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 05
1장. “자기 자신을 세우는 힘 (수양, 修養)”
01 “처음부터 삶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 그저 일정한 생업이 없기 때문이다.”
의지와 태도 ? 16
02 “남을 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누구에게나 있다.”
요즘 필요한 것 ? 20
03 “하늘이 장차 어떤 사람에게 큰 임무를 맡기려 할 때는, 반드시 먼저 그의 마음을 괴롭게 한다.”
대운의 신호 ? 24
04 “규율 없이는 네모와 원을 그릴 수 없다.”
흔들리는 마음 ? 29
05 “아버지를 섬기는 일은 술과 고기를 챙기는 일보다 더 깊다.”
효의 의미 ? 33
06 “같은 방 안에 굶주리는 사람이 있는데 옆자리 배부른 사람이 음식을 나누지 않는다면 인이 없는 자다.”
나눔의 미학 ? 37
07 “불고기가 먹고 싶어지는 마음은 불고기 냄새를 맡았기 때문이다.”
외부와 내면 ? 41
08 “말만 듣지 말고, 직접 가서 살펴보라.”
길라잡이 ? 46
09 “싸워도 못 이길 거면 땅을 버리고 이주하거나, 아니면 목숨 걸고 지킬 각오를 해야 한다.”
확실한 선택 ? 50
10 “어떤 일이 이루어지는 것도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하늘이 그렇게 하지 못하게 막는 것이다.”
기다리는 힘 ? 53
11 “어떤 이는 마음을 쓰고 어떤 이는 힘을 쓴다.”
삶이라는 집 ? 57
12 “백성이 마음으로 따르는 나라는 아무리 강대국이라도 두렵지 않다.”
가장 중요한 것 ? 60
13 “하늘이 세상을 뒤집을 때는 순식간에 변한다.
아무리 지혜롭고 재능이 뛰어나도 때를 만나지 못하면 뜻을 펼칠 수 없다.”
능력과 운명 ? 63
14 “물길을 바로 잡아 수로를 터주면 흙탕물이 맑아지고, 뱀과 용이 쫓겨나며 사람들이 거주할 수 있다.”
본질의 의미 ? 67
15 “망하는 것은 외부에서 침략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내부에서 무너지기 때문이다.”
기준의 중요성 ? 70
16 “사람이 하는 말에 근거가 없는 것은 좋지 않다.”
말의 무게 ? 74
2장 “ 함께 살아가는 힘 (공존, 共存) ”
17 “활쏘기를 배울 때 활쏘기의 도리를 터득한 뒤에 화살을 쏜다. 올바른 활쏘기란 그런 것이다.”
관계를 위한 책임 ? 80
18 “절세미인인 서시도 오물을 뒤집어쓰고 있으면 사람들이 모두 코를 막고 그냥 지나간다.”
겉모습보다 중요한 것 ? 84
19 “억지로 무언가를 행하려 하지 않고 자연의 순리에 따라 행동하라.”
나로 산다는 것 ? 87
20 “나는 마흔 살이 되고 나서야 비로소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다.”
부동심 ? 91
21 “내면에 뿌리내린 것에 의지하여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것을 호연지기라 한다.”
마음의 나무 ? 95
22 “덕으로 사람을 매혹하면 진심으로 그 사람을 따르게 된다.”
진정한 영향력 ? 100
23 “하늘이 내린 재앙은 피할 수 있으나 스스로 만든 재앙은 피할 수 없다.”
불행의 시작 ? 103
24 “굳이 다른 사람을 부러워하며 따라가지 말라.”
포기의 기술 ? 108
25 “사람의 병폐는 남의 스승이 되기를 좋아하는 데 있다.”
인간의 본성 ? 112
26 “모든 사람을 다 기쁘게 하려 한다면 날마다 아무리 애써도 부족하다.”
불가능한 일 ? 116
27 “떠나는 사람을 괴롭히고 끝까지 쫓는다면 이것은 원수를 만드는 일이다.”
좋은 이별 ? 119
28 “예의 같으나 진정한 예가 아니고 의로움 같으나 진정한 의가 아닌 것을 대인은 행하지 않는다.”
진정한 예의 ? 123
29 “바른 사람이 바르지 못한 사람을 바르게 길러주고 재능 있는 사람이 재능 없는 사람을 잘 길러주어야 한다.”
함께 성장하는 것 ? 127
30 “진정한 대인은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한 마음을 잃지 않는 사람이다.”
즐기는 삶 ? 130
31 “됨됨이를 알려면 누구 집에서 머무는지를 보면 알 수 있고
먼 데서 오는 사람의 됨됨이는 그가 선택한 집주인을 보면 알 수 있다.”
내가 머무는 곳 ? 133
32 “벗을 사귀는 것은 그 사람의 덕을 사귀는 것이다.”
벗의 기준 ? 137
33 “무언가를 얻으려면 반드시 마땅한 예와 절차를 따라야만 한다.”
시간과 인내 ? 141
34 “우산의 나무는 본래 아름다웠지만 도끼로 찍혀 베였으니 다시는 아름다울 수 없다.”
본래의 모습 ? 145
35 “바둑을 두면서 백조를 쫓는 자는 결국 어느 것도 이루지 못한다.”
몰입하는 힘 ? 150
3장 “ 삶의 태도를 바르게 세우는 지혜 (처세, 處世) ”
36 “내 구부러진 손가락을 펴줄 사람이 있다면 아무리 먼 나라까지라도 달려간다.
그러나 마음이 남만 못한 것은 전혀 싫어할 줄 모른다.”
내면의 문제 ? 156
37 “나무 기르는 방법은 알아도 자기 자신을 기르는 방법은 모른다.”
나를 돌본다는 것 ? 160
38 “위대한 것을 따르면 위대한 사람이 되고 작은 것을 따르면 작은 사람이 된다.”
작은 욕망과 헌신하는 삶의 차이 ? 163
39 "군주와 신하, 아버지와 자식, 형과 아우 사이에 마땅히 인의만이 있어야 할 뿐
굳이 이익을 논할 필요가 없다.”
이익에 눈이 먼 시대 ? 167
40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