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 나의 출산 이야기
이른둥이 아이들
경험을 어떻게 글로 불러올 것인가
현상학적 글쓰기를 위한 재료들
1_나는 내 출산의 주인공이고 싶었다
꿈꿔 왔던 출산의 순간, 그러나…
여성에게 출산은 어떤 의미인가?
의료화 출산에 대한 문제 제기
2_병원이 주도하는 ‘분만’
“그래도 오시겠어요?”: 거절당함
“이제 그만 모두 가주세요.”: 홀로됨
“그냥 전문가에게 맡기세요.”: 소외
“그런데 배가 왜 이렇게 작아?”: 물상화
“절대 만지지 마세요.”: 분리
3_출산 여성의 소외와 탈바꿈
소외, 권력화된 의료 세계에 내던져진
배와 자궁으로 환원되는 여성의 몸
고통을 책임지는 엄마로의 탈바꿈
4_또 다른 여성들의 이야기
나는 이렇게 낳았다
그 처치는 과연 꼭 필요했던 것일까?
병원 출산 과정에서 협의는 안 되는 걸까?
여성이 ‘분만당하지’ 않고 ‘출산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출산권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
에필로그 : 여성이 행복한 출산을 꿈꾸며
주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여성은 출산의 도구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