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롭기 위해, 나 자신으로 살아가기 위해
이석원 작가가 이야기하는 ‘관계’와 ‘선택’, ‘창작’에 관하여
『보통의 존재』 『언제 들어도 좋은 말』 등을 통해 자신의 내밀한 이야기를 담담하게 써 내려갔던 작가, 이석원의 새로운 책 『나를 위한 노래』를 펴낸다. 『나를 위한 노래』는 이석원 작가가 온전히 나 자신으로 살아가는 데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들에 관해 쓴 책이다.
올여름, 이석원은 마음산책이 제안한 세 번의 강연을 했다. 강연은 모두 뜨거운 열기 속에서 진행되었다. 각 강연의 주제는 ‘관계’, ‘선택’, ‘창작’이었다. 보통 사람들이 일상 속에서 자주 겪는 어려움인 ‘관계’와 ‘선택’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석원이 창작자로 살아오며 느낀 중요한 점들을 ‘창작’ 주제로 엮어 강연했다. 그리고 그 세 번의 강연을 바탕으로 한 책이 출간된 것이다.
이석원은 작가로서 슬럼프를 겪었던 지난 시간을 털어놓는다. 그러나 강연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동안 새롭게 열정이 차오르는 것을 느꼈으며 이는 자신에게 하나의 ‘사건’과도 같았다고 이야기한다. 한 사람이 변화하면 그것이 세계에 어떻게 가닿을지 궁금해하며 책을 묶었다는 말을 통해, 이석원이 얼마나 정성을 다해 책을 준비했는지 엿볼 수 있다. 이 책은 이석원이 세심하게 가다듬어 내놓은, 뜨거운 강연의 기록이자 한 권의 신작 산문집이다. 또한 더 이상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기보다는 오로지 자신이 원하는 것을 면밀히 살피며 살아가길 바라는, ‘나’를 위해 부르는 긴 노래라고 할 수 있다.
“누가 누굴 알고 이해한다는 건
어쩌면 평생이 걸릴 수도 있는 긴 여정”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한 관계와 선택
사람들에게 ‘관계’란 숙제와도 같다. 수많은 사람들이 관계로 인해 행복해하고 또 괴로워하곤 한다. 이석원은 관계에서의 상처나 고통은 타인과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까울 때 발생한다고 강조하며, 누군가를 함부로 안다고 단정 짓는 태도의 위험함을 이야기한다. 당연한 듯 보이는 이 이야기는 이석원의 부모님과 지인의 예시를 통해 더욱 구체성을 띤다. 이석원은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며 잘 지내던 지인과 급속도로 가까워졌을 때 겪었던 곤란한 일화나 완고한 가부장인 아버지와 어머니 사이에서 빚어진 갈등을 이야기하며, 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거리 두기’와 ‘잘 거절하기’라고 덧붙인다. 물론 세상은 단순하지 않기에, 이 해법들을 실천하기란 어렵다는 말도 빠뜨리지 않는다. 그럼에도 자신이 이해받고 싶은 만큼 타인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는 태도가 중요하며, 그것은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는 세상에서 지닐 수 있는 최소한의 윤리라 여기는 것이다.
우리가 타인과 갈등을 빚고, 타인 때문에 힘들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우리는 생각도 견해도 기준도 다 다른 개별적인 존재들이거든요. 그러니까 서로 엇갈릴 수밖에 없고 그 엇갈림에서 많은 문제들이 생길 수밖엔 없는 거죠. _18쪽
처음 창작을 시작했을 무렵, 이석원은 자신의 선택을 온전히 신뢰하지 못했다. 그래서 자신의 개성을 밀고 나가기보다는 작업에 대한 피드백을 적극 수용하는 쪽이었다. 그러나 서울 인사동에 자신의 가게를 연 경험을 계기로, 그는 조금 달라진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대신 ‘부족해도 내 힘으로 해보자’ 하는 생각으로 가게의 콘셉트와 세부적인 인테리어를 고안했고, 그 결과 곧 망할 것이라는 일부의 예상과는 다르게 붐비는 가게를 만들어냈다. 이석원은 자신의 선택을 믿고 밀어붙였던 그 경험을 계기로 창작에 있어서도 좀 더 자신의 선택을 믿어보게 되었다고 이야기한다. 세상이 정답처럼 정해놓은 방식을 무작정 좇지 않게 되었다는 것이다. 물론 자신을 믿는 선택이 늘 옳지만은 않겠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남는 것이 있다. 이석원은 이를 통해 얻게 된 것은 타인의 시선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움이라고 언급한다.
선택은 남이 아닌 나를 위한 것이어야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자신보다는 남을 위한 선택을 합니다. _105쪽
“창작자는 내가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를 스스로 분명하게 알고
그것을 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26년 차 창작자가 이야기하는 취향과 안목의 중요성
이석원은 창작자가 모든 일을 다 잘해낼 필요는 없지만, 자신이 무엇을 하고자 하는지 방향은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것이 바로 자신의 개성과 대체 불가능성을 키우고 창작자로서의 생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는 비결이라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안목과 판단력을 길러야 하며, 무엇이든 실제로 부딪혀보라는 현실적인 조언도 건넨다. 작가가 되고 싶으면 공개적인 곳에 글을 써서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반응을 살피는 등, 실전을 최대한 많이 치러보라고 권한다. 이는 창작이란 결국 반짝이는 영감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함과 성실함을 바탕으로 해내는 일이라는 뜻이다.
창작이란 결국 선택이라는 행위를 무한히 반복하는 일입니다. 작가는 평생 단어를 고르고 주제를 고르고 문장을 선택해야 하죠. 음악가나 디자이너라면 어떤 스타일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운명이 바뀔 수도 있겠죠. 어떤 분야가 됐든 창작자라면 수많은 선택지 중에 어느 것이 최선인지를 끊임없이 고민할 수밖엔 없고, 그 고민의 결과가 그 사람의 인생을 좌우하게 됩니다. 그 선택과 판단을 할 때 제일 중요하게 작용하는 안목과 판단력이 어떻게 중요하지 않을 수가 있겠어요. _138~139쪽
사람들이 관계와 선택에 대해 고민하고 창작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바로 어제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은 바람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그 바람에는 온전한 나 자신으로 살아가고 싶은 열망도 깃들어 있을 것이다. 관계와 선택, 창작은 결국 ‘나 자신으로 살아간다는 것’이라는 주제와 긴밀히 맞닿아 있다. 작가로서 이석원은 이 어려운 질문에 대한 명쾌한 답을 제시한다기보다는, 함께 고민하고 답을 찾아가는 이에 가깝다. 세 번의 이야기 마지막에는 강연 때 나누었던 질의응답을 선별해 실었는데, 고민을 듣고 함께 생각하며 사려 깊은 답변을 하는 이석원의 면모를 잘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