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영화의 이해

그래엄 터너
272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4(44명)
0.5
3.5
5
평가하기
3.4
평균 별점
(44명)
코멘트
더보기

한나래 시네마 시리즈. 영국의 문화 연구 전통 아래 쓰여진 이 책은 사회적 행위로서의 영화를 소개하고 영화 제작과 소비, 그것의 쾌락과 의미 등에 대한 연구가 문화 자체의 작용에 대한 연구라는 큰 틀 속에 통합됨을 보여 주고 있다. 저자는 다양한 방법론을 원용해 대중 영화가 창출해 내는 의미가 관객과의 상호 작용에 의한 것임을 설득력 있게 제시함으로써 기존의 ‘미학 지상주의’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국내에선 거의 보기 어려운 ‘고전 영화’들을 범례로 드는 기존의 영화 이론서와는 달리 [터미네이터], [에일리언], [델마와 루이스] 등 우리 관객들에게도 친숙한 영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는 것도 이 책의 장점이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4(44명)
0.5
3.5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제1장 극영화 산업 오늘날의 극영화 극영화의 형성 미국의 극영화 산업 주도 새로운 경쟁자, 새로운 전략 심화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 제2장 제7의 예술에서 사회적 행위까지 -- 영화 연구의 역사 초기의 미학적인 접근 리얼리즘적 접근 앙드레 바쟁 작가와 장르 사회적 행위로서의 영화 심화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 제3장 영화 언어 문화와 언어 의미화 행위로서의 영화 의미화 체계 영화 읽기 심화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 제4장 영화 내러티브 이야기의 보편성 내러티브의 기능 구조주의와 내러티브 약호와 관습 장르 구조주의, 장르, 그리고 서부극 심화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 제5장 영화 관객 관객 특정화 스타 영화 체험 영화 관찰자와 정신분석학 관객 동일시 욕구와 이미지 관객, 텍스트, 그리고 의미 심화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 제6장 영화, 문화, 그리고 이데올로기 영화와 민족 문화 민족 영화: 호주 영화의 부흥 텍스트 속의 이데올로기 이데올로기 분석의 이슈들 심화 연구를 위한 참고 자료 제7장 영화 분석의 실제 내일을 향해 쏴라 애타게 수잔을 찾아서 결론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시네마시리즈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7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