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악의 내면화된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이소영
256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퓨전시대의 국악퓨전 1. 국악퓨전의 개념 및 성격 2. 국악퓨전과 포스트 모더니즘 3. 국악퓨전의 흐름 및 전망 국악의 대중화와 상업적 오리엔탈리즘 1. <어디로 갈꺼나>와 <꽃분네야> 2. <그 저녁무렵부터 새벽이 오기까지>와 <어린왕자> 3. 오린엔탈리즘의 상업성 창작국악 담론의 주요쟁점 1. 창작국악 혹은 신국악의 의미와 내용 2. '신'과 '창작'의 의미 3. 창작국악을 둘러싼 주요쟁점 4. 글을 맺으며 제1세대 창작국악의 성과와 한계 - 김기수, 이강덕 음악을 중심으로- 1. 작곡가 음악과 연주가 음악 2. 작곡가와 기존재료 3. 창작국악 1세대의 음악의 영향 4. 연주가의 창조력- 즉흥성 회복을 위하여 음악 현장과 국악 전문교육의 변화 -전승과 현대화 사이의 줄타기- 1. 변화의 이중적 성격 2. 21세기 문화적 변화 읽기 3. 국악교육, 그 변화의 방향성 4. 강제된 변화에서 자생적 변화로 서구 근대음악의 존재론에 대한 인식론적 비판 -'음악'(Music)과 '음악하기'(Musicing)- 1. 글을 시작하며 2. 존재와 사건 3. 음악의 존재론적 집합표상 4. 음악의 연대적 집합표상 5. 음악하기의 실천적 o윤리적 관심 80년대 양악: 두개의 수레바퀴 -국가적 근대화와 자생적 음악운동- 1. 1980년대의 거시적 흐름과 특징 2. 양악 제도권의 성장과 한계 3. 제도권 내에서의 자생적 음악운동 4. 민족음악운동의 전개 5. 80년대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