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윤보라님 외 5명
25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3(178명)
0.5
4
5
평가하기
3.3
평균 별점
(178명)
코멘트
더보기
[운영] 쥬라기 공원: 새로운 시작 소장 30% 할인_보드배너[운영] 쥬라기 공원: 새로운 시작 소장 30% 할인_보드배너

'우리 시대의 질문' 시리즈의 두 번째 권. 최근 인터넷과 방송을 매개로 촉발된 혐오 전쟁부터, 대학 캠퍼스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역차별 논쟁, 페미니스트와 성소수자 들 안에 잠재된 혐오, 사회 지배적인 혐오를 내재한 자기혐오 등 다양한 혐오의 얼굴들을 드러낸다. 그러는 동안 혐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혐오의 대상은 누구인지, 혐오라는 강렬한 감정의 기능과 효과는 무엇인지, 우리는 어떻게 혐오로부터 나아갈 수 있는지를 묻고 답한다. ‘여성 혐오’를 입구 삼아 우리가 진정 도달하고자 하는 것은 ‘혐오 사회’의 민낯이다. 이 책은 여성 혐오 문제에 접근하는 우리의 생각의 틀을 먼저 점검하게 한다. ‘본래의 페미니즘 정신’과 대비시킨 ‘무뇌아적 페미니즘’, ‘모든 여성’은 아니지만 ‘일부 여성’은 비난받을 만하다는 널리 공유된 생각은 신중하고 점잖은 의견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세련된 여성 혐오일 뿐이다. 페미니즘이 구조를 문제 삼는 대신 남성을 권좌에서 끌어내리고 있다는 그 칼럼니스트의 비판은 정작 소년이 박탈감을 느끼게 한 사회구조의 문제를 ‘페미니즘’의 탓으로 돌리는 것과 같다.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3(178명)
0.5
4
5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저자/역자

코멘트

8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기획의 말 - 6 김치녀와 벌거벗은 임금님들 : 온라인 공간의 여성 혐오 / 윤보라 ? 9 무언가 잘못되었다 | 거푸집 만들기 | 삭제된 여성들과 훼손된 ‘개념녀’ | ‘드립’의 정치학과 벌거벗은 임금님들 주체화, 호러, 재마법화 / 임옥희 ? 47 혐오, 주체화의 열정 | 참수냐 자본이냐 | 공포의 힘, 여신, 괴물성 | 약한 자여, 너의 이름은 여자? | 귀환하는 젠더 무의식 | 젠더의 재마법화 언어가 성별을 만든다 / 정희진 ? 89 말이라는 것 | 여성은 실재가 아니라 재현이다 | 표현할 말이 있는가? ― 표현의 자유라는 문제 | 페미니즘은 인식론 ― 지식 생산과 성별 | 말하는 자연, 여성에 대한 혐오 다른 목소리로 : 남성 피해자론 및 역차별 주장 분석하기 / 시우 ? 117 공간과 범주의 젠더 정치학 | 남성 피해자 정치학의 한계 | 경합하는 성평등 논의 | 어쩌면, 다시 페미니즘 혐오는 무엇을 하는가 : 트랜스젠더퀴어, 바이섹슈얼 그리고 혐오 아카이브 / 루인 ? 165 혐오라는 복잡하고 양가적인 감정 | 비트랜스 페미니즘의 트랜스 혐오, 동성애의 바이 혐오 ― 혐오로 조우하기 | 폭력의 예감 | 혐오의 체화 ― 결론을 대신하며 누군가의 삶에 반대한다? : 성소수자 운동이 마주한 혐오의 정치세력화 / 나라 ? 227 혐오의 시대 | 혐오가 파괴하는 삶들 | 우파 지배의 도구가 된 한국의 성소수자 혐오 | 혐오에 맞선 저항과 연대 | 충격과 공포를 넘어, 무기력에 맞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여성 혐오’로 읽는 우리 사회의 민낯 혐오 세계의 문법에 관해 물어야 할 것들 혐오라는 정동이 우리 사회를 잠식해가고 있다. 보수와 진보가 거리에서 맞불 시위를 하고, 일베 청년들이 세월호 유가족 단식 앞에서 폭식 투쟁을 벌이고, 특정 성별과 지역, 이데올로기를 비하하며 혐오스러운 말들을 온라인상에 전시하던 찰나에, 한 소년은 “페미니스트가 싫다”며 이슬람국가(IS)로 향했다. 이 일련의 새로운 사회문화적 현상에 관한 갑론을박이 진행되는 가운데, ‘여성 혐오’라는 말이 발 빠르게 지배적인 ‘혐오’의 얼굴로 등장했다. 그래서 혹자는 이 시공간을 ‘혐오 시대’라고 명명한다. 혐오가 우리 사회의 지배적 정동이라면, 이 사회가 무엇을 주된 혐오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지를 묻고, 그 지점에서 우리 사회의 맨얼굴을 확인하는 일이 시급하다. 현실문화 편집부는 주된 혐오의 대상으로 낙인찍힌 ‘여성’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우리 사회의 맨얼굴을 드러내보자는 취지로 이 책을 기획했다. 이 책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