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프롤로그: 세상에 맨얼굴로 당당히 맞서기 위해_지승호 1장 인문정신은 당당하다 ‘강신주’라는 고유명사 / 김수영과 인문정신 / 너나 잘하세요 / 인문학적 독서 / 인문학과 저항 / 철학을 종주하다 / 철학에 이르는 길 / 철학의 숲에서 김수영의 길로 / 경계를 허무는 철학 / 철학이 필요한 시간 / ‘현재’라는 텍스트 / 평론과 글쓰기 / 철학과 영화 2장 사랑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사랑과 기다림 / 사랑과 자유 / 잃어버린 열쇠 / 인간은 사랑의 존재 / 사랑하려면 신을 죽여라 / 이별을 각오하고 사랑하라 / 사랑은 ‘아까징끼’ / 어른이 된다는 것 / 혁명의 조건 3장 철학적 시 읽기와 김수영 ‘김일성만세’라는 시금석 / 김수영의 정신, 인문학의 정신 / 스스로 도는 팽이 / 불온시 논쟁 / 김수영과 아버지, 박인환과 김춘수 / 절정에 서서 버티기 / 사랑과 폭력 / 긍지의 날 / 시와 철학 / 시인들 / 문학과 에로티시즘 / 시의 힘 / 보편적 공감의 구조 / 강신주를 위하여 / 강신주다운 글쓰기 / 시인과 철학자 4장 제자백가를 통하라 혁명가와 시인 / 움직이면 산이 아니다 / 동양의 정치철학과 ‘역린’ / 사람과 사람 사이의 길 5장 유가를 넘어서 유학의 패권 / 공자와 진시황 / 묵자와 양주 / 제자백가와 담론 지평의 확장 / 중국 담론과 위계 사회 / 사마천과 공자 / 억압과 야만의 시대 / 공자와 예법 / 공자의 인간적 면모 / 고전 독법과 대안 교육 6장 길은 내가 만들어야 한다 관중, 순자, 여불위 / 중국 철학 최초의 악플러, 맹자 / 공자의 모순 / 도는 걸어야 만들어진다 / 덕의 정치 / 포숙, 관중을 부리다 / 노자와 장자에 대한 오해 / 유교 자본주의와 조폭 문화 7장 철학, 한국 사회를 보다 정치, 인간과 노예 사이 / 마르크스에게 욕먹는 마이클 샌델 / 오감의 세계 vs 시각의 세계 / 신상 털기와 인민재판 / 다른 옷 입기, 같은 옷 입기 / 스티브 잡스와 이건희 / 망령의 귀환 / 신은 죽었다, 카르페 디엠 / 예수, 작두를 타다 / 스피노자와 동학 / 자본의 한계를 돌파하는 사랑 / 노무현과 진보의 증발 / 억압과 야만의 시대 / 사랑과 혁명이 필요한 시간 8장 자본주의에 맞서라 소유냐 사랑이냐 / 장기 기증인가 매매인가 / 괴물과 싸우다 괴물이 된다 / 하이퍼리얼리티 / 대중매체와 스펙터클 / 시각의 세계, 자본의 세계 / 민주주의는 데모의 정치 / 민주주의의 양 떼가 되다 / 자살에 이르는 길, 자기계발 9장 음악이 필요한 시간 편집자는 첫 독자 / 언어 이전의 고통과 대중적 글쓰기 / 자본과 책 사이의 인문학 출판 / 블로그와 책 / 내가 챙긴다 / 거리 두기 / 음악과 정신성 / 음악, 바벨탑 이전의 언어 / 피아노 소나타와 리듬 / 감정 수업 / 유리병 편지 / 고통의 폭과 <에밀> / 글쓰기의 동력 10장 인간을 위하여 내가 욕망하는 것은 무엇인가 / 페르소나와 결혼 / 가면을 벗고 어린아이가 돼라 / 그리고 사랑과 자유 에필로그: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다웠다_강신주 인용 작품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