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_ 흉터를 중심으로 맴도는 삶
1장 망각의 기술
“왜 우리는 잊지 않고 기억해야 하는가”
언어라는 장막 | 애도의 기술 | 기억의 무덤 | 트라우마의 두 가지 축
2장 트라우마의 불투명성
“우리는 트라우마적인 충격에 상응하는 불투명한 원인을 상정한다”
불투명한 원인 | 트라우마의 타자 | 절대적 무력 상태 | 죽음에 실패한 사람들
3장 트라우마의 논리학
“하나의 사건은 그 자체가 아니라 다른 사건과의 관계 속에서 결정된다”
사후의 논리학 | 논리적 시간 | 환상적 트라우마 | 트라우마 너머
4장 증상과 환상 사이
“환상은 메워질 수 없는 구멍을 통해 죽음이나 성과 접속한다”
죽음의 수수께끼 | 쾌락의 수수께끼 | 표상 불가능한 것 | 공유할 수 없는 것 | 트라우마의 전수
5장 빠져 있는 장면
“최악의 장면이 꿈에서 재현된다면, 더 이상 악몽이 반복될 이유는 없다”
우리는 이동 중이다 | 반복강박 | 반복되는 것은 불길하다 | 빠져버린 장면
6장 잠의 정치학
“트라우마가 문을 두드릴 때, 우리의 현실 자체는 잠이 된다”
지독한 것 | 타자의 죽음 | 잠의 정치학
7장 원초적 트라우마
“원초적인 트라우마를 환기할 때에만 우리의 사건은 트라우마가 된다”
환상의 파열 | 환상의 저편 | 원초적인 트라우마 | 두 가지 트라우마
8장 실패한 행위의 성공
“현실이 잠이 되지 못한다면, 불면에 빠진 그들은 행위로 옮길 수밖에 없다”
믿음의 건축학 | 트라우마에서 증상으로 | 반복에서 행위로 | 죽음이 성공이 되는 삶
9장 트라우마를 넘어서
“트라우마 속에서 나의 삶이 어떤 식으로 연루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기록되지 않는 것 | 타자로의 전이 | 치료의 지침들 | 정신분석 치료의 출발점
나오는 말_ 다른 삶으로의 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