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_왜 지금 마을과 공동체를 이야기하는가 | 1부 | 함께하니 인생이 바뀌었다 1. 함께 어울려 사는 재미 헌 탁구대 하나의 기적 해외여행보다 더 재미있는 마을살이 같이 살면서도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공유 주택 2. 엄마를 해방시킨 품앗이 육아 아이 보느니 힘든 직장인이 낫다 독박 육아가 없는 곳 공동 육아를 하면서부터 내 삶이 생겼다 3. 아이도 어른도 모두 행복한 공동체 교육 실제 삶에 별 도움이 안 되는 교육의 추억 온 마을이 아이들을 키운다 삶과 무관한 무기력한 교육이여, 안녕! 4. 주경야독,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시골살이 동아리만 50개, 귀촌자들이 만든 별난 시골 마을 문화의 향기가 물씬 풍기는 마을 주경야독으로 새로운 농부의 길을 찾다 5. 돈으로부터의 자유 가진 게 없을수록 함께 살 길을 찾아야 욕망에 사로잡히면 자유로울 수 없다 천혜의 길지에 저비용의 마을을 조성하다 | 2부 | 실낙원을 낙원으로 만든 사람들 1. 달동네에 먼저 달이 뜬다 ‘논골마을만들기 추진위원회’ 결성 ‘떴다 홍반장’ 마을 프로그램 사랑방이 되는 교회 2. 혁명이 시작된 변방 느린 사람의 속도로 맞추어 사는 곳 대안적인 삶을 실천하다 무소유, 산 위의 삶 3. 우리 마을 희망의 일자리 공동체 안에서 일자리를 찾다 사람이 우선인 일자리 4. 어울려야 치유되는 상처 공감 속에서 살아갈 힘을 얻다 춤, 명상으로 분노를 버리다 심리 문제가 해결되면 유토피아가 열린다 | 3부 | 혼자 살아도 행복해야 한다 1. 혼자는 외롭고 함께는 괴로운 이유 맬서스와 도킨스의 인구팽창론은 허구가 되어버렸다 또 하나의 혁명, 포유류에서의 이탈이 시작되었다 외로움은 흡연과 알코올중독만큼 해롭다 고독할 수는 있지만 고립되어서는 안 된다 2. 싱글의 공동체살이 공동체 속에서 살아가는 혼삶족들 함께 살면서 배운 것들 | 4부 | 해외 공동체를 가다 1. 병든 개인과 세상의 치유자들 50대 중반, 몸의 반란이 시작되었다 ‘컬트’로 비난할 수 없는 공동체 선구자들 2. 환희의 비결은 타인을 위한 삶: 태국 아속 아속의 여러 모습 나누고, 비우고, 실천하는 승려들 포틸락이 선택한 삶 진정한 베풂으로 명소가 된 시사아속 3. ‘나’로 살면 누구나 천재: 인도 오로빌 세계에서 가장 큰 공동체 마을 돈 없이도 배울 수 있다 4. 지상에 만들어가는 천국: 미국 브루더호프 저 푸른 초원 위에 그림 같은 집들 사랑과 헌신, 노동이 함께하는 천국 독재의 아픈 역사 5. 불통의 아픈 역사를 딛고 다시 소통하는 사람들: 일본 야마기시 고정관념 없이 열린 자세로 최상의 것을 실현하라 진정한 소통으로 삶을 엮어나가는 사람들 6. 눈치 보지 않는 사회를 만들자는 꿈: 일본 애즈원 그들은 왜 부유한 공동체를 떠났을까 명령도 강요도 없는 회사, 어머니 도시락 걱정이 없는 애즈원 사람들 에필로그_서로 의지하고 돕고 사랑하기를 부록_‘마을공동체가 궁금해요’ 일문일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