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당신을 만납니다” 1장 트라우마가 우리에게 남긴 흔적 “아직도 그날의 기억이 생생합니다” _ 마음과 몸에 남은 기억 “시간이 이렇게 흘렀는데…” _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삶이 제한되다” _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이해하기 “어, 왜 내가 나를 보고 있지” _ 내가 아닌 것 같은 느낌, 해리 2장 치유와 변화의 시작 “접힌 신문지를 조금씩 펴가면서” _ 수용과 변화의 시소 타기 “기분이 좋지 않아도 웃어주느라 에너지가 다 빠져요” _ 살아남기 위한 노력, 생존전략 이해하기 “의도적으로 피하기를 선택합니다” _ 벙커로 잠깐 물러나기 “이런 마음들이 있구나” _ 마음챙김 [연습] 마음챙김 “별것 아닌 것 같지만, 도움이 되는” _ 삶의 균형을 회복하는 자기돌봄 기술 [연습] 지금 바로, 즐거운 일 하기 [연습] 나를 보살피기 “우리는 파도를 멈출 수 없다. 하지만” _ 감정의 파도타기 [연습] 감정일기 쓰기 3장 더 깊은 회복으로 “누구나 상담자가 필요합니다” _ 선수와 코치처럼 “낯선 길에서도 안심하기” _ 회복의 지도 그리기 “발바닥이 바닥에 닿는 느낌을 느껴보세요” _ 현재에 머무르기 [연습] 몸의 느낌과 친해지기 [연습] 안전한 환경 만들기, 그리고 안전한 사람과 함께하기 “기억의 서랍을 정리하기” _ 과거와 마주하기 “끌려가는 삶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삶으로” _ 미래를 바라보기 [연습] 성취감 맛보기 [연습] 연결감 회복하기 “삶으로 한 발짝씩” _ 현재, 과거, 그리고 미래 4장 생존에서 삶으로 “수술 자국은 남아 있지만” _ 트라우마 후유증 “소송을 진행한다면” _ 법적 절차에서 주도성 발휘하기 “아무도 알고 싶어 하지 않는 이야기” _ 친족 성폭력 생존자 “내가 어떻게 도와주기를 원하나요” _ 생존자 곁에서 “그 아픔은 도대체 어디에서 오는 거지요” _ 여전히 우리에게 남아 있는 과제 “서로 손을 붙잡을 때” _ 다시, 연결 “시간을 들여 나를 살펴보기” _ 살아남는 것과 살아가는 것 에필로그 “내일은 정말 좋은 일이 기다려주기를” 부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기준 도움받을 수 있는 기관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