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장: 17세기 이전 여성 지성 개관 제1절 공적 세계에 대한 관심과 비판 의식 제2절 여성 자의식의 이원적 전개 제2장 18세기 전반 김호연재의 여성 수양론 제1절 김호연재의 생애와 그의 시에서 드러난 의식 제2절 여성 수양론의 두 방향 제3절 수양론에 보이는 여성의 현실과 비판 제4절 불평등한 남녀관계에 대한 언술과 함축 제5절 김호연재 〈자경편〉의 여성 지성사적 특성과 의의 제6절 결론 제3장 18세기 후반 임윤지당의 성리 사상 제1절 문제 제기 제2절 윤지당의 이기 심성에 대한 인식과 특성 제3절 여성 담론으로 읽는 이기 심성론 제4절 18?19 세기 성리학자들의 여성 인식과 임윤지당의 위상 제5절 결론 제4장 18세기 후반 임윤지당의 정치 담론 제1절 서론 제2절 임윤지당의 정치관 제3절 왕안석론을 통해 본 임윤지당의 영조대 정치 인식 제4절 임윤지당의 정치 의식에서 보이는 특성과 의의 제5절 결론 제5장 18세기 말 19세기 초 이사주당의 태교 의식에서 드러나는 여성 실학 정신 제1절 문제 제기: 태교 논의의 출발점 제2절 전통 문화 속의 태교론 제3절 『태교신기』에서 보여준 태교의 재인식 제4절 태교 서술을 통해 본 18?19세기 여성 실학 정신 제5절 결론 제6장 19세기 초 이빙허각의 『규합총서』에 나타난 여성 실학 사상 제1절 서론 제2절 총서의 저술 배경 및 작가의 특성 제3절 『규합총서』의 체제와 내용에서 드러나는 여성 실학 사상의 내용 제4절 규합총서에 함축된 여성실학 사상의 특성과 의미 제5절 조선 후기 여성 실학의 사상사적 의의 제6절 결론 제7장 19세기 전반 강정일당의 예론 제1절 서론 제2절 강정일당의 예에 대한 관점 제3절 강정일당의 구체적인 예론 제4절 강정일당 예론의 특성과 의의 제5절 결론 제8장 19세기 중반 김금원의 기록과 실증 정신 제1절 여성의 기록에 대한 관심과 특성 제2절 〈호동서낙기〉의 기록 유형 제3절 김금원의 실증 정신과 그 의미 제4절 〈호동서낙기〉와 김금원의 여성 지성사적 의의 제5절 결론: 봄의 축제로서의 〈호동서낙기〉 제9장 19세기 중반 김경춘의 문학 비평 제1절 서론 제2절 김경춘의 <호동서낙기> 분석 제3절 경춘 비평의 특성과 의의 제4절 결론 제10장 여성 지성의 삶과 내적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