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색

문은배
422p
구매 가능한 곳
평가하기
3.7
평균 별점
(3명)
우리 색의 기원이 무엇이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탐구한 책이다. 현대 기술을 이용해 여러 사물에서 추출한 139가지 한국 전통색으로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우리 색에 접근한다. 또한, 한국 전통색이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예절, 의복, 음식, 건축 등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우리 색의 생활사를 개괄한다. 1장 ‘한국 전통색의 이해’에서는 한국인의 색채의식과 한국 전통색의 역사를 언어적.역사적.생활사적으로 살핀다. 2장 ‘한국 전통색의 체계’에서는 색채와 음양오행과의 관계, 정색과 간색, 한국 전통색의 색상과 농담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3장 ‘한국 전통색 해설’에서는 현대 기술을 이용해 추출한 139가지 우리 색을 언어와 역사, 생활의 눈으로 탐구한다. 특히 색 추출을 위해서 컬러체커를 이용한 사진 촬영, 색채 추출과 보정을 위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한 사진 추출과 보정 과정을 거쳤다. 4장 ‘생활 속의 색채’에서는 예절, 의복, 음식, 건축에서 우리 색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살핀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저자/역자

목차

1장 한국 전통색의 이해 1. 한국인의 색채의식 ―색의 언어적 고찰 ―전통색의 생성 ―한국인의 색채관 ―백의민족 2. 한국 전통색의 역사 ―고대와 샤머니즘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3. 고문헌 속의 색채 ―선화봉사고려도경 ―조선왕조실록 ―산가요록 ―국조오례의 ―악학궤범 ―본초강목 ―각의궤의예소 ―동의보감 ―천공개물 ―개자원화전 ―성호사설 ―국혼정례 ―탁지준절 ―상방정례 ―산림경제 ―이수신편 ―청장관전서 ―한중록 ―해동농서 ―임원십육지 ―만기요람 ―규합총서 ―궁중발기 ―한양가 ―오주연문장전산고 2장 한국 전통색의 체계 1. 음양오행사상과 색채관 ―하도낙서 ―음양 ―오행·오상 ―태극도설 ―사상팔괘 2. 정색과 간색 ―오방정색 ―십간색 ―오방정색과 십간색, 하도낙서 ―생활 속의 오방정색 ―오방정색과 소리 ―오방정색과 태극기 3. 한국 전통색의 색상과 농담 ―한국 전통색의 표준체계 ―색상체계 ―농담체계 3장 한국 전통색의 해설 1. 적색 ―갈색 ―강색 ―노홍색 ―다자색 ―단색 ―도홍색 ―동색 ―등색 ―목홍색 ―번색 ―보라색 ―비홍색 ―석간주색 ―성홍색 ―연지색 ―위색 ―육색 ―은색 ―자색 ―자주색 ―장단색 ―적색 ―적자색 ―적토색 ―적황색 ―전색 ―정색 ―주색 ―주홍색 ―진색 ―천색 ―추향색 ―포도색 ―혁색 ―현훈색 ―호색 ―홍색 ―확색 ―훈색 ―휴색 2. 황색 ―괴색 ―규색 ―금색 ―다할색 ―돈색 ―두록색 ―등황색 ―락색 ―백황색 ―상색 ―송화색 ―아황색 ―아황색 ―운색 ―웅황색 ―유황색 ―자황색 ―자황색 ―장색 ―지황색 ―치자색 ―침향색 ―토색 ―행황색 ―호박색 ―홍황색 ―화색 ―황상색 ―황색 3. 청색 ―감색 ―군청색 ―남색 ―녹색 ―뇌록색 ―단청색 ―대홍관록색 ―번루색 ―벽색 ―복청색 ―비색 ―삼록색 ―삼청색 ―아청색 ―애색 ―앵가록색 ―양록색 ―옥색 ―유록색 ―유록색 ―정색 ―창색 ―창록색 ―천청색 ―청색 ―청록색 ―청자색 ―청현색 ―초록색 ―총색 ―취람색 ―류청색 ―포도청색 ―포두청색 ―표색 ―하엽색 4. 흑색 ―검색 ―날색 ―담색 ―담색 ―로색 ―맘색 ―묵색 ―미색 ―오색 ―유색 ―이색 ―이색 ―조색 ―참색 ―추색 ―치색 ―칠색 ―현색 ―흑색 5. 백색 ―교색 ―구색 ―백색 ―분색 ―설백색 ―소색 ―애색 ―운백색 ―유백색 ―지백색 ―파색 ―학색 ―호색 ―호색 ―회색 4장 생활 속의 색채 1. 예절과 색채 ―국조오례 ―반차도 ―관혼상제 ―벽사와 생활 2. 의복과 색채 ―조선시대의 복색의 발전 ―조선시대의 왕복과 관복 ―조선시대 서민의 예복 ―장신구 및 패물 ―색동 ―복색의 금제 3. 음식과 색채 ―조선시대의 식생활 ―음식과 색채 조화 ―음양오행적 상차림 4. 건축과 색채 ―조선시대 건축의 특징 ―단청의 이해 ―단청의 색채 ―단청의 종류와 특성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한국의 전통색 그 아름다운 발견 우리의 색은 아름답고 정교하며 조선시대에 이미 상당한 수준의 경지에 올라 있었다. 이 책은 우리 색의 기원이 무엇이고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탐구한다. 또한 현대 기술을 이용해 여러 사물에서 추출한 139가지 한국 전통색으로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우리 색에 접근한다. 한편 한국 전통색이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예절, 의복, 음식, 건축 등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우리 색의 생활사를 개괄한다. 전통이 한곳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듯이 한국 전통색은 시대와 사회에 맞게 지속해서 발전할 것이다. 잊고 살아 온 100여 년의 세월에 대한 연결고리 우리 색을 뿌리에서부터 탐구한다 1장 ‘한국 전통색의 이해’에서는 한국인의 색채의식과 한국 전통색의 역사를 언어적·역사적·생활사적으로 살핀다. 또한 송나라의 여행서인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을 시작으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악학궤범(樂學軌範)』, 『동의보감(東醫寶鑑)』,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한양가(漢陽歌)』 등 고문헌 속에 있는 색채를 탐구한다. 2장 ‘한국 전통색의 체계’에서는 색채와 음양오행과의 관계, 정색과 간색, 한국 전통색의 색상과 농담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정색과 상극간색을 논하며 색채와 연관시킨 것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공예서인 『고공기(考工記)』에서 볼 수 있다. 이 책은 상생간색에 대해 논하고 있으며 이는 음양오행이 발전한 중국에서도 이루어지지 않은 시도이다. 2장 연구의 시작은 조선시대의 여성 실학자인 빙허각(憑虛閣) 이 씨의 『규합총서(閨閤叢書)』이다. 이 책은 여성이 여성을 위해 쓴 생활백과사전으로 유일하게 상생간색에 대해 기록되어 있다. 이와 함께 염색법을 비롯해 누에치기, 길쌈, 수놓기, 옷 수선 등을 다룬다. 염색법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오행의 원리와 정색과 간색의 생성 및 조합 원리를 설명하면서 각 색의 정의와 그에 따른 염색법이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다. 3장 ‘한국 전통색 해설’에서는 현대 기술을 이용해 추출한 139가지 우리 색을 언어와 역사, 생활의 눈으로 탐구한다. 특히 색 추출을 위해서 컬러체커를 이용한 사진 촬영, 색채 추출과 보정을 위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통한 사진 추출과 보정 과정을 거쳤다. 한편 추출한 색의 먼셀(Munsell), CIELAB, CMYK, sRGB 값과 함께 전통색과 현대색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호와 함께 연관색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연구와 실무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 색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장 ‘생활 속의 색채’에서는 예절, 의복, 음식, 건축에서 우리 색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살핀다. 색으로 본 조상들의 생활사라 할 만한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