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序) 1장_ 영상·젠더·연애의 생권력(生權力) 위안부문제를 마주하며 ‘국민성의 감정’을 고찰한다 식민지지배의 알레고리로서의 연애영화│ 일본 종군위안부제도에서 전후 아시아 미군 기지 주변의 매춘으로 2장_ 어떻게 피해자가 되는가 공감의 공동체와 부인된 제국적 국민주의 : 「‘가자 가자, 신군’ 서설 I」 가자가자신군 서설 이라는 것│‘부인’의 한 형태로서의 제국적 국민주의와 1980년대의 미국│피해자로서의 ‘서양’과 반감에 의한 공감의 구성│미국의 민족주의와 백인의식│러시안 룰렛과 자기획정의 논리│식민주의자의 죄책과 역사적 부인│자기연민에 의한 공감의 구성과 국민공동체 3장_ ‘인정받는 것’의 정치와 구애의 행위 공감의 공동체와 부인된 제국적 국민주의 : 「‘가자 가자, 신군’ 서설 I I」 위계질서와 죽은 자를 취급하는 방법│원주민의 여성성과 역사의 부인│공감과 ‘노래’의 문제 4장_ 내전의 폭력과 국민주의 「박하사탕」을 해석한다 광주항쟁과 한국현대사의 트라우마를 그린 한국영화│국민주의에 회수되지 않는 독법은 가능한가 5장_ 비교라는 전략 공감의 공동체와 동아시아에서의 미국의 존재를 둘러싼 공상의 실천계 트랜스퍼시픽의 공범성│분리와 공재성│분리, 부끄러움 그리고 공감 끝맺음을 대신해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