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누구나 한 번쯤 니체와 고흐를 만난다
1. 아름다움에 대하여
별들의 존재 목적은 생명의 잉태가 아닐까
위대한 인간을 오해하는 일
빛을 사랑하는 만큼 그림자를 사랑한다
이성이 없다면 서로에게 관대할 것이다
우리가 뒤집어쓴 가면 안에 숨겨진 환희의 절정
신은 모든 세상을 너무도 아름답게 만들었다
침묵은 잔인하게 상대의 가치를 훼손한다
모든 아름다움은 생식을 자극한다
그녀에게 매혹당하지 않고는 버틸 수가 없다
가끔은 이곳에도 음악이 흐른다
2. 삶에 대하여
용기는 죽음까지도 살해한다
고통은 정신 최후의 해방자이다
생존경쟁은 약자에게도 좋다
병약한 사람과 건강한 사람
그러니 스스로 선택하라
인생이 내리는 합당한 축복
스스로를 양심적이라고 여기는 사람들
자신의 삶을 고백하려는 욕구에 숨은 것
인생의 여름, 봄 그리고 가을
노동을 그리워하게 만들려는 술책
그대의 대답이 진실이라면
불필요한 순간에 독립을 시도하는 자
숨는 것으로 만족하던 시대는 사라진다
나는 뒤를 돌아보며 아득한 앞날을 헤아린다
3. 신은 죽었다
우리 모두가 신을 죽였다
웃음거리가 된 미친 사람의 눈빛
잔인한 형태로 덕을 지닌 자들과의 싸움
자신의 본능과 반대로 행동하는 신
웃다가 죽은 낡은 신들
한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야만적인 짓
너무나 동양적인, 너무나 유대적인
불멸하는 모든 것은 하나의 비유일 뿐이다!
저편의 세계를 믿는 자들에 대하여
더없이 괴로운 사람만이 경험하는 행복
천 년이 지나도 오지 않는 신의 나라
죽음을 설교하는 자들에 대하여
4. 지혜에 대하여
신은 죽었다
방랑자에게 목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은 타인의 배타적 이미지를 찾으려 한다
비밀을 털어놓고 오랜 벗에게 고통을 전가한다
악취를 풍기는 것마다 지혜가 숨겨져 있다
조금씩 싸늘해짐을 다행스럽게 여긴다
누군가를 동정하며 스스로를 고귀하다고 느낀다
인내와 규범에 매몰되어 몰락해 버린 개체들
삶을 창조하겠다는 것은 파멸이자 모욕이다
낯선 사람과 진부한 사상에 대해 떠드는 까닭
물질적 인간보다 도덕적 인간이 더 위험하다
우리가 가르치는 도덕의 근본은 배척이다
하루의 반도 자신을 위해 사용하지 못한다면 노예일 뿐이다
복수의 의미
웃으며 자신을 내던지는 방법을 배우라
5. 인간에 대하여
인간을 증명하는 진리의 허위
권력을 다스리는 내적 의지가 필요하다
인간의 선, 악, 권력
인간은 세계의 심판자인가?
인간이 신의 영역을 만들어 부른다
삶의 부조리와 마주친 인간이 계속해서 구역질을 해 댄다
모든 좋지 않은 악덕과 욕망을 마음속에 간직한 죄인
지혜란 자연에 거역하는 하나의 만행이다
칭찬은 양심의 가책이 없는 자를 만족시킬 뿐이다
세 가지 착각에 천재들은 인생을 바쳤다
이상에만 매몰된 사람은 파멸할 수밖에 없다
굶주림, 성욕, 허영심의 이용이 통치의 핵심이다
불평등한 계급이 인간의 초월적 의미를 만들었다
현대인은 고민의 형식을 상실하고 품위를 잃었다
인간은 교활한 정신을 갖고 세상을 지배했다
지나간 시간을 통해 인간은 자신의 불가침성을 확인하려 한다
스스로를 교양인이라고 자처하는 사람들
6. 존재에 대하여
어느 한 시기까지는 인식에 이별을 고해야 한다
“부디 또 하나의 가면을 주시오”
한 가지 일에 열중한 사람은 중요한 진실을 잊어버린다
살아남은 자들은 고통을 아픔이라 부르지 않는다
가혹한 행복은 순식간에 지나가고 생활의 기만이 찾아온다
뿌리에 물을 주는 것이 교육이다
결혼은 하나되기 위해 둘 이상의 의지를 필요로 한다
거만한 기쁨보다 작은 행복이 소중하다
소유와 사랑은 동일한 충동에서
다른 관념으로 향한다
7. 세상에 대하여
인간의 양심이 스스로를 괴롭히는 발명자이다
통치자는 국가에 유익한 교육만을 고집한다
부정을 ‘강화’가 대신하게 한다
국가의 발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