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로트만, 나의 동시대인 4 제1부 이론과 문화 1장 책에 따라 살기: 러시아적 문화 유형의 매혹과 위험 16 1 책에 따른 삶 23 2 문학의 신성화 혹은 문학중심주의 25 3 행위시학: 삶의 예술 32 4 ‘유토피아적’ 미학주의와 ‘미학적’ 유토피아주의 38 5 2원적 모델의 매혹과 위험 48 2장 문화시학의 길: 로트만의 ‘행위시학’ 방법론 52 1 텍스트의 이론과 행동의 이론 60 2 행위시학: 문학연구와 문화이론의 ‘사이’ 62 3-1 문학과 삶의 변증법: 러시아 형식주의와 소비에트 구조주의 66 3-2 문화론적 접근: 행위시학의 관점 71 3-3 행위시학의 방법론: 기호학과 시학 사이 78 3-4 행위시학의 입장: 신화와 이데올로기 사이 86 4 예술(문학)과 현실(권력)의 문화적 모체 91 3장 러시아 이념과 러시아 이론: 로트만 이론의 문화적 정체성에 관하여 96 1 반성적 성찰 102 2 문화기호학: 현대의 마스크를 쓴 역사철학인가 106 3 내 것과 남의 것: 마법적 시스템 대 종교적 시스템 112 4 내 것과 남의 것: 분절적 모델 대 비분절적 모델 118 5 러시아 이념 대 러시아 이론 124 제2부 영화와 도시 4장 영화기호학과 포토제니: 로트만의 ‘신화적 언어’ 133 1 포토제니: 영화기호학의 ‘외부’ 138 2 영화와 신화적 언어: 고유명사의 문제 146 3 클로즈업: 고유명사로서의 얼굴-기호 152 4 영화와 의식의 이종성: 이분법에서 혼종성으로 159 5장 문화사와 도시기호학: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중심으로 162 1 기호학과 역사연구: 문화사의 기호학 167 2 로트만의 도시기호학과 상트페테르부르크 169 3 도시명의 기호학: ‘베드로’의 도시에서 ‘표트르’의 도시로 174 4 도시 공간의 기호학: 페테르부르크 신화와 텍스트 177 5 19세기 페테르부르크: 저개발의 모더니즘 187 제3부 대화와 주체 6장 문화 상호작용과 글로컬리티: 바흐친과 로트만의 ‘대화’ 개념 194 1 합성어 글로컬리티가 의미하는 것 201 2 바흐친의 자아 모델: 경계적 실존과 대화 204 3 로트만의 기호계: 혼종성과 비대칭성 210 4 영향에서 대화로: 문화적 대화와 변형의 메커니즘 215 5 글로컬리티, 대화적 동의 혹은 다시 쓰기 225 7장 러시아적 주체: 바흐친과 로트만의 ‘자아’ 개념 228 1 바흐친과 로트만의 자아 모델 233 2 바흐친의 내적 발화: 비공식적 의식과 내적 대화성 237 3 로트만의 자기커뮤니케이션: 인격의 재구성과 통사론적 축약 242 4 바흐친과 로트만: 자기를 초과하는 인격 대 자기조직화하는 체계 249 5 자아에 관한 러시아적 모델 254 미주 258 원문출처 284 참고문헌 285 찾아보기(인명) 299 찾아보기(작품명) 306 찾아보기(용어)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