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성우와 성우론 01 성우론 1. 개론과 원론 / 24 2. 일반론과 성우론 / 27 3. 성우의 소양 / 31 02 성우의 의의 1. 성우의 개념 / 36 2. 개념의 정리와 제언 / 42 3. 성우의 사전적 정의 / 44 4. 사전적 정의의 정리와 제언 / 47 2장 성우의 역사 01 대한민국 방송사 개괄 1. 방송의 시작과 시점 논쟁 / 50 2. 방송 초기의 방송인 / 54 3. 방송사의 정리와 제언 / 58 02 방송문예와 성우의 탄생 1. 우리나라 근대 방송문예 / 60 2. 우리나라 근대 방송문예인 / 60 3. 방송극 연구생과 성우 / 63 4. 독립 성우의 등장 / 65 5. 성우의 탄생 정리와 제언 / 70 3장 성우의 시기별 활동 변화 01 확장 과정 개괄과 특징 1. 역할의 확장 / 74 2. 역할 확장의 특징 / 75 02 민영방송의 개국 1. 최초의 민영방송 CBS / 77 2. 민영방송의 확장과 성우 / 80 3. 성우 인력의 부족 / 80 4. 민영방송의 출현 정리와 제언 / 81 03 텔레비전의 등장과 패러다임의 변화 1. 텔레비전의 등장 / 84 2. 새로운 장르의 대두 / 86 3. 성우의 전문화와 세분화 / 88 4. 텔레비전 시대 정리와 제언 / 90 04 전환기의 성우 1. 성우 활동 영역의 변화 / 92 2. 장르별 변동 이유 및 발전 가능성 / 93 3. 역할의 재정립을 위한 조건 / 103 4. 전환기 성우의 정리와 제언 / 118 4장 성우의 미래 01 신언서판 그리고 예 1. 예술가로서의 성우 / 122 2. 방송인으로서의 성우 / 125 3. 정보전달자로서의 성우 / 127 4. 정리 및 제언 / 132 02 성우의 전문가성 1. 언어표현 전문가 / 135 2. 방송표현 전문가 / 138 3. 보이스코칭 전문가 / 140 4. 전문 내레이터 / 143 5. 정리 및 제언 / 147 03 능동적인 역할 확장 로드맵 1. 대외적 중점추진 사업의 예시 / 149 2. 대내적 중점추진 사업의 예시 / 152 3. 정리 및 제언 / 154 5장 성우 연기론 01 라디오 예술론 1. 최초의 청각 대중매체 / 160 2. 라디오드라마의 미학 / 162 3. 라디오드라마 연출 / 166 4. 라디오드라마의 예술성 / 170 5. 언어표현 예술가, 성우 / 176 6. 정리와 제언 / 178 02 장르별 성우음성표현의 특징 1. 라디오 예술 / 181 2. 광고 홍보 / 186 3. 후시녹음과 재제작 / 189 4. 내레이션 / 201 5. 내레이터의 다섯 가지 소양 / 213 6. 진행자 / 218 7. 음성 언어 서비스 / 221 03 성우 음성표현과 언어 1. 음성표현의 본질 / 224 2. 음성표현의 재료 / 226 3. 훈민정음의 해례 / 229 4. 음성표현의 불안 / 235 04 성우 음성표현의 보완 1. 음성표현과 비언어 / 242 2. 준언어와 비언어 / 248 3. 음성표현의 대원칙 / 262 4. 성우 음성표현의 발전방향 / 269 6장 성우와 방송 01 방송언어 1. 성우와 언어 / 280 2. 방송언어의 특징 / 282 3. 표준어 / 288 4. 표준발음 / 290 02 방송언어의 표현 1. 글말과 입말 / 294 2. 고저장단 / 296 3. 언어에 대한 자세 / 300 4. 마이크 사용방법 / 302 03 언어표현 주의사항 1. 경어법, 수의 표현, 금기어 / 308 2. 발음의 오류 / 311 3. 방송과 금기어 / 313 7장 성우와 법제도 01 보편적 시청권 보장 1. 수용자 정보접근권과 더빙 / 318 2. 우리 방송의 현실 / 325 3. 세계의 국어보호 방송 정책 / 326 4. 관계 법령 정리 / 332 02 방송법과 성우 1. 방송법이란 / 337 2. 방송법 시행령 / 339 3. 방송보호와 성우 / 344 03 저작인접권과 성우 1. 저작권 / 346 2. 저작인접권 / 3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