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말 1장 도대체 그리스 로마 신화란 무엇인가? 신화란 무엇인가? 신화는 ‘신 중심 이데올로기의 옛날이야기’다 | 어떤 내용의 ‘신 중심 이데올로기의 옛날이야기’인가? | 그리스 로마 신화의 정치적 이용 | 신화의 차별 구조 | 왜 그리스 ‘귀신’인가? 그리스 로마 신화의 특징 모든 신화는 열등한데 그리스 로마 신화만 우월하다고? | 그리스 로마 신화는 독창적일까? | 그리스 로마 신화, 왜 문제인가? | 그리스 로마 신화는 추방되어야 한다 | 고대 그리스의 역사와 지리 | 그리스 로마 신화와 우리 | 그리스 로마 신화 부활과 적대주의 2장 토속신과 괴물, 그리고 인간 창세 신화의 차별 구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vs.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 가이아와 타르타로스, 그리고 에로스 태초에 괴물이 있었다; 괴물 1세대 악의 측면만 강조된 티탄 | 키클롭스와 헤카톤케이르 | 가이아와 폰토스 및 타르타로스의 자식들 | 우라노스의 다른 자식들 토속신의 정체성 토속신들의 본래 모습 | 토속신의 변모 토속 모신 곡식의 여신 데메테르 | 외국 출신의 여신들 | 그리스 선주민의 모신 헤라 | 아테나, 아르테미스, 헤카테, 헤스티아 토속 남신 황금시대의 왕 크로노스 | 원시적인 구세주의 전형 디오니소스 | 서민층에 어필한 오르페우스 괴물 2세대 차별 구조를 만든 제우스 | 티타노마키아 | 오케아노스의 자식들 | 에키드나의 자식들 | 메두사 괴물 3세대 크리사오르와 페가수스 | 세이렌 | 프로메테우스 괴물 4세대와 그 밖의 괴물들 괴물의 씨가 마르다 | 여성 전사 아마존 | 라이스트리곤 | 난쟁이족 | 기형 괴물 | 동물-인간 합성 괴물 | 그 외의 괴물들 그리스 로마 신화 괴물의 차별구조 동서양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들 | 그리스 로마 신화 괴물의 전통 인간 기원의 차별구조 남성 기원의 차별 구조 | 인간의 타락 | 여성 기원 설화의 차별 구조 | 차별적 여성관의 전통 | 새로운 세계_홍수 전설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인간들 메데이아 | 시시포스 3장 국가신과 영웅 국가신의 차별 구조 제우스의 별 | 권력자의 전형_연쇄강간범 제우스 | 우주의 3층 구조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스 | 처녀의 전형_아테나 | 애인의 전형_아프로디테 | 아도니스 | 큐피드 | 제우스의 아들들 | 아폴론 | 하데스의 죄인들 영웅들의 차별 구조 영웅의 무법성 | 페르세우스 | 헤라클레스 | 테세우스 | 오이디푸스 | 안티고네 4장 트로이 신화의 차별 구조 호메로스 트로이 전쟁의 전모 | 호메로스, 어떻게 볼까? <일리아스> <일리아스>의 형식과 내용 | <일리아스>의 줄거리 <오디세이아> <오디세이아>의 형식과 내용 | <오디세이아>의 줄거리 트로이 신화와 여성 차별 차별 당하는 여신들 | 이피게네이아 <아이네이스> 로마제국을 찬양하는 영웅담 | 고전 중의 고전 vs. 제국주의 작품 5장 그리스 로마 신화 계승의 차별 구조 주체와 타자의 변화 괴물과 제우스의 싸움 | 기독교의 그리스 로마 신화화 | 프랑스혁명과 그리스 로마 신화 독일과 그리스 로마 신화 독일주의와 그리스 로마 신화 | 제국주의, 오리엔탈리즘, 그리스 로마 신화 | 바흐오펜의 신화 이해 니체와 그리스 신화 니체의 신화론 | 금발의 야수 | 계보학적 근거 | 전체주의와 그리스 미학 맺음말_ 그리스 로마 신화의 삼중 차별 구조