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다른 무엇을 만나 둘을 이루고 열을 이루고 무한이 되는 예술의 세계로 이끄는 유쾌한 초대장 상상하는 것만으로 온몸에 ‘필’이 오는 순간, 냄새 하나로 온몸이 과거의 시간과 공간으로 이동하는 순간, 사랑에 빠져 온몸이 붕 뜬 듯한 느낌. 이러한 느낌의 순간은 어떻게 오는 것일까? 그저 느끼기만 하면 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생각하고 말하는 일 못지않게 중요한 능력이자 반드시 배우고 익혀야 하는 것이고 서로 나누면 열 배, 만 배로 커지고 즐거워지는 것, 그것이 바로 느낌과 예술이다. 『느낀다는 것』은 삶의 중요한 기술인 ‘느낀다’는 말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느낌의 달인’인 예술가들의 삶의 방식을 우리의 일상으로 가져올 것을 제안하는 책이다. 국어국문학과 미술사를 전공하고 ‘연구공간 수유+너머 남산’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며 다양한 공부를 해온 저자 채운 선생이 생동감 넘치고 유쾌한 필치로 40여 점의 미술품, 문학, 음악, 만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을 통해, 느낌의 세계로, 예술의 향연으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현대 문명의 넘치는 자극이 주는 짜릿함이 아니면 일상은 지루하고 재미없고 외롭고 무력하다고? 그렇다면 철창에 갇힌 ‘원숭이 피터’가 했던 것처럼 열심히 배워 자신을 가뿐하게 넘어 볼 일이다. 사과를 그리기 위해 자신이 알던 사과를 모두 잊어야 했다고 한 ‘세잔’처럼, 낮과 밤이 공존하는 세계를 버젓이 한 화면에 담은 ‘르네 마그리트’처럼 세계를 다르게 보는 훈련을 하자. 나무와 곤충의 마음을 읽었던 나우시카처럼 세계와 교감하며, 필름을 카메라에 감고 끈질기게 기다렸던 ‘브레송’처럼 애정을 갖고 끈기를 가지고 기다리면 누구에게나 ‘자신만의 시선으로 세상을 포착하는 결정적 순간’이 온다. ‘유희왕’이 되어 그 과정을 놀이처럼 즐길 때, 이 세상에 유일한 ‘나만의 쓸모’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우리는 모두 감동하고 감동을 주는 존재들이다! 나는 느낀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 느낌의 풍요로운 의미와 다양한 양상들 자, 숲을 걷는 상상을 해보자. 맑은 공기와 흙 밟는 소리와 새와 벌레가 소곤대는 소리가 들린다. 이번엔 도심을 걷는 상상을 해보자. 번쩍거리는 간판, 시끄러운 소리, 각종 냄새…, 숲과는 전혀 다른 느낌이다. 이렇게 저자는 책의 시작부터 느낌의 세계로 독자들을 자연스럽게 초대한다. 몸의 감각을 통한 경험뿐 아니라, 상상만으로도 온몸에 변화가 오는 ‘느낌’이라는 신비한 세계로! 느낀다는 건, 두 세계(사물이든 사람이든)가 만나 전류가 부딪치고 그 결과 몸과 마음이 움직이는 사건이다. 우리에게는 느끼는 능력이 있고, 느낌은 매번 다른 빛깔을 띠기 때문에, 우리는 단 한순간도 같지 않은, 생동감 넘치는 삶을 살 수 있다. “물론 우리의 머리는 생각합니다. 그게 사실은 다 어제와 같은 거라고요. 하지만 우리의 몸과 마음은 어제와 다른 방식으로 느낍니다. 생각은 어제의 이것과 오늘의 이것에서 공통점을 뽑아내지만, 느낌은 그 둘에서 차이를 발견합니다.”(본문 21쪽) 느낌은 그저 느낌일 뿐일까? 그렇지 않다. 즉 우리가 아는 것이 느끼는 데 영향을 주고, 우리가 사는 세상의 기준이, 우리의 소망과 의지가 느끼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몸이 어떤 상태인지, 다른 사람들과 어떤 식으로 관계를 맺는지에 따라서도 느끼는 방식이 달라진다.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지만, 단지 생각만으로는 위대해질 수 없었을 겁니다. 우리가 누리는 예술은 느끼는 능력을 지닌 인간들이 남긴 위대한 유산인 거죠. 우리는 느낍니다. 공기를 느끼고 바람을 느끼고 살아 있음을 느끼고 두려움을 느끼지요. 그래서 우리는 움직입니다. 우리를 움직이게 하고, 춤추게 하는 건 ‘느낌’입니다. 나는 느낀다, 고로 존재한다!”(본문 40~41쪽) 저자는 여러 가지 요소가 복잡하게 얽힌 느낌의 양상들을 하나씩 짚어가며 느낀다는 것이 우리 삶에서 얼마나 근본적인 일인지 설명한다. 움베르토 보초니의 그림「마음의 상태」, 세잔의 ‘사과’ 그림, 고흐의 자화상, 마르셀 프루스트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연암 박지원의 글 등 다양한 예술작품들을 어떻게 느끼고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하며, 독자들이 스스로 그 느낌의 세계에 들어올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느낌의 달인에게 배우는 느낌의 기술 - 공감하고 치유하고 변신하고 전달하고 비우고 함께하기 느낀다는 것은 무언가를 알고 이해하는 것보다 훨씬 더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다. 예술가들이나 위대한 성인들은 일반인보다 더 많이 아는 사람이라기보다는 더 잘 느끼는 사람이었을 거라고 저자는 말한다. 더 많이, 깊이, 잘 느끼는 사람이야말로 다르게 살고 싶어 하고 세상의 변화를 꿈꾸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잘 느낀다는 것은 무엇일까? ‘느낌의 달인’이라 할 수 있는 예술가의 특성을 살펴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다. 그것은 공감, 치유, 변신, 전달, 비움, 우정으로 요약된다. 이 특성들은 특별한 사람의 타고난 감각이 아니라 누구든 연마할 수 있고, 우리 삶을 건강하고 풍요롭게 가꾸어 가는 데 중요한 기술이다. 예술가는 만물과 교감하고 소통하는 공감의 달인이자, 눈에 안 보이는 아주 미세한 징후까지 민감하게 느끼는 치유의 달인이다. 또한 두 세계의 경계에서 서로 다른 세계를 전달하고(전달의 달인), 그 경계를 넘어서 자신과 세상의 변신을 꿈꾼다(변신의 달인). 자기의 시선, 습관을 고집하지 않고 새로운 경험을 받아들일 수 있게 스스로를 비우며(비움의 달인) 다른 사람과 느낌을 나눔으로써 소통과 흐름을 만들어내는 우정의 달인이다. 이 여섯 가지 특성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중 변신의 능력과 우정의 능력을 살펴보도록 하자. “예술가도 마찬가지입니다. 꽃을 보면 나비의 신체로, 바다를 보면 파도의 신체로 변신을 시도합니다. 그래야 우리가 알고 있던 꽃과 바다가 아니라, 눈에 보이지도 않고 우리의 상식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유일무이한 꽃과 바다를 표현할 수 있을 테니까요. 다르게 느끼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스스로를 전과 다르게 변신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본문 76쪽) 이런 변신이 가능하려면 선명한 가치 판단으로 세상을 나눌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르네 마그리트는 낮과 밤이 공존하는「빛의 제국」이라는 작품을 통해 고정관념에 얽매인 사람들의 습성에 일침을 가하며,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느낌을 선사한다. “예술은 바로 이런 느낌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경계 위에서 이것과 저것이 동시에 느껴질 때, 이 세계와 저 세계 사이에서 무언가가 끊임없이 이동하면서 하나의 판단을 방해할 때, 그때 우리는 세계를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게 됩니다. 예술은 결국 다르게 느끼는 것이고, 다르게 느끼는 연습을 통해 예술가는 자신의 독창적인 세계를 형성합니다.” (본문 75쪽) 이렇게 형성된 독창적인 세계는 다른 사람과 나눌 때 힘을 갖게 된다. 느끼는 것은 고독한 행위가 아니라 고독을 넘어가는 행위이므로! 감(感)하고 통(通)하는 순간, 1+1=2가 아니라 10도 100도 무한도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느낌과 소통의 위대한 힘이다. 그러므로 예술가가 고독한 존재라는 생각은 오해이다. 그들은 공감과 소통의 위대한 힘을 잘 알 테니까 말이다. 화가, 작가, 음악가들이 함께한 예술가 그룹 ‘플럭서스’가 우정의 달인으로서 예술가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그들은 여러 갈래로 흐르는 물줄기들처럼 우연히 만나 새로운 ‘흐름’을 만들면서 다양한 예술활동을 펼쳐냈다. 이렇듯 예술가들은 고립된 존재도 아니었고 존재여서도 안 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누구나 느낌이 달인이 될 수 있다! - 잊지 말아야 할 여섯 가지 실천사항 느낌의 달인들이 지닌 구체적인 기술을 어떻게 획득할 수 있을까? 저자는 ‘네가 느끼는 것을 펼쳐 봐’ 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