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에서 잠깐

정호승 · 시
200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3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제1부 패배에 대하여 진심에 대하여 어리석음에 대하여 추락 술잔을 앞에 놓고 빈 술병 낙엽을 쓰는 사람 연필을 깎으며 편의점에서 잠깐 순댓국을 먹으며 가난한 사람 남자 화장실을 청소하는 여자 강물 같은 사람 낙뢰(落雷) 폭포 담배꽁초 구혼(求婚) 몽돌 벚꽃 관(棺)을 짜는 남자 무게에 대한 생각 쓰레기 쓰레기 현관문 낙하(落下) 제2부 마음을 먹었다 마음의 주인 마음이 가난해지기 위하여 마음이 가난한 사람 마음으로 가는 길 점심(點心) 불심(佛心) 슬프고 아름다운 기도하는 법 연등 죽비 아라연꽃 무명초(無明草) 시간에 대한 감각 돌탑 양심을 찾아서 양심선언 저녁 시간 눈사람 설산(雪山)을 바라보며 칼과 풀잎 거미줄에 걸린 거미 절대정지 바보주막 심장마비 제3부 거기 누구 계시온지 지진 선택해주세요 마음의 성지(聖地) 겨울새 자리갯돌 용서를 위한 기도 물 한잔 어디 가는 길이세요 작은 그릇 하나로 천사에 대한 질문 <BR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외로워하지 말고 고독할 것 굳이 무릎 꿇고 두 손을 모으지 말 것” 서정의 거장이 건네는 이 시대에 가장 필요한 위로 패배와 어리석음을 딛고 삶에서 길어 올린 영혼의 문장들 지난 반세기, 정호승은 한국인의 영혼을 가장 깊이 위로해온 시인이다. 사랑의 언어는 희미해지고 서로를 향한 증오가 만연한 시대, 여전히 우리는 그의 따뜻한 손길과 눈길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3년 만에 펴내는 신작 시집 『편의점에서 잠깐』을 많은 독자들이 기다려온 이유다.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익숙한 위로를 넘어, 한층 깊어진 순결한 원숙미를 보여준다. 우리가 그의 시에서 감동과 위로를 받는 것은 삶의 가장 어두운 순간에서 가장 빛나는 가치를 길어 올리기 때문이다. 시인은 패배 속에서 사랑의 가능성을 발견하고(「패배에 대하여」), 어리석음이야말로 진정한 현명함(「어리석음에 대하여」)이라고 노래한다. 이처럼 실패와 상처를 외면하지 않고 그 안에서 생의 진실을 마주하는 태도는 완벽하지 않은 우리의 삶을 따뜻하게 어루만진다. 시인 스스로 “더이상 시를 못 쓰게 될 줄 알았다. 시의 샘이 말라버렸다고 여겼다”(시인의 말)라고 고백한 절망의 순간은 역설적으로 그가 왜 여전히 새로운 시인인지를 증명한다. 고갈되었다 믿었던 샘에서 다시금 시라는 물을 길어 올리는 끈질긴 과정 끝에 이 시집을 묶어냈기 때문이다. 백스물다섯편 중 스물다섯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미발표 신작시다. 50여년의 시력(詩歷)에도 진부함에 매몰되지 않는 힘, 바로 여기서 우리는 정호승이 “아주 오래된 시인이자 동시에 아주 새로운 시인”(김승희 시인, 추천사)인 이유를 발견한다. 그의 시는 연륜을 증명하는 기록이 아니라, 지금도 치열하게 생성되는 뜨거운 언어다. 패배와 천벌, 내리막길에서 발견한 인생의 진실 일상의 상식을 뛰어넘는 강렬한 역설의 힘 정호승 시의 진수는 삶의 이면을 꿰뚫는 역설의 힘에 있다. 김승희 시인이 “일상성을 아득히 뛰어넘는 역설의 힘이 여전히 강렬하다”(추천사)라고 감탄했듯, 이번 시집에서도 시인은 패배와 성공, 행복과 불행의 경계를 허물며 우리를 새로운 사유의 세계로 이끌어간다. 시인은 세상이 실패라고 규정하는 것들에서 오히려 삶의 가장 중요한 가치를 발견한다. 대표적으로 「패배에 대하여」는 “나는 패배가 고맙다”라는 선언으로 시작하여, “내게 패배가 없었다면/나는 당신을 사랑할 수 없었을 것이다/내가 패배했기 때문에 당신은/나를 사랑할 수 있었다”라는 깨달음으로 이어진다. 패배가 있었기에 생존할 수 있었고, 사랑 또한 가능했다는 이 역설은 세상의 승자독식 논리를 정면으로 거스른다. 이러한 전복적 사유는 시집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시인은 “어리석음은 나를 현명하게 한다”라고 말하며 “어리석은 현명함은 나의 유일한 재산이다”(「어리석음에 대하여」)라고 노래하고, “추락을 경험해보지 않은 새는 날지 못한다” “이별을 경험해보지 않은 자는 사랑하지 못한다”(「추락」)라고 단언하며 이별을 사랑의 필요조건으로 제시한다. 오연경 평론가의 말처럼 “세상의 질서와 논리를 뒤집어 역설적 가치를 깨닫게 하는 말들은 넘어지고 당하고 망가지며 살아남은 우리에게 선물 같은 위로를 전한다.”(해설) 시인이 “사람은 내리막길을 걸어갈 때 가장 아름답다”(「내리막길」)라고 말할 때, 우리는 숨 가쁘게 오르막길만 강요하는 세상에서 잠시 벗어나 길가의 꽃을 보며 천천히 걸어 내려가는 삶의 아름다움을 비로소 깨닫게 된다. 가장 솔직한 언어로 건네는 위로 미완의 삶을 끌어안는 거장의 따뜻한 품 이번 시집이 더욱 특별한 이유는 지극히 평범한 일상의 공간에서 삶의 진실을 발견하는 순간들이 반짝이기 때문이다. 시인은 순댓국 한그릇에서 “이별이라는 과거도 아름다워”(「순댓국을 먹으며」)지는 순간을 포착하고, 새벽에 연필을 깎는 행위를 통해 “죽은 나뭇가지 같은 분노를 깎”(「연필을 깎으며」)아내는 자기성찰의 시간으로 독자를 이끈다. 특히 모든 것을 달관한 현자의 목소리 대신, 끝내 다스려지지 않는 감정까지 숨김없이 드러내는 인간적인 정직함은 이 시집의 백미다. 이번 시집에는 “아름답고 절제된 언어로 사랑과 용서를 다짐하는 시들과 끝내 다스려지지 않는 부정적 감정을 숨기지 않고 고백하는 시들이 공존한다”(해설). “사랑은 용서로써 완성된다는 것을 잊지 않게 해주세요”(「용서를 위한 기도」)라고 경건하게 기도하던 시인은 돌연 “당신의 피 묻은 잔을 거절하겠습니다”라며 “나는 결국 사랑보다 증오의 사람입니다”(「당신의 잔」)라고 토로하기도 한다. 이는 불완전하고 모순된 채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한 인간의 진솔한 목소리로서 더 큰 울림을 준다. 시인은 성자(聖者)의 가르침이나 완벽한 깨달음의 경지를 보여주는 대신, 실패하고 흔들리는 미완의 삶을 따뜻한 긍정의 손으로 감싸안는다. 시인은 “두조각의 빵이 있는 자는 그 한조각을 수선화와 맞바꿔라. 빵은 몸에 필요하나 수선화는 마음에 필요하다”는 무함마드의 말을 인용하며, “이 시집이 당신의 마음에 필요한 수선화가 되길 바란다”(시인의 말)라고 말한다. 등단 50년을 넘긴 지금도 가장 새롭고 가장 절실한 언어로 우리 곁에 다가온 정호승. “존재의 가장 아름다운 꽃”(「아라연꽃」)으로 피어나는 그의 시는 “사랑이 결핍되고 증오가 팽배한 이 시대”(시인의 말)를 살아가는 우리의 영혼을 평온한 안식의 자리로 안내하며, 내일을 살아갈 힘을 북돋는 따뜻한 밥 한그릇이 되어줄 것이다. 그리고 오래되었지만 가장 새로운 ‘정호승 시의 샘물’은 결코 마르지 않을 것이다. 거장의 존재는 한국문학의 자랑이자 우리 시대의 기쁨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