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수의 작은 선물

이철수
16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7
평균 별점
(3명)
코멘트
더보기

목판화가 이철수가 그의 근작(2000-2002년)을 묶어 낸 판화집. 2000년에 전시회(학고재 초대전)를 계기로 만든 '이렇게 좋은 날'을 낸 지 4년 만에 선보이는 작품집이다. 그 동안 이철수의 판화들은 달력, 엽서 등과 같은 생활 소품을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사람들의 일상적 삶 속에 들어가 뭇 애호가들과 소통하고 만나 왔다. 그것은, 화랑이라는 제도권의 문턱을 넘어서고 화집이라는 형식의 틀을 벗어나, 좀더 편안하게, 스스럼없이, 꾸밈없이 사람들과 만나고 이야기하고 싶어해서이다. 작가 자신이 일찍이 제 그림의 존재 방식을 그렇게 설정해 온 것이다. 그러던 그가 제대로 형식을 갖춘 본격적인 작품집으로써 사람들과 또 달리 소통하고자 하는, 작가로서의 욕심이 생겨 이 책을 내게 됐다. 지금까지의 그의 판화집은 전시회의 일환으로 만든 도록의 성격이 짙거나 아니면 산문을 곁들인 판화 산문집들이었다. 그러나 <이철수의 작은 선물>은, 지금까지와는 조금 달리, 그가 짐짓 정색하고 세상에 내놓는 첫번째 작품집이다. 그는 우선 작품집이라는 명목에 충실하고자, 최근의 작품들 가운데서 과감하게 버리고 신중하게 추린 끝에 작품 68점을 가려뽑았다. 그리고 아무런 군더더기 없이 오직 판화만을 꽤 너른 화면 속에서 넓은 여백과 함께 배치했다. 덕분에, 간결하고 단순한 가운데 깊은 울림과 긴 여운이 특징인 그의 판화를 느릿느릿 실답게 감상할 수 있는 미덕을 이 책은 지니게 되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1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목판화가 이철수가 그의 근작(2000-2002년)을 묶어 판화집 「이철수의 ‘작은 선물’」을 냈다. 2000년에 전시회(학고재 초대전)를 계기로 만든 「이렇게 좋은 날」을 낸 지 4년 만에 선보이는 작품집이다. 그 동안 이철수의 판화들은 달력, 엽서 등과 같은 생활 소품을 통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사람들의 일상적 삶 속에 들어가 뭇 애호가들과 소통하고 만나 왔다. 그것은, 화랑이라는 제도권의 문턱을 넘어서고 화집이라는 형식의 틀을 벗어나, 좀더 편안하게, 스스럼없이, 꾸밈없이 사람들과 만나고 이야기하고 싶어해서이다. 작가 자신이 일찍이 제 그림의 존재 방식을 그렇게 설정해 온 것이다. 그러던 그가 제대로 형식을 갖춘 본격적인 작품집으로써 사람들과 또 달리 소통하고자 하는, 작가로서의 욕심이 생겨 이 책을 내게 됐다. 지금까지의 그의 판화집은 전시회의 일환으로 만든 도록의 성격이 짙거나 아니면 산문을 곁들인 판화 산문집들이었다. 그러나 「이철수의 ‘작은 선물’」은, 지금까지와는 조금 달리, 그가 ‘짐짓 정색하고’ 세상에 내놓는 첫번째 작품집이다. 그는 우선 ‘작품집’이라는 명목에 충실하고자, 최근의 작품들 가운데서 과감하게 버리고 신중하게 추린 끝에 작품 68점을 가려뽑았다. 그리고 아무런 군더더기 없이 오직 판화만을 꽤 너른 화면 속에서 넓은 여백과 함께 배치했다. 덕분에, 간결하고 단순한 가운데 깊은 울림과 긴 여운이 특징인 그의 판화를 느릿느릿 실답게 감상할 수 있는 미덕을 이 책은 지니게 되었다. 「이철수의 ‘작은 선물’」은, 그런 점에서, 본격적인 본새를 갖춘 그의 작품집으로는 첫 시도라고 해도 과하지 않을 것이다. ‘그림으로 시를 쓰는’ 판화가 이철수는 근래에 ‘그림으로 시를 쓴다’는 평을 듣는다. 이철수의 판화는 간결하고 단순하다. 이문재 시인의 말을 빌면, “과감한 생략과 압축이 두드러지는 그림”과 “역시 생략과 압축이 심한 짧은 글”이 한 화면을 이루는 그의 판화는 “그림과 글이 서로에게 스며들어” 비로소 완성된 그림을 이룬다. 곧, 그림과 글이 한 덩어리를 이루어 한 편의 그림이 되기도 하고 또 한 편의 시가 되기도 한다. 이철수 판화가 ‘한 편의 시’인 것은, 비단 그런 표현 형식 때문만은 아니다. 농촌의 삶 단면 단면이 여실히 살아 있고, 자연에 대한 관조적 깨달음이 묻어나고, 또 선禪적인 정신이 넘치는 이철수의 판화 작품 자체가 한 편의 시와 같은 울림과 혜안을 갖기 때문이다. “그의 판화에는 죽비를 내리치는 듯한 질타가 있고, 연민이 배어나는 염려가 있으며, 인간과 자연에 대한 환호가 있고, 고단한 삶에 대한 위무가 있으며, 일상의 세목에 대한 풍자가 있습니다. 삶의 전모, 세계의 정면을 장악하는 이 선기禪氣는 그러나 차갑지 않습니다. 따뜻합니다. … 세속의 한 켠에서 어쩌지 못하는 마음도 있습니다. 나는 저 선가나 노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만, 세속의 모퉁이에서 마음 때문에 쩔쩔매는 모습에도 오래 눈길을 줍니다.” (시인 이문재가 쓴 책의 발문 “마음의 깊이, 삶의 높이” 중에서) 이철수의 근작들은 전보다 한결 차분하다. 선線은 더욱 단순해지고 부드러워졌다. 하고자 하는 말은 더 짧고 단호하되, 말의 톤은 더 낮고 순하고 깊어졌다. 일례로 그의 선적인 판화를 예로 들면, 예전에는 선禪 자체나 불가의 이야기를 직접적으로 다루었다면, 이즈음의 것들은 일상의 이야기를 다루는 가운데 선적인 시정詩情을 담아 내고 촌철 살인의 선기를 내비치곤 한다. 낮은 소리로 편안하고 차분해진 이철수의 근작들은, 그래서, 보이지 않는 빈 공간을 풍부하게 품고 있다. 그 빈 공간은 감상자가 두고두고 새롭게 채워 갈 그 무엇일 것이다. “이철수의 판화는 이철수의 삶과 동행한다” 독학으로 그림을 익힌 이철수는 오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미술 활동을 시작했다. 1981년의 첫 개인전 이후 80년대에 탁월한 민중 판화가로서 이름을 떨쳤고, 90년대 이래로 일상과 자연과 선禪을 소재로 한 새로운 작품 세계에 골몰해 오면서 전에 없이 폭넓은 대중의 사랑을 받고 있다. 평범한 일상의 삶으로 시선을 낮추면서 담박하고 단아해진 이철수의 판화는 사람들을 편안하게 가깝게 끌어들인다. 그러나 다가가기에 쉬워졌다고 해도 이철수의 판화 세계는 결코 가볍지가 않다. 그는 “평범한 일상이 드높은 정신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자 존재와 삶의 경이를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믿는다.” 결국 그는 판화 작업을 통하여 삶의 실상을 직시하고, 깨어 있는 정신으로 살려고 하는 것이다. 그런 이철수의 판화에서 사람들은 깊은 공감대를 느끼고, 결코 공허하지 않은 깨우침과 성찰을 얻는다. 이철수 판화의 그런 힘은 무엇보다도 그의 그림이 땅에 단단하게 뿌리박은 그의 삶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굳이 들먹이자면, 이철수는 판화가일뿐더러 농부이며 시민 운동가이기도 하다. 그에게는 땅을 일구어 먹거리를 키우고, 사회 공동체를 위해 시민 운동에 정념을 쏟고, 또 목판에 그림을 새기고 하는 일이 모두 별개가 아니라 하나이다. 모두가 이 땅에 단단하게 뿌리박은 생활인이라는 데에 같은 뿌리를 두고 있다. “이철수 판화는 땅에 뿌리박은 삶의 활달함을 애호합니다. … 이철수 판화는 생활의 발견입니다. 판화가가 자기 생활의 확고한 주인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는 논농사를 짓고 밭을 갑니다. 자기가 살고 있는 시골 마을에서 반장도 했고, 어린이 도서관을 짓고 꾸려가는 데도 앞장섭니다. 현실과 동떨어진 고독한 예술가가 아닙니다. 저 권위주의 시절, 권력이 민중의 숨통을 옥죄던 시절, 판화를 통해 어두운 시대와 맞섰던 오연한 작가 정신이 시골살이에서도 엄연한 것입니다. 이철수 판화는 이철수의 생활에서 나옵니다. 이철수 판화는 이철수의 삶과 동행합니다.” (발문 “마음의 깊이, 삶의 높이” 중에서)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