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전시대의 국악퓨전
1. 국악퓨전의 개념 및 성격
2. 국악퓨전과 포스트 모더니즘
3. 국악퓨전의 흐름 및 전망
국악의 대중화와 상업적 오리엔탈리즘
1. <어디로 갈꺼나>와 <꽃분네야>
2. <그 저녁무렵부터 새벽이 오기까지>와 <어린왕자>
3. 오린엔탈리즘의 상업성
창작국악 담론의 주요쟁점
1. 창작국악 혹은 신국악의 의미와 내용
2. '신'과 '창작'의 의미
3. 창작국악을 둘러싼 주요쟁점
4. 글을 맺으며
제1세대 창작국악의 성과와 한계
- 김기수, 이강덕 음악을 중심으로-
1. 작곡가 음악과 연주가 음악
2. 작곡가와 기존재료
3. 창작국악 1세대의 음악의 영향
4. 연주가의 창조력- 즉흥성 회복을 위하여
음악 현장과 국악 전문교육의 변화
-전승과 현대화 사이의 줄타기-
1. 변화의 이중적 성격
2. 21세기 문화적 변화 읽기
3. 국악교육, 그 변화의 방향성
4. 강제된 변화에서 자생적 변화로
서구 근대음악의 존재론에 대한 인식론적 비판
-'음악'(Music)과 '음악하기'(Musicing)-
1. 글을 시작하며
2. 존재와 사건
3. 음악의 존재론적 집합표상
4. 음악의 연대적 집합표상
5. 음악하기의 실천적 o윤리적 관심
80년대 양악: 두개의 수레바퀴
-국가적 근대화와 자생적 음악운동-
1. 1980년대의 거시적 흐름과 특징
2. 양악 제도권의 성장과 한계
3. 제도권 내에서의 자생적 음악운동
4. 민족음악운동의 전개
5. 80년대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