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글|서문 1부 살해와 거부감의 존재|성행위를 연구하는 처녀들의 세계 싸우거나 도주하거나, 혹은 대치하거나 복종하거나|사격을 거부한 역사 속의 군인들|왜 죽이지 못하는가|거부감의 본질과 원천 2부 살해와 전투 트라우마|살해가 정신적 사상자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정신적 사상자의 본질|두려움의 지배|피로의 무게|증오의 바람|의지의 우물|살해의 짐|장님들과 코끼리 3부 살해와 물리적 거리|당신도 멀리서는 친구로 보이지 않는다 거리: 죽음의 질적 차이|장거리 및 최장거리에서의 살해|중거리 및 수류탄 투척 거리에서의 살해|근거리에서의 살해|날무기를 사용한 살해|맨손을 이용한 살해|성적 거리의 살해 4부 살해의 해부|고려 대상이 되는 모든 요인들 권위자의 명령|집단 면죄|정서적 거리|피해자의 특성|살해자의 공격적 성향|고려 대상이 되는 모든 요인들 5부 살해와 잔학 행위| “그곳에는 영예도, 미덕도 없었다” 잔학 행위의 전반적 스펙트럼|잔학 행위의 어두운 힘|잔학 행위의 함정|잔학 행위의 사례연구|거대한 덫 6부 살해 반응 단계|살해할 때 어떤 감정을 느끼게 되는가? 살해 반응 단계|모델의 적용 7부 베트남에서의 살해| 우리는 군인들에게 무슨 짓을 저질렀는가? 베트남에서의 둔감화와 조건 형성|우리는 군인들에게 무슨 짓을 저질렀는가?|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베트남에서 살해한 대가|인내심의 한계와 베트남의 교훈 8부 미국에서의 살해| 우리는 아이들에게 무슨 짓을 저지르고 있는가? 폭력 바이러스|영화를 통한 둔감화와 파블로프의 개|스키너의 쥐와 오락실의 조작적 조건 형성|미디어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학습과 역할 모델들|감성의 회복을 위하여 주|참고문헌|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