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감각으로 : 클랑쿤스트 Klangkunst

슈테판 프리케님 외 1명
200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7 서문 사운드 아트(Sound Art) 또는 클랑쿤스트(Klangkunst) ― 오현주 13 “저는 종아리보다 무릎을 통해 소리를 더 잘 듣죠.” ― Bernhard Leitner(베른하르트 라이트너) 51 “클랑쿤스트(Klangkusnt)는 제 삶입니다.” ― Christian Kubisch(크리스티나 쿠비쉬) 99 “우리의 귀도 조율해야하죠.” ― Arnold Dreyblatt(아놀드 드레이블랫) 133 “모든 음향 및 시각적 사건들은 주제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 Franz Martin Olbrisch(프란츠 마틴 올브리쉬) 181 “클랑쿤스트(Klangkunst), 그것은 개척해야 할 분야입니다.” ― Helga de la Motte-Haber(헬가 드 라 모테-하버) 195 후문 동독(DDR)에서 유래된 용어 - ‘클랑쿤스트’(Klangkunst) ― Stefan Fricke(슈테판 프리케)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사운드 아트(Sound Art)로는 번역되지 못한 클랑쿤스트(Klangkunst)의 음(音) “클랑쿤스트(Klangkunst) : 삶과 자연, 소리-미학적 실험실에서 작곡된 사운드는 시각적 오브제 예술로 간주되며, 정교하게 배치된 공간들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감각하고 다르게 보게되는 것, 그 사이에서의 발견과 놀라움. 클랑쿤스트(Klangkunst)는 하나의 상호 감각적 예술로써, 새로운 질문들을 던지며 새로운 경험을 불러일으킨다.“ 현대미술은 기존의 미술이 가지고 있는 관습과 질서, 규범을 깨며 새로운 장르를 출현했다. 그것은 다른 관점과 실험, 재료로 아방가르드의 정신을 실천했고, 다른 감각과의 협업까지 시도하였다. 대표적인 예가 사운드 아트, 즉 ‘소리로 이루어지는 미술작품’이다. 음악가가 아닌 시각예술가가 주체가 되어 청각과 시각을 함께 사용한 사운드 아트는, 안타깝게도 국내에 부분적인 정의(시각예술과 청각예술의 협업 등)나, 백남준, 라운셴버그, 존 케이지 등의 대표 작가 외에는 크게 알려진 바가 없다. 미술과 음악장르가 협업하여 탄생한 현대미술 장르 사운드 아트의 어원과 의미는 독일어 클랑쿤스트(Klangkunst)에서 그 태생을 찾아볼 수 있다.(한국의 ‘미술’ 또한 영미권의 art가 아닌 독일어 kunst에서 그 근원을 찾아볼 수 있다) 클랑쿤스트의 번역어인 ‘사운드 아트’를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면 ‘소리 예술’ 정도로 직역할 수 있겠으나, 클랑(klang)이라는 단어에는 단순히 ‘소리’ 외에 ‘음조’, ‘청’ 등의 좀더 소리의 원소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사운드 아트는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자 자연스럽게 한국에 정착될 수 있는 개념이다. 그러나 ‘사운드 아트’의 본거지이자 현재까지도 활발한 사운드 아트 창작 씬인 독일에서의 클랑쿤스트는, 엮은 이 오현주의 관점에서는 좀 더 까다롭고, 용어와 장르의 본질을 파고들만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클랑쿤스트는 분명 사운드 아트와는 다른 성질을 띠기 때문이다. 이 책은 클랑쿤스트의 본고장인 독일과 사운드 아티스트의 마음의 고향 베를린에서 클랑쿤스트의 초기 정신과 형태를 형성했다고 평가 받는 5명의 전범을 인터뷰하여 엮은 책이다. 5명의 전범은 각각 소리, 공간, 미디어, 신체 등 현대미술의 화두와 결합되어 있다. 이 책은 한국 출판에 전무하다시피한 사운드 아트, 혹은 클랑쿤스트의 출판되었으며, 보다 넓은 지평을 열어줄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인터뷰 소개 ■ 베른하르트 라이트너 (Bernhard Leitner) 1938년 오스트리아 포랄베르크주의 펠트키르히(Feldkirch, Vorarlberg)에서 태어나 티롤주의 수도인 인스부르크(Insbruck, Tirol)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1956년부터 1963년까지 비엔나 국립공과대학(Technische Universität Wien)에서 건축학을 공부했으며, 디플롬 학위 취득 후 파리에서 3년간 파리의, 그 이후 비엔나의 건축사무소에서 근무했다. 1968년 뉴욕으로 이주하여 1969년부터 1971년까지 뉴욕시 도시계획국에서 도시 디자이너로 활동했으며, 1972년,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 부교수로 임명되어 1981년까지 강의 활동을 이어갔다. 1982년부터 4년간 베를린(서독)에서 예술가로 활동했으며, 1987년 비엔나 국립응용예술대학교(Universität für angewandte Kunst Wien)의 크로스 미디어 아트학과 교수로 임명, 2005년까지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는 현재 비엔나와 니더외스터라이히주 가인도르프(Gaindorf, Niederösterreich)에서 작업하고 있으며, 1993년에 옛 제분 공장을 개조한 대형 스튜디오와 건축가이자 조명 디자이너인 그의 아들 루카스 라이트너(Lukas Leitner)와 함께 실험 및 전시 공간인 &톤라움할레&(Tonraumhalle)를 2022년에 구축했다. 베른하르트 라이트너는 2016년부터 독일연방국 예술진흥기관인 독일예술원(Akademie der Künste)의 위원으로 임명되어 활동 중에 있다. www.bernhardleitner.at ■ 크리스티나 쿠비쉬 / Christina Kubisch 1944년 독일 브레멘 출신으로 1967/68년 슈투트가르트 국립예술대학(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Stuttgart)의 존더보그(K.R.H. Sonderborg)에게 페인팅을, 1969년부터 1974년까지 독일 함부르크, 오스트리아 그라츠, 스위스 취리히의 음악대학에서 플루트와 음악을 전공했으며, 1972년부터 1974년까지 취리히 순수미술학교(Freie Kunstschule Zürich)에서 스위스 예술가이자 교육자인 제르쉬 슈타우페어(Serge Stauffer)에게 미술을 배웠다. 1974년 이탈리아 밀라노로 이주, 밀라노 베르디국립음악원(Conservatorio Giuseppe Verdi)의 프랑코 도나토니(Franco Donatoni)에게 작곡을 사사하였으며, 전자음악을 공부하여 1976년 디플롬(Diplom) 학위를 취득했다. 1974년부터 1980년까지 이탈리아 예술가 파브리지오 플레시(Fabrizio Plessi)와 함께 작업을 했으며, 1987년 베를린(서독)으로 활동지를 옮겼다. 1989년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에 위치한 얀 반 아이크 아카데미(Jan van Eyck-Akademie)에서, 1990/91년 독일 뮌스터 국립예술대학(Kunstakademie Münster),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서베를린 국립예술대학(Hochschule der Künste Berlin), 1994/95년에 파리 국립고등미술학교(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Paris)에 출강하였다. 1994년 독일 자브뤼켄의 국립예술대학(Hochschule der Bildenden Künste Saar)의 오디오 비주얼 아트 교수로 임명되어 2013년까지 학생들을 가르쳤다. 크리스티나 쿠비쉬는 1997년부터 독일연방국 예술진흥기관인 독일예술원(Akademie der Künste)의 위원으로 임명, 현재 베를린에서 거주하며 활동 중이다. https://christinakubisch.de ■ 아놀드 드레이블랫 / Arnold Dreyblatt 1953년 뉴욕 출생인 그는 1970년부터 1974년까지 뉴욕주 뉴팔츠에 있는 뉴욕주립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New Paltz)에서 문학과 미디어 비평(1974년 B.A.)을 올버니 위치한 뉴욕주립대학교(University at Albany, SUNY)에서 조엘 차다베(Joel Chadabe)에게 전자 음악 작곡을 공부했다. 1974/75년 버팔로(Buffalo, NY)에 있는 뉴욕주립대학교(University at Buffalo, SUNY)의 미디어 연구 센터에서 비디오 아트를 공부(1976년 M.A.), 폴린 올리베로스(Pauline Oliveros), 모튼 펠트만(Morton Feldman), 존 케이지(John Cage)의 여름작곡워크샵 과정에도 참여했다. 1975년부터 1977년까지 다시 뉴욕으로 오면서, 작곡가 라 몬테 영(La Monte Young)의 조수로 일하며 개인 레슨을 받았고, 비디오 아티스트 구보타 시게코(Shigeko Kubota)와 백남준의 조수로도 활동했다. 1979년에 그는 앙상블 &The Orchestra of Excited Strings&(신나는 현의 오케스트라) 창단하여 활동했으며, 1980년부터 1982년까지 코네티컷(Connecticut)에 위치한 웨슬리언 대학교(Wesleyan University)에서 앨빈 루시어(Alvin Lucier)에게 작곡을 배웠다.(1982년 M.A.) 1983년부터 1986년까지 서베를린과 부다페스트에서 해외 프로젝트 장학금으로 체류하였으며, 1987년부터 1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