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연쇄살인

표창원 · 사회과학
40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6(643명)
0.5
4
5
평가하기
3.6
평균 별점
(643명)
코멘트
더보기

한국 사회를 뒤흔든 연쇄살인 사건의 수사 과정과 연쇄살인범의 심리 분석을 담은 책이다. 동기가 불분명하거나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가학적이고 엽기적인 범죄가 여러 차례 발생하고 있는 현 상황에 경종을 울리며, '연쇄살인범들은 누구이며 도대체 무엇이 그들로 하여금 사람을 죽이게 만드는가'를 조명한다. 피해자의 실명까지 표기해가며 공론화하고 함께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외국에 비해 감추고, 피하고, 잊어버리려는 데 급급한 사회 현실 속에서, 책이 담고 있는 한국 사회가 갖고 있는 문제, 한국 연쇄살인범들의 성향 등에 대한 분석과 논의가 돋보인다.

지구 최후의 미션, 지금 시작된다!

오픈 기념 30% 할인! 공룡보다 빠르게 GET

왓챠 개별 구매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6(643명)
0.5
4
5

지구 최후의 미션, 지금 시작된다!

오픈 기념 30% 할인! 공룡보다 빠르게 GET

왓챠 개별 구매 · AD

저자/역자

코멘트

20+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프롤로그) 연쇄살인은 사회적 난치병이다 어린이 토막살해 - 최인구 사건 1장. 연쇄살인이란 무엇인가? 1. 연쇄살인의 충격과 파장 2. '연쇄살인'의 정의 3. '연쇄살인' 용어의 유래 4. 연속(連續)살인과 연쇄(連鎖)살인? 5. 연쇄살인의 조건 6. '한국형 연쇄살인' 한국 최초의 연쇄살인범 하룻밤새 벌어진 17건의 살인 - 이판능 사건 남자아이를 노린 변태성욕자 - 이관규 사건 2장 연쇄살인범은 누구인가? 왜 연쇄살인범이 되는가? 1. 선천적(先天的)인 요인 2. 어린 시절의 학대 등 충격적 경험 3. 사회적 스트레스 4. 촉발요인(triggering event) 5.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 연쇄살인범의 프로필(profile) 3장 1970년대의 연쇄살인 피로 물든 가을 - 김대두 사건 사체에 남겨진 낙서 - 부산 어린이 연쇄살인 추정 사건 4장 1980년대의 연쇄살인 '살인여마(殺人女魔)' - 김선자 연쇄독살 사건 거리의 도살자 - 심영구 사건 끝나지 않은 악몽 - 화성연쇄살인사건 5장 1990년대의 연쇄살인 인면수심의 범행 - 조경수/김태화 룸살롱 살인사건 냉혈인간 - 지춘길 사건 6장 사라진 아기들 - 대천 연쇄유괴 살인 추정사건 강간 살인마 - 황영동 사건 살인공장의 악마들 - 지존파 사건 "내 나이만큼 사람을 죽이겠다" - 온보현 사건 7장 2000년대의 연쇄살인 "내 안에 악마가 있다" - 정두영 사건 십자가 형태의 사체 - 고창 연쇄살인 사건 사라진 여자들 - 수원 여성 연쇄납치 살인 사건 끝없는 학살 - 유영철 사건 에필로그) 연쇄살인을 막은 당신이 바로 영웅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