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주간 이지훈’의 내 맘대로 영화학 개론! 쓰고 싶은 것을 쓰고 싶은 대로 쓰며, 한국 영화의 황금기를 함께한 어느 영화평론가의 ‘잡스러운’ 영화 박람기! ‘잘생긴 천재’ 이지훈의 엉뚱하게 영화 보고 삐딱하게 영화 쓰기 대학생 시절 당대 유력 영화지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하고, 스물여덟 살에 영화 월간지를 창간하고, 그 당시 영화 주간지 편집장으로서 최장기 집권을 하고, 오랫동안 MBC의 [출발! 비디오 여행] 작가를 하며 한국 영화의 황금기를 함께했지만, 2011년 6월, 짧은 생을 마치고 떠난 영화평론가가 있다. 《스크린》과 《NeGA》를 거쳐 영화 주간지 《FILM2.0》의 창간 때부터 종간 때까지 함께한 이지훈이다. 천재라고 인정할 수밖에 없을 만큼 수준 높은 글을 정력적으로 쓰던 이지훈은, 2007년 1월 19일, [아버지의 깃발] 시사회장에서 쓰러졌다. 뇌종양이었다. 대수술 끝에 다시 현장에 복귀해 발병 이전처럼 열심히 영화를 보고 읽었지만, 2011년 6월 30일, 결국 이지훈의 글은 영원히 멈추고 말았다. 그리고 1년 뒤, 고인의 1주기를 맞아 영화평론가, 영화 프로그램 작가, 영화 잡지 기자, 영화 강의 등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선후배들이 모여 이지훈이 쓴 원고를 모아서 《내가 쓴 것》과 《해피-엔드》라는 두 권의 유고집으로 만들었다. 1994년부터 2008년까지 《스크린》, 《NeGA》, 《FILM2.0》에 쓴 글을 해당 잡지의 코너별로 나누고, 또 주제별로 구분해 연대기순으로 모은 유고집에는, “시시콜콜한 개인사를 바탕으로 한” 가벼운 글처럼 보이지만 그 어떤 순간보다도 깊은 울림을 주는 에세이, “영화와 감독, 배우에 대한 다기한 수사들이 넘쳐나던”, 새롭고 날카롭지만 엉뚱하기 그지없는 비평, “영화와 문화, 삶의 구석구석을 탐문하며 한 인간의 진상을 드러내려 한 인터뷰”까지 담겨 있다. 오른손으로 쓴 글씨처럼 또박또박 만든 영화보다 왼손으로 쓴 글씨처럼 서툴지만 자유롭게 만든 영화를 좋아하던 영화평론가가 자신만의 언어로 발견한 수많은 영화는 무엇이며, 영화인은 과연 어떤 모습일까? ‘정독’보다 ‘오독’ ― 창의적인 오독을 통해 보고 읽은 영화와 감독 이야기 《내가 쓴 것》은 존 휴즈 감독의 1996년작 [내가 쓴 것]에서 제목을 빌렸다. 이지훈이 생전에 쓴 글을 모은 책이라서 이런 제목을 붙였지만, 더 큰 이유는 이 영화가 ‘오독’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지훈은 “원작자의 의도와는 별개의 해석을 내리는 오독은 종종 정독이 발견하지 못하는 새로운 상상을 열어줄 뿐 아니라 흔히 맛볼 수 없는 재미를 준다”는 이유로 늘 “창의적인 오독”을 강조했다. 쓰고 싶은 것을 쓰고 싶은 대로 쓰던 이지훈의 삐딱한 시선에 걸린 영화는 무엇이고, 감독은 누구였을까? 1부 ‘에세이’는 《NeGA》와 《FILM2.0》 시절에 쓴 에세이를 모았다. ‘NeGA file’은 《NeGA》 편집장으로 쓴 글이며, ‘THEME’는 한 가지 테마를 정해놓고 그 테마에 맞는 소주제를 정해 자유롭게 쓴 글이다. ‘우리가 사랑할 수밖에 없는 나쁜 영화’는 남들이 나쁜 영화와 싸구려 영화라고 손가락질하는 작품을 적극 옹호하는 영화평을 모은 것이며, ‘DVD 천일야화’는 매주 출시되는 신작 DVD 본편과 서플먼트를 소개한 글이다. 그리고 ‘딸년이랑 테레비 보기'는 딸을 키우며 겪는 일을 쓴 육아일기이자 TV 비평이다. “많은 사람들이 특히 기다려서 읽을 정도로 재미있었던” ‘편집장의 말’은 2000년대 중반 한국 영화계와 대중문화의 한 시절을 일상적이지만 색다른 시선으로 엿볼 수 있는 글이다. ‘이지훈의 어퍼컷’은 2007년 뇌종양 발병 이후 현장에 다시 복귀해 쓴 대중문화 비평이다. 2부 ‘비평’에는 일상을 바탕으로 한 재미있는 글쓰기를 즐겨 하던 가벼운 영화평과 에세이와 달리 어디로 튈지 모르는 폭넓은 사고 체계를 증명이라도 하듯 깊고 넓고 엉뚱한 글이 특징이던 영화평과 감독론을 모아놓았다. ‘영화 읽기’는 한 편의 영화, 또는 하나의 주제로 엮을 수 있는 몇 편의 영화를 집중 분석한 글로, [나쁜 피], [데드 맨], [L.A. 컨피덴셜]과 [타이타닉]과 [아미스타드], [롤라 런], [춘향뎐]과 [철도원], [플란다스의 개]와 [반칙왕], [아모레스 페로스], [패닉 룸], [마이너리티 리포트], [살인의 추억], [매트릭스 2 ― 리로디드], [아비정전]과 [동사서독] 등이 이지훈의 삐딱한 시선에 걸린 영화들이다. ‘감독론’은 시대를 사로잡은 작가들의 필모그래피를 관통하며, 한 감독의 작품 세계를 자유로운 형식과 새로운 관점으로 재구성한 색다른 ‘감독 쓰기’다. 로만 폴란스키,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스탠리 큐브릭, 아벨 페라라, 우디 앨런, 테리 길리엄, 관금붕, 데이비드 린치,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쿠엔틴 타란티노, 존 부어맨, 닐 조던, 뤽 베송, 팀 버튼,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휴즈 형제, 야마시타 노부히로가 이지훈의 손끝에서 재해석됐다. 진지한 감독론부터 대중문화 비평까지, 어느 영화평론가의 ‘잡스러운’ 영화 이야기 “눈매가 선하고 아름답고”, “서글서글한 미소”가 인상적인 사람이었으며, “언제나 균형감각을 잃지 않고 꼿꼿했으며 명쾌한 맛이 일품”인 글을 썼다는 다양한 영화계 지인들의 추모글에서도 느낄 수 있듯, 이지훈은 한국 영화의 황금기 한복판에서 다양한 영화를 발견하고, 시대를 관통한 감독들을 새롭게 읽으려고 노력한 영화평론가이자 영화 기자이고 영화 잡지의 편집장이었다. 주류 영화계에 속해 있으면서 상업영화와 작가영화에 골고루 애정을 쏟고, 한번 꽂힌 영화는 적극 지지하고, 아니다 싶은 영화에는 가차 없이 비수를 꽂는 취향의 글쓰기를 장기로 삼으며, 언제나 삐딱하게 영화를 보고 읽었다. “착각이 뭐 대수인가? 정독보다 오독이 낫다”고 강조하던 “잘생긴 천재” 이지훈의 시선과 글쓰기는, 여전히 유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