ에서는, 시대별 철학사상과 건축적 표현 및 공간구성의 경계면상에서 나타나는 건축적 연결고리를 제시하고 시대적 사유에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나타나는 건축적 특성을 탐구한다. PART Ⅲ에서는, 사유와 관련하여 현실을 바라보면서 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힘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관으로 건축을 추구할 수 있는 방향성과 방법론이 될 수 있는 요소들을 제시함으로써 스스로 건축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현상학은 근대 이성의 편협적 폐해를 보완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이전 사고의 단점을 극복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그것을 판단하는 주체를 부정하거나 새롭게 생각하지는 않았기에 여전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이데거가 주장하는 시적 어휘는 서구이성의 합리적 기술적 표현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며 그 능력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시적 주관성을 강조한 흐름은 개인예술과의 친화력을 가지고 있어서 개인적 특수성을 만족시킬 수는 있으나 이성적 객관성과 정량적 해석을 담보하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때로는 시적어휘의 진정성이 애매한 맹목적 주관성으로 흘러 오히려 더욱 폭력화되는 것을 경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상학적 사유는 엘리트적 위치에서 내려와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할 때 의미가 있을 것이며 그리고 시적 특수성을 객관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계속적으로 노력하고 보완할 때 일반 대중들에게 그 가치를 인정받고 소통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