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_페니키아인이 지중해 무역으로 번성한 이유 페니키아인은 어떤 민족인가 무역의 중심 도시 티루스 고대 세계와 노예 카르타고의 번영과 쇠퇴 페니키아인이 없었다면 로마인도 없었다 제2장_동아시아가 유럽보다 경제 발전이 빨랐던 이유 춘추 전국 시대의 경제 정책 지금까지 살아 있는 진시황의 영향력 진의 통치 정책을 이어받은 한나라 무제의 적극적 정책 획기적이었던 균륜법과 평준법 제3장_이슬람 왕조는 어떻게 국력을 키웠을까 아바스 혁명에서 세계 종교로 인도양 교역의 핵심을 담당한 무슬림 상인 인도양의 이슬람화와 중국의 영향 무슬림이 아닌 상인들 제4장_바이킹이 한자동맹에 패배한 이유 상인으로서의 바이킹 바이킹의 후계자였던 한자동맹 발트해 무역과 한자동맹 네덜란드의 대두 제5장_중국은 조공 무역 때문에 쇠퇴했다? ‘초기 교역의 시대’ 접점이 된 말라카와 류큐 아시아 내 포르투갈인의 중요성 아르메니아인과 영국 동인도회사의 협력 관계 군사력보다 앞선 상인들의 힘 제6장_지중해가 쇠퇴하고 발트해와 북해가 번영한 이유 쇠퇴기에 접어든 이탈리아와 지중해 지중해 소금을 수입한 발트해 지역 근세 이탈리아 경제 성장의 한계 에너지 공급의 한계 지중해에 진출한 스웨덴 선박 제7장_새로운 희망봉 경로는 아시아와 유럽의 관계를 어떻게 바꾸었나 유럽과 아시아의 경제력 역전 개별적으로 아시아에 진출한 포르투갈 상인들 포르투갈의 대외 진출을 도운 뉴크리스천 아시아와 신세계를 연결한 포르투갈 상인 제8장_동인도회사의 역할 영국과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 혁신적이었던 영국과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 아시아 내 포르투갈인의 중요성 아르메니아인과 영국 동인도회사의 협력 관계 군사력보다 앞선 상인들의 힘 제9장_네덜란드가 세계 최초의 패권 국가가 된 이유 발트해 무역은 네덜란드 무역의 어머니 유럽의 인구 증가 네덜란드를 패권 국가로 만든 곡물 운송 사업 유럽의 삼림 자원 고갈 곡물의 시대에서 원료의 시대로 발트해 무역에 쓰인 네덜란드제 ‘플라이트선’ 제10장_팍스 브리태니카가 실현된 이유 세계 최대 제국이 된 영국 ‘가장 현명한 정책’이었던 항해법의 제정 국가가 무역 활동을 관리하는 독특한 시스템 라틴아메리카를 오가는 정기편 운항 영국이 아시아 내 물류까지 담당하게 된 이유 세계의 공장이 아니라 세계의 운반자였던 영국 제11장_국가 없는 민족이 세계사를 바꾸다 1 - 아르메니아인 디아스포라의 정의 아르메니아 역사 개요 이란의 비단을 유럽으로 운송하다 볼가 강 경로가 다른 경로를 위협하다 아르메니아 상인을 유치한 인도 ‘동인도 무역’에 불가결한 존재였던 아르메니아인 제12장_국가 없는 민족이 세계사를 바꾸다 2 - 세파르디 세파르디는 어떤 민족인가 확산하는 세파르디 카리브해에서 사탕수수를 재배하다 지중해의 산호를 인도로 수출하다 아르메니아인의 네트워크와 비교한다면 제13장_영국의 ‘차 문화’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중국어’라는 벽 ‘작은 나라’ 스웨덴이 담당한 큰 역할 프랑스 동인도회사의 밀수 밀수가 아니었다면 영국의 차도 없었다 제14장_영국에서 세계 최초의 공업화가 일어난 이유 공업화 이전의 공업화 프로토 공업화 이론의 오류 공업 지대에서 생산된 것들 북유럽 하천의 중요성 가처분 소득의 증대가 가져온 것 프로토 공업화와 산업혁명의 관계 유럽과 그 외 지역의 차이 제15장_미국의 ‘해상 개척자’란 영국 항해법의 보호 아래 탄생한 미국 미국의 중립 무역 해상의 개척자 제16장_19세기 들어 서유럽과 아시아의 경제력이 크게 벌어진 이유 19세기, 전 세계 시장의 통합 19세기, 유럽 경제는 얼마나 성장했을까 제철업을 급격히 발전시킨 철도 몰라보게 개선된 유럽인의 식량 사정 대서양을 건넌 유럽 노동자들 호주, 뉴질랜드로의 이민 제17장_사회주의는 왜 쇠퇴했을까 사회주의가 붕괴한 이유 사회주의 국가의 경제 성장 사회주의 경제의 쇠퇴 소비재 유통을 경시한 사회주의 국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