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그 시대의 이야기가 오늘을 사는 독자들에게도 살아 있는 이야기로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시간의 무게를 이겨내고, 정직하고 정확한 현실의 언어로 살아 있는 이야기를 전달하는 이창동 소설을 다시 만나다! 카메라 렌즈를 통해 보여주고 싶은 것을 보여주는 영화와 달리, 소설은 언어를 통해 독자가 상상하게 만든다. 그러니까 소설의 세계는 그 자체로 완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각자의 상상력으로 완성하는 것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소설의 언어는 정직해야 하고 정확해야 한다. 여기에 실린 내 소설에 그런 정확성과 정직함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그 시대의 이야기가 오늘을 사는 독자들에게도 살아 있는 이야기로 다가갈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무쪼록 그렇게 되기를 소망해본다. ―2025년 ‘작가의 말’에서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중편 부문에 「전리戰利」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창동은 4년 뒤인 1987년 첫 소설집 『소지』를 출간하며 1980년대 대표 작가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5년 만인 1992년에 한국일보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을 표제작으로 한 두번째 소설집 『녹천에는 똥이 많다』를 펴내며 확고한 자신만의 색을 보여주었던 그는, 1997년 「초록물고기」를 통해 영화감독으로 데뷔한 뒤 영화에 전념하면서 자연스레 소설 발표를 하지 않았다. 지금까지 소설가 이창동이 세상에 내놓은 소설집 두 권. 『소지』와 『녹천에는 똥이 많다』가 40년 안팎의 시간을 거슬러, 나란히 2025년에 다시 독자들을 찾아왔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영화감독 이창동 이전에 유망한 소설가 이창동이 있었다. 그가 등단한 1983년은 이른바 ‘5·18세대’의 등장 시기로 일컬어진다. 임철우의 「사평역」이 발표되고 황지우의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가 출간된 해였던 것이다. 이창동의 데뷔작 「전리戰利」도 그 연장선에 있었다. 개정판 『소지』의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김형중은 이 작품의 제목을 두고 “죄의식과 자기혐오를 불러일으키는 영원한 저주로서의 전리”라고 설파하며, 이창동의 등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이창동의 글쓰기는 죄의식과 함께 시작되었다. 1983년이었고, 작가의 나이 스물아홉이었다.” 영화감독으로 자리를 옮겨 발표한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 「밀양」 「시」 「버닝」 등의 영화에서도 이창동이 소설에서 보여준 시선을 느낄 수 있다. 개정판 『녹천에는 똥이 많다』의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김영찬은 「초록물고기」의 ‘막동’과 「박하사탕」의 ‘영호’를 언급하며 “『녹천에는 똥이 많다』의 등장인물은 어떤 측면에서 그들의 문학적 원형이다”라고 역설한다. 그러면서 “이창동의 소설이 보다 집중하는 것은 눈에 보이는 정치가 아니라 벌거벗은 생명의 기억과 정신에 내면화되고 육체화된, 보이지 않는 정치의 작용”이라고 말한다. 또한 “희망적인 결론과 손쉬운 도식을 멀리”하고 “과거의 청산과 포스트모던으로 가던 문학적 대세와 발맞추지 않았”던 이창동의 문학이 반시대적이었음을 지적하고, 그리하여 그가 ‘탁월한 동시대인’이었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4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이창동의 소설이 여전히 유효한 이유다. 전쟁과 분단의 기억은 마치 끊어내도 끊어내도 끊어지지 않는 탯줄과 같아서 아직도 한국인이 꾸는 기나긴 악몽의 재료이자 망상과 편집증의 원동력이다. 이창동이 쓴 분단 소설의 현재성이 여기에 있다. 그는 분단의 문제를 체제론으로, 혹은 역사학적으로 접근하지 않는다. 그의 소설은 5·18을 겪고, 1987년을 겪고, 김대중과 노무현을 겪고, 세월호를 겪은 후에도 ‘장기 지속’ 하는 분단 후 증후군에 대한 심리학적 보고서에 가깝다. ―김형중, 개정판 『소지』 해설 「끊지 못한 끈」에서 이창동 소설의 현재적 의미는 우리나라를 넘어 아시아와 미국의 문학 시장에서까지 인정을 받았다. 2020년에서 2023년 사이, 중국과 대만에서 두 권의 소설집이 각각 출간되며 좋은 반응을 받은 것이다. 2023년에는 『녹천에는 똥이 많다』의 일본어판도 출간되어 화제가 되었다. 특히 중국에서 출간된(간체판) 『소지』와 『녹천에는 똥이 많다』를 합한 인세가 3만 달러를 훌쩍 넘기면서 독보적인 성과를 나타내기도 했다. 동아시아 독자들을 사로잡은 이창동의 소설은 올해(2025년) 2월, 미국 펭귄 출판사에서 “Snow Day and Other Stories”라는 제목의 선집으로 출간되었다. 표제작인 「눈 오는 날」을 포함하여 「불과 먼지」 「전리」 「용천뱅이」 「녹천에는 똥이 많다」 「소지」 「하늘 등」까지 일곱 편이 실린 이 책은 출간 전부터 여러 유명인의 추천사로 그 기대감을 드러냈다. 숨 막힐 듯한…… 이미 이 작가의 정확하면서도 다층적인 영화 이미지를 창조하는 기이한 능력에 익숙한 독자라면 이 책에서 그 인상적인 기술을 발견할 것입니다. 그러한 인식, 그러한 공감은 이 작가의 영화 애호가들을 문학적 팬으로 바꾸어놓을 것이고, 당연히 그의 국제적 입지를 확대할 것입니다. ―셸프 어웨어나스Shelf Awareness 출판사 저항에 대한 감동적인 이야기 모음. 이창동은 사람들이 이상을 지키기 위해 하는 희생을 효과적이고 극적으로 탐구합니다. 이 강력한 이야기들은 흔적을 남깁니다. ―『퍼블리셔스 위클리Publishers Weekly』 변혁의 직전에 있는 한국을 탐구하는 단편소설. 이 이야기들은 때때로 육체적 폭력으로 치닫는 감정적 폭력으로 가득 차 있으며, 좋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상황에서 캐릭터들을 공감적으로 탐구합니다. 한국의 최근 역사에 대한 참혹하지만 냉정한 시각. ―『커커스 리뷰Kirkus』 이창동은 뛰어난 작가입니다. 이러한 놀라운 이야기에서나 유명한 영화에서나 말입니다. 이 컬렉션은 한국의 최근 역사의 격동하는 유령으로 불길하게 뛰고 있지만, 나는 특이한 희망을 느꼈습니다. 그의 캐릭터들이 구원을 찾는 방식은 여전히 나를 경외하게 합니다. 잊을 수 없습니다. ―아야드 아크타르Ayad Akhtar(Homeland Elegies와 McNEAL 작가, 퓰리처상 수상) 이런 이야기들이 마침내 영어로 번역된 것은 정말 선물과도 같습니다! 이창동은 결론이 나지 않는 이야기의 거장이자, 인물들이 처한 상황에 절망적으로 작아지고 입을 다물게 하는 풍경의 뛰어난 건축가입니다. 비극적이고 애처로운 아이러니가 가득하고, 진정으로 선동적인 정치적 분노로 불타오르는 이창동의 이야기는 그의 영화와 같은 복잡한 즐거움을 줍니다. ―아리 애스터(「미드소마」와 「유전」 감독) 이창동은 어떤 형태로든 스토리텔러 거장입니다. 그의 초기 작품으로 구성된 이 컬렉션은 얼마 전의 한국에서 있었던 인간 이야기를 깊고 냉엄하게 보여줍니다. 읽을 선물입니다. ―스티븐 연(미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후보) 여전히 끊어지지 않는 기억으로 생생히 살아 있는 우리의 지난 역사와 그 속에서 속수무책으로 허물어지는 도시 소시민의 삶은 이제 한국을 넘어 세계인이 기다리는 이야기가 되었다. 이창동의 영화에 매료되었던 오늘의 관객들은 이제, 1980년대를 문학으로 치열하게 살아낸 젊은 소설가 이창동에게 새롭게, 다시 한번, 독자로서 빠져들게 될 것이다. “맞아요, 어머니. 그 줄을 끊으세요. 어머니와 절 잇고 있는 그 피비린내 나는 줄을 끊어버리세요, 어머니” 분단의 비극, 상처받은 삶, 남루한 일상… 폭력의 현대사에 주눅 든 사람들의 절망을 태워 올리는 이창동 첫 소설집 『소지』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연원을 가진 이창동의 죄의식은 무모한 1인 시위 도중 체포되어 감옥에 갔다가 죽기 직전 간경변으로 돌아온, 그렇게 쓸쓸한 죽음을 맞이한 ‘김장수’의 뼛가루를 그의 동료들이 나누어 갖는 이야기를 그린 등단작 「전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