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으로 분석한 춘추전국의 제자백가

신동준 · 인문학
159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운영] 해피엔드 선착순 2,000 캐시백_보드배너[운영] 해피엔드 선착순 2,000 캐시백_보드배너

춘추전국시대는 일명 선진先秦시대로 불린다. 광의의 선진시대는 삼황오제의 전설시대에서 시작해 진시황의 천하통일 이전 시기까지를 지칭하나, 협의로는 통상 춘추전국시대를 뜻한다. 이 시기는 동서고금을 통틀어 최고의 난세에 해당한다. 그 기간도 무려 550년에 달한다. 아이러니하게 이때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치국평천하 방략이 등장했다. 이른바 제자백가諸子百家의 백가쟁명百家爭鳴이다. 이들 가운데 후대에까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유가와 법가, 도가, 묵가이다. 이를 통상 선진4가先秦四家로 부른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묵가는 유가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유가가 역설한 왕도王道의 이상을 추구한 일종의 ‘유가좌파’에 해당한다. 맹자는 외양상 묵가를 비판했지만, 그 내막을 보면 사실 묵가의 사상적 제자에 해당한다. 본서가 맹자를 묵가로 분류하면서 공자사상의 정맥이 ‘유가우파’인 순자에게 흘러갔다고 본 이유다. 이렇게 보면 유가와 법가 및 도가 등 이른바 ‘선진3가’만이 제자백가의 중핵으로 꼽을 수 있다.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저자/역자

목차

저자 서문 … 9 들어가는 글_선진시대와 백가쟁명 … 14 ^제1부 호리지성을 적극 활용하라 - 상가商家 … 45 제1장 관중과 『관자』 … 47 제1절 경세제민의 방략을 제시하다 … 47 제2절 관자사상의 특징 … 114 제1항 제자백가의 효시 … 114 제2항 관자사상의 구성 … 118 제3절 관자사상의 전개 … 178 제2장 상가와 「화식열전」 … 196 제1절 상가사상의 완성 … 196 제2절 상가사상의 전개 … 218 제2부 극기복례로 천하에 임하라 - 유가儒家 … 235 제1장 공구와 『논어』 … 237 제1절 치국평천하 사상을 전파하다 … 237 제2절 공자사상의 특징 … 447 제1항 군자개념의 완성 … 447 제2항 공자사상의 구성 … 461 제3절 공자사상의 전개 … 548 제2장 순경과 『순자』 … 556 제1절 공자사상의 원형을 복원하다 … 556 제2절 순자사상의 특징 … 578 제1항 공자사상의 승계 … 578 제2항 순자사상의 구성 … 602 제3절 순자사상의 전개 … 649 제3부 겸애교리로 공존을 꾀하라 - 묵가墨家 … 699 제1장 묵적과 『묵자』 … 701 제1절 겸애교리로 무리를 이끌다 … 701 제2절 묵자사상의 특징 … 707 제1항 공자사상의 변형 … 707 제2항 묵자사상의 구성 … 717 제3절 묵자사상의 전개 … 764 제2장 맹가와 『맹자』 … 783 제1절 인의와 왕도를 역설하다 … 783 제2절 맹자사상의 특징 … 792 제1항 공자사상의 왜곡 … 792 제2항 맹자사상의 구성 … 834 제3절 맹자사상의 전개 … 861 제4부 무위자연의 자유를 즐겨라 - 도가道家 … 887 제1장 노담과 『노자』 … 889 제1절 무위지치의 평천하를 논하다 … 889 제2절 노자사상의 특징 … 905 제1항 무위지치의 정립 … 905 제2항 노자사상의 구성 … 921 제3절 노자사상의 전개 … 983 제2장 장주와 『장자』 … 1000 제1절 속세를 떠난 자유를 구가하다 … 1000 제2절 장자사상의 특징 … 1017 제1항 노자사상의 변질 … 1017 제2항 장자사상의 구성 … 1030 제3절 장자사상의 전개 … 1089 제5부 엄법으로 천하를 평정하라 - 법가法家 … 1109 제1장 상앙과 『상군서』 … 1111 제1절 부국강병을 최초로 실천하다 … 1111 제2절 상자사상의 특징 … 1136 제1항 부국강병의 실천 … 1136 제2항 상자사상의 구성 … 1152 제3절 상자사상의 전개 … 1193 제2장 한비와 『한비자』 … 1203 제1절 난세의 치국책략을 집성하다 … 1203 제2절 한자사상의 특징 … 1229 제1항 법가사상의 종합 … 1229 제2항 한자사상의 구성 … 1246 제3절 한자사상의 전개 … 1290 제6부 지피지기로 승리를 취하라 - 병가兵家 … 1315 제1장 손무와 『손자병법』 … 1317 제1절 필승의 용병술을 설파하다 … 1317 제2절 손자사상의 특징 … 1331 제1항 병가사상의 확립 … 1331 제2항 손자사상의 구성 … 1337 제3절 손자사상의 전개 … 1355 제2장 오기와 『오자병법』 … 1377 제1절 불패의 용병술을 언급하다 … 1377 제2절 오자사상의 특징 … 1395 제7부 상대의 속마음을 공략하라 - 세가說家 … 1411 제1장 세가와 『귀곡자』 … 1413 제1절 유세와 설득의 비술을 남기다 … 1413 제2절 귀곡자사상의 특징 … 1426 제3절 귀곡자사상의 전개 … 1443 제2장 소진과 『전국책』 … 1467 제1절 세 치 혀로 천하를 종횡하다 … 1467 제2절 세가사상의 전개 … 1479 나가는 글_G2시대와 제자백가 방략 … 1527 부록 1. 여타 제자백가 … 1548 부록 2. 춘추전국시대 연표 및 세계표 … 1561 참고문헌 … 1585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책은: 춘추전국시대는 일명 선진先秦시대로 불린다. 광의의 선진시대는 삼황오제의 전설시대에서 시작해 진시황의 천하통일 이전 시기까지를 지칭하나, 협의로는 통상 춘추전국시대를 뜻한다. 이 시기는 동서고금을 통틀어 최고의 난세에 해당한다. 그 기간도 무려 550년에 달한다. 아이러니하게 이때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치국평천하 방략이 등장했다. 이른바 제자백가諸子百家의 백가쟁명百家爭鳴이다. 이들 가운데 후대에까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유가와 법가, 도가, 묵가이다. 이를 통상 선진4가先秦四家로 부른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묵가는 유가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유가가 역설한 왕도王道의 이상을 추구한 일종의 ‘유가좌파’에 해당한다. 맹자는 외양상 묵가를 비판했지만, 그 내막을 보면 사실 묵가의 사상적 제자에 해당한다. 본서가 맹자를 묵가로 분류하면서 공자사상의 정맥이 ‘유가우파’인 순자에게 흘러갔다고 본 이유다. 이렇게 보면 유가와 법가 및 도가 등 이른바 ‘선진3가’만이 제자백가의 중핵으로 꼽을 수 있다. 굳이 ‘선진4가’를 꼽는다면 최근 중국 학계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상가商家를 드는 게 타당하다. 통상 경중가輕重家로 불리는 ‘상가’는 제자백가 가운데 유일무이하게 상업의 중요성을 역설한 학파이다. 일종의 정치경제학파에 해당한다. 기왕의 통설과 달리 ‘선진4가’를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 관자사상을 중심으로 학위 논문을 쓴 바 있는 필자가 본서를 집필한 이유이기도 하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