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문학에서 물의 정령이 언급된 것은 1320년 슈타우펜 가문의 전설을 다룬 시를 들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물의 여인에 대한 상상을 확고하게 해 준 것은 1800년대 초 낭만주의 작가들에 의해서였다. 특히 푸케의 ≪운디네≫(1811)는 물의 여인에 관한 이전의 모든 상상을 구체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후의 모든 분야에서 물과 여인에 대한 이미지를 확고하게 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작품은 파라셀수스의 글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푸케의 작품 주인공 운디네는 물이라는 자연 요소가 가진 긍정적·부정적 힘을 대표한다. 어부의 양녀로서 철없는 행동만 일삼는 그녀는 18세나 되었지만 살림을 돕거나 예절에 맞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 마치 숲 속을 흐르는 맑은 물처럼, 자연 그대로의 천성을 갖고 있다. 자연 속의 물이 인간을 배려해서 흐르거나 고여 있지 않은 것처럼, 운디네는 본성 그대로 행동할 뿐이었다. 비록 인간과 같은 모습을 하고, 인간의 영역에 살고 있지만, 그녀는 아직 물에, 즉 순수한 자연에 속해 있는 존재였다.
이러한 운디네는 기사 훌트브란트와의 결혼을 통해 영혼을 얻게 된다. 가볍고 유쾌한 정령 운디네에게 영혼이란 “뭔가 사랑스러운 것이지만, 또 뭔가 아주 두려운 것”, “무거운 압박”으로, 그것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걱정과 슬픔”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영혼을 얻은 운디네는 인간, 특히 남성이 바라는 최고의 여성으로 변하게 된다. 남편인 훌트브란트가 “내가 그녀에게 영혼을 주었다면, 분명 내 영혼보다 훨씬 더 좋은 것을 준 게 분명해”라고 말할 정도다.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가정적이고, 타인을 배려하며, 신을 경외하는 여성이 된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녀가 갖고 있는 물의 요소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항상 운디네의 주변을 도는 삼촌 퀼레보른은 그녀가 물의 속성, 자연의 힘과 절대 분리될 수 없음을 알려 준다. 그녀에게 남아 있는 신비스러운 자연의 힘은 결국 남편으로 하여금 아내에게 두려움을 느끼게 만들고, 그녀를 멀리하게 만든다.
운디네가 영혼을 가짐으로써 인간의 도덕을 지키는 것처럼, 남편 훌트브란트도 다른 존재와 결혼함으로써 반드시 지켜야 할 금기 사항을 갖게 된다. 절대로 물가에서 운디네를 모욕하면 안 된다는 금기를 지켜야만 운디네와의 관계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훌트브란트는 이 금기를 깸으로써 운디네를 잃고 만다. 비록 눈앞에서는 사라졌지만, 운디네가 죽지 않은 상황에서 다른 인간의 여인과 혼인을 함으로써 자연과 인간의 법칙 모두를 어기게 된다.
운디네는 남편보다 더 훌륭한 영혼을 가짐으로써 사랑의 고뇌와 고통을 감수하고, 사라져 버릴 육신 속에 불멸의 영혼을 지키기 위해 애써야 하지만, 물의 정령으로서도 해야 할 일이 있다. 자신을 배반한 남편에게 반드시 복수해야 하는 자연의 법칙을 따라야만 하는 것이다. 분노한 물이 모든 것을 파괴하듯이, 남편의 생명을 빼앗아야만 한다. 그러나 이미 인간의 영혼을 가짐으로써 순화된 자연이 되어 버린 그녀는, 남편을 자신의 눈물로 질식시켜 죽인 뒤에도 남편의 무덤을 에워싸고 흐르는 시냇물이 되어 한없이 슬픔을 간직하게 된다.
맑은 물처럼 가볍고 경쾌하던 운디네는 영혼을 얻음으로써 진실로 사랑하는 법을 알고 그와 함께 고뇌도 알게 되었지만, 결국 원래의 요소로 돌아가고 만다. 영혼을 가져야만 한다는 아버지의 명령에 따라 인간 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고, 영혼을 얻었으나 그 순수한 영혼 때문에 상처를 입으며, 자연의 법칙에 따라 사랑하는 사람에게 복수를 가해야만 하는 운디네는 자발적으로 그 무엇도 할 수 없었던 푸케 당시의 여성들과 다를 바가 없다.
[인터뷰]
운디네가 남편을 죽인 것인가?
남편은 물가에서 아내 운디네를 절대로 모욕하면 안 된다는 금기를 지켜야 한다. 훌트브란트는 이 금기를 깸으로써 그녀를 잃고 만다. 운디네가 눈앞에서 사라지기는 했지만 죽지 않았는데도 훌트브란트는 다른 여인과 혼인함으로써 자연과 인간의 법칙 모두를 어긴다. 운디네는 자신을 배반한 남편에게 반드시 복수해야 하는 자연의 법칙을 따라야 한다. 분노한 물이 모든 것을 파괴하듯 배반한 남편의 생명을 빼앗아야만 하는 것이다.
샘물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운디네는 이미 인간의 영혼을 가짐으로써 순화된 자연이 되어 버렸다. 그렇기에 남편을 자신의 눈물로 질식시켜 죽인 뒤에도 무덤을 에워싸고 흐르는 샘물이 되어 한없는 슬픔을 간직한다.
당신은 왜 이 대목을 인용했는가?
“베푼 것보다 더 많이 받았다면, 그대는 행복하다. 사랑에서는 받는 것이 주는 것보다 더 복 받은 것이기 때문이다”고 푸케는 독자에게 말했다. 더 많이 사랑하고 더 오래 잊지 못하는 사람이 훨씬 더 외롭고 슬픈 것 같다. 인용한 이 마지막 구절을 읽을 때마다 김소월의 시 <못 잊어>와 그 노래가 생각난다. “그리워 살뜰히 못 잊는데 어쩌면 생각이 떠지나요?”
≪운디네≫에서는 환상과 동화가 동시에 느껴진다. 그 이유는?
물의 정령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물의 정령 운디네가 기사 훌트브란트를 사랑해 그와 결혼하나 행복한 생활도 잠시뿐 끝내는 기사를 죽일 수밖에 없는 비극적인 이야기다. 독일에서뿐만 아니라 외국에도 푸케의 이름을 알리게 했다.
하이네가 푸케에게 그렇게 열광한 이유가 무엇인가?
‘낭만주의 서사 작가들 중 유일하게 모든 대중을 감동시킨 작품을 썼다’고 말했다. 아이헨도르프는 푸케가 대중에게 낭만주의의 중심인물로 인식된다고 했다. 월터 스콧은 “매혹적”이라고 평했다. 에드거 앨런 포도 “높은 창조 정신”을 칭찬하면서 ≪운디네≫는 “기존의 것 중 최고의 로만체”라고 했다. 하이네가 열광할 만하지 않은가?
물의 정령에 대한 이전의 담론, 특히 파라셀수스의 생각은 무엇이었나?
고대인들은 공기, 물, 불, 흙을 우주의 기본 요소로 여겼다. 엠페도클레스는 사랑과 미움의 두 힘에 의해 이 원소들은 분리되고 결합하며 바로 이것이 만물의 생성과 소멸 원리라고 말했다. 파라셀수스는 스위스의 의사였는데 4원소에 깃든 정령에 대해 처음으로 체계적인 글을 썼다.
파라셀수스가 묘사한 물의 정령은 어떤 것인가?
물의 정령 님프는 여성이다. 이름은 운디네다. 인간처럼 생각할 수 있고 윤리와 도덕을 지녔으며 말하고 지식이 있다.
인간이 가진 것 가운데 정령 운디네가 갖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영혼이 없다. 인간의 육체는 사라져도 영혼이 불멸한다는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볼 때 자연의 정령은 일시 현상일 뿐이다. 인간보다 아래에 있는 존재다.
정령이 인간 남성과 결혼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그녀와 그녀의 자손은 불멸의 영혼을 가질 수 있다. 인간과 결혼한 운디네는 보통의 인간 여성처럼 신을 통해 구원을 받는다.
푸케는 왜 비련의 여주인공으로 4원소에 깃든 정령 중 물의 정령을 택했나?
파라셀수스의 작품을 통해 유추해 본다면 땅의 정령 퓌그메는 난쟁이, 불의 정령 잘라만더는 도마뱀으로 묘사되니 두 정령은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의 주인공이 되기에는 적절치 않았다.
공기의 정령 쥘페는 사랑의 대상이 될 수 없는가?
일반적으로 물은 여성으로 생각된다. 생명의 싹을 틔우는 물이 아이를 낳는 여성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물은 우주 만물의 근원이자 동시에 무덤이며 물질의 최초 형태다. 탄생, 여성적 원칙, 세상의 품을 상징하고 항상 바뀌며 파괴하고 정화하는 의미가 있다. 어디에나 있지만 어디론가 날아가 버리고 절대 손에 잡히지 않는 공기와는 다르다. 물은 대지를 떠날 수 없다.
푸케가 묘사한 운디네는 어떤 모습인가?
운디네는 물이라는 자연 요소가 가진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힘을 대표한다. 어부의 양녀로서 철없는 행동만 일삼는 그녀는 열여덟 살이나 되었지만 살림을 돕거나 예절을 지키지 않는다.
운디네의 비사회적, 비상식적 행동이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